$\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성인의 가치와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에서 연령과 성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Adult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2, 2023년, pp.199 - 221  

손은정 (계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가치와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에서 연령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500명에게 문화보편적 가치(변화에 대한 개방성, 자기고양, 보수주의, 자기초월), 문화특수적 가치(집단주의, 규범에 대한 동조, 정서적 자기통제, 성취를 통한 가족의 인정, 겸손),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 그리고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 본 결과, 자기고양, 정서적 자기통제, 자기초월은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변화에 대한 개방성, 자기고양, 규범에 대한 동조, 정서적 자기통제, 성별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자기고양과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연령이 조절하였다. 자기고양이 높고 연령이 낮은 경우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현저하게 높아졌다. 셋째, 규범에 대한 동조와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연령과 성별이 조절하였다. 규범에 대한 동조가 높고 연령이 낮은 남성의 경우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현저하게 높아졌다. 넷째, 집단주의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였다. 집단주의가 높아질수록 남성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여성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겸손과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였다. 겸손이 높은 여성의 경우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adults. Five hundred adult men and women across the country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cultural universal value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se...

Keyword

표/그림 (13)

참고문헌 (47)

  1. 김수정 (2022). 세대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그리고 MZ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5(1), 29-58. 

  2. 김은예, 박용한 (2021). 대학생의 가치와 학업관련 태도 및 성취의 관계. 교육학연구,?59(1), 227-258. 

  3. 김해진, 이동훈 (2021). 한국인의 세대별 문화성향 차이와 대인간 의사소통 능력의 특성. 사회과학연구, 60(3), 455-480. 

  4. 김현동 (2019). 관리자의 성별과 조직우선주의가 의사소통 애로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3), 208-228. 

  5. 김장이 (2006). 한국인의 의사소통.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06-109. 

  6. 나은영, 차유리 (2010).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추이: 1979년, 1998년, 및 2010년의 조사결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4(4), 63-93. 

  7. 남궁은하 (2021). 세대갈등 및 생애주기별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 의식: 연령.계층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93(0), 54-69. 

  8. 류종은 (2021. 4. 6.). 현대차 넘어 확산되는?사무직 노조. ...MZ세대의 반란, 왜.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0509280005854?didNA 

  9. 박용한, 김은예, 한수연 (2019). 대학생용 가치척도(K-PVQ-RR)의 타당화. 한국교육문제연구, 37(3), 127-154. 

  10. 박재현, 이유미 (2013). 수사적 민감성 척도를?활용한 세대별 의사소통 양상 분석. 화법연구, 22, 329-354. 

  11. 박재현, 전은주 (2016). 직급과 성별에 따른 직장 의사소통 갈등 요인. 화법연구, 34,?173-201. 

  12. 박혜경, 김상아 (2018). 한국인의 문화성향에?관한 메타분석: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를?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42(3), 5-37. 

  13. 서경희 (2008). 성별 의사소통스타일의 습득: 언어사회화 과정. 인문학 연구, 14, 113-140. 

  14. 서신화, 허태균, 한민 (2016). 억울 경험의 과정과 특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4), 643-674. 

  15. 서지영, 정영숙 (2012). 연령에 따른 가치구조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21-44. 

  16. 손은정 (2019). 수퍼바이지의 불안정 애착, 역할갈등,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가 자기개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31(3), 725-748. 

  17. 손해용 (2021. 2. 6.). "성과급 근거 뭐냐" 대표에 돌직구…MZ세대에 당황한 기업. 중앙일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5&aid0003075857 

  18. 이동원, 조성남 (1991). 부모와 자녀의 세대차이에 관한 일 연구: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논총, 59(2), 101-147. 

  19. 이수인 (2010). 집단주의 형성 요인과 과정,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 수평적-수직적 집단주의에 대한 가족 및 학교경험의 효과를?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88, 256-299. 

  20. 이현영 (2017).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장수지, 김수영, & Kobayashi, E. (2014). 연령집단별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1-24. 

  22. 전혜빈, 박혜경 (2018). 사회 계층에 따른 가치 차이: 자기 참조 가치 대 문화 참조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4),?563-592. 

  23. 정순둘, 정주희, 김미리 (2016).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4), 5-24. 

  24. 최상진, 김의철, 홍성윤, 박영숙, 유승엽 (2000). 권위에 관한 한국인의 의식체계: 권위, 권위주의와 체면의 구조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1),?69-84. 

  25. 최정원, 이영호 (2014). 개정된 가치묘사질문지(PVQ-R) 한국판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3), 553-593. 

  26. 한상근, 박천수, 박태준, 장주희, 박화춘 (2018).?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Batkhina, A. (2019). Values and communication?apprehension as antecedents of conflict styles?in intercultural conflicts: A study in Germany?and Russia. Peace and Conflict: Journal of Peace?Psychology, 26(1), 22-34. 

  28. Boer, D., & Boehnke, K. (2016). What are values??Where do they come from? A developmental?perspective. In T. Brosch & D. Sander (Eds.)?Handbook of value (pp.129-151). Oxford?Univeristy Press. 

  29. Brosch, T., Coppin, G., Scherer, K. R., Schwartz,?S., & Sander, D. (2011). Generating value(s):?Psychological value hierarchies reflect context-dependent sensitivity of the reward system.?Social Neuroscience, 6(2), 198-208. 

  30. Chen, J. C., & Danish, S. J. (2010). Acculturation,?distress disclosure, and emotional self-disclosure?within Asian populations. Asian American?Journal of Psychology, 1(3), 200-211. 

  31. Chin, D. & Kameoka, V. A. (2019). Mentoring?Asian American scholars: Stereotypes and?cultural values. American Journal of?Orthopsychiatry, 89(3), 337-342. 

  32. Foynes, M. M., Platt, M., Hall, G. C. N., &?Freyd, J. J. (2014). The impact of Asian?values and victim-perpetrator closeness on the?disclosure of emotional, physical, and sexual?abuse.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Practice, and Policy, 6(2), 134-141. 

  33. Gao, G. (1998). "Don't take my word for it":?Understanding Chinese speaking practices.?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22(2), 163-186. 

  34. Gudykunst, W. B. (2001). Asian American ethnicity?and communication. Thousand Oaks, Sage. 

  35. Gudykunst, W. B., Matsumoto, Y., Ting-Toomey,?S., Nishida, T., Kim, K., & Heyman, S.?(1996). The influence of cultural?individualism-collectivism, self-construals, and?individual values on communication styles across cultur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22(4), 510-543. 

  36. Holtgraves, T. (1997). Styles of language use: Individualism and cultural variability in?conversational indirectness. Journal of Personality?and Social Psychology, 73(3), 624-637. 

  37. Kim, B. S. K., Atkinson, D. R., & Yang, P. H.?(1999). The Asian Values Scale: Development,?factor analysis, validation, and reliability.?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42-352. 

  38. Kim, B. S. K., Li, L. C., & Ng, G. F. (2005).?The Asian American Values Scale-Multidimensional: Development, reliability, and?validity.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Psychology, 11(3), 187-201. 

  39.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40. Oyserman, D., Coon, H. M., & Kemmelmeier,?M. (2002). Rethinking individualism and?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Psychological?Bulletin, 128(1), 3-72. 

  41. Park, Y. S., & Kim, B. S. K. (2008). Asian and?European American cultural values and?communication styles among Asian American?and European American college students.?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14(1),?47-56. 

  42.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1-65. 

  43. Schwartz, S. H. (1994). Are there universal aspects?i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human?values? Journal of Social Issues, 50(4), 19-45. 

  44. Schwartz, S. H. (2003). A proposal for measuring?value orientations across nations. Questionnaire?Package of the European Social Survey, 259-290. 

  45. Schwartz, S. H., Cieciuch, J., Vecchione, M.,?Davidov, E., Fischer, R., Beierlein, C., ... &?Konty, M. (2012). Refining the theory of?basic individual values. Journal of personality?and social psychology, 103(4), 663. 

  46. Schwartz, S. H., Melech, G., Lehmann, A.,?Burgess, S., Harris, M., & Owens, V. (2001).?Extending the cross-cultural validity of the?theory of basic human values with a different?method of measuremen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2(5), 519-542. 

  47. Young, I. F., Razavi, P., Cohen, T. R., Yang,?Q., Alabernia-Segura, M., & Sullivan, D.?(2021).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and guilt and shame. Emotion, 21(1), 108-122.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