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R 및 VR 관련 과학교육 문헌 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2 no.2, 2023년, pp.227 - 244  

변태진 (광주교육대학교) ,  박정우 (제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관련 ARVR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과 시기에 따른 연구 동향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키워드 검색 및 초록 검토를 통해 65개의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전반적인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해 장비 영역, 교과 영역,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측정 변인을 분석하였고 시기에 따른 연구 동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장비 영역과 구현 장치의 시기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비 영역에서는 VR, 교과 영역에서는 지구과학과 생물, 연구 대상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와 자료개발 연구, 측정 변인은 인지적 변인과 정의적 변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리와 화학 영역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질적 연구의 비중이 적었고, 특수 학습 학생에 대한 연구는 유형화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수 수행되었으며, 뇌전도나 현존감, 어지러움, 등 AR 및 VR 관련 특징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기에 따른 연구 동향의 변화는 2001년과 2008년에 각각 VR, AR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AR과 VR 연구 모두 2018년 이후 폭증하였으며, 2000년대 초반 PC를 기반으로 했던 연구가 최근 스마트기기와 HMD를 사용한 연구로 대체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최근 과학교육에서 AR 및 VR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기기와 HMD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AR 및 VR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영역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조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AR 및 VR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의 원인, 장단점과 한계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overall research trend and the change in the research trend according to the time of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researche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Sixty-five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keyword search and abstract review. The equipment, subject, ...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65)

  1. 강현숙, 박병기(2014). 창의성과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8(2),?371-404. 

  2. 계보경, 김영수(2008).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4(4), 193-224. 

  3.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디지털교과서 국.검정 구분(안). 교육부. 

  4. 교육부(2020). 기초를 다지고, 첨단을 누리며, 미래를 이끄는 과학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교육부. 

  5. 권승혁, 이영지, 최수연, 권용주(2018). 생명과학 VR 콘텐츠 활용에서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585-605. 

  6. 김건우, 이기영(2011).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웹-기반?가상야외지질답사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제주도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2(2), 212-224. 

  7. 김경현(2009).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AR 콘텐츠 활용이 학습 활동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12(5), 75-85. 

  8. 김연정, 윤세희, 신병석(2021). 포물선 운동을 중심으로 한 가상현실 기반물리 실험 교육 시뮬레이터 개발.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0(1), 1. 

  9.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3(3), 271-283. 

  10. 김종오, 정지성, 김도형, 권순옥, 유관희, 주성연, 박찬, 오원근(2013). 스마트 기기를 위한 3D 기반 동역학 가상실험과 2D 기반 전자문서의 하이브리드-앱 물리 전자교과서. 새물리, 63(6), 620-626. 

  11. 김준우, 맹준희, 주지영, 임광혁(2010). 멀티 터치스크린과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과학 실험 학습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461-471. 

  12. 김한중(2019). 사회과 디베이트 수업이 중학생의 인지적,?정의적, 기능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공공사회연구, 9(3), 35-66. 

  13. 김혜나(2018). 증강현실기반 교육 연구 동향: 국내 연구에?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정보교육학회논문지,?22(3), 397-407. 

  14. 김호정, 김가람(2017).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1), 75-110. 

  15. 김호정, 류제하(2005). 역감 제시 장치를 이용한 가상 과학 체험 공간 개발.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응용, 30(11), 1044-1053. 

  16. 김희수(2014). 적벽강 지역의 가상 야외지질답사 자료 개발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 8(3), 205-215. 

  17. 나지연, 윤회정(2021). 증강현실을 활용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1), 22-35. 

  18. 노정현, 조준동(2019). 안경 착용자가 HMD 착용시 VR?멀미에 미치는 원인 분석.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81-86. 

  19. 박순희, 이성아, 남윤영, 최성운(2021). 중도장애학생의?시선을 활용한 과학 체험 활동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및 적용가능성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1),?61-77. 

  20. 박용남, 윤기준(2020). 가상현실 스포츠실 활용 체육수업의 효과 및 한계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4), 81-96. 

  21. 배영임, 신혜리(2020).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이슈 & 진단, 416, 1-26. 

  22. 변태진(2017). 과학과 미디어 기반 학습 관련 문헌 연구.?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17-427. 

  23. 사이언스레벨업(2022, May 14). 공지사항. https://sciencelevelup.kofac.re.kr/support/notice/detail?notice_idx1&pageIndex3 

  24. 삼성전자. (2022a, July 30). 삼성 기어 VR (블랙) SM-R 320.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0NPWGKOO/ 

  25. 삼성전자. (2022b, July 30). 기어 VR Innovator Edition for S6.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1NZWAKOO/ 

  26. 삼성전자. (2022c, July 30). 기어 VR (2016).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3NBKAKOO/ 

  27. 삼성전자. (2022d, July 30). 기어 VR with Controller.?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5NZVAKOO/ 

  28. 서희전(2008).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의?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137-165. 

  29. 설가영, 권승혁, 권용주(2019). 생명과학 학습에서 가상현실(VR) 콘텐츠의 사용에 의한 두뇌 연결성의 변화 연구. 생물교육, 47(2), 187-196. 

  30. 소요환(2016). 웹 3D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의 사용성 평가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719-729. 

  31. 송은지(2020). 홀로렌즈를 활용한 혼합현실 교육 콘텐츠?제작 방법.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4(3), 391-397. 

  32. 원용태, 김하동(2012). 3D 실감 체험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및 해양생물 문화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70-80. 

  33. 유정민, 서수연, 허송이, 최규리(2021).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12), 1959-1967. 

  34. 이영희, 윤지현, 홍섭근, 임재일, 백병부(2018). 미래교육?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문화연구, 24(5), 127-153. 

  35. 이용수(2015). 혼합현실 정의의 문제점과 대안, 그리고 가상/증강현실의 작용관계. 디자인지식저널, 34, 193-202. 

  36. 이원곤(1996). 영상기계와 예술. 현대미학사. 

  37. 이재인, 최종수(2011). 증강현실 기반의 초등과학교육 콘텐츠 제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514-520. 

  38. 이현지, 김원섭(2020). 가상현실 기술 융합 기반의 국내?교육 사례 분석 및 콘텐츠 유형 분류: 중학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3), 237-252. 

  39. 이형주, 고호경(2015).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효과 메타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5(1), 113-137. 

  40. 이혜선, 정윤희, 김상연 (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가상현실(VR) 연구와 교육적 활용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311-338. 

  41. 임재원, 김석환, 조용주, 박경신(2008). 과학적 탐구학습을 지원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5(2),?95-102. 

  42. 임희주(2019). 교양영어수업에서 가상현실 (VR) 앱 활용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3(5). 

  43. 장은희, 서대일, 김현택, 유병현(2018). 사이버멀미 통합 모델: 가상현실 사용자의 불편감 현상 연구. 정보과학회논문지, 45(3), 251-279. 

  44. 장진아, 박준형, 송진웅(2019).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탐구 활동의 특징 -가상실험, 가상현실, 증강현실 활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8(2), 275-286. 

  45. 정광조, 신현기(2015). 국내 통합교육 효과 연구에 대한?메타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7(3), 203-231. 

  46. 채창훈, 고광희(2009). 증강현실에서 몰입감 증대를 위한?물리시뮬레이션의 적용.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3(3),?21-33. 

  47. 최섭, 김희백(2020). 가상현실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 기반 수업 적용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03-216. 

  48. 한송이, 임철일(2020). 국내 증강현실 (AR) 기반 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2019년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6(3), 505-528. 

  49. 한형종, 이가영(2020).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교육적?활용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5), 61-70. 

  50. 한호성, 이제민(2020). 가상현실 게임에 의한 요추 골절:?증례 보고.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7(4), 147-151. 

  51. 허준혁, 이기영(2013).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 야외 답사의 활용이 학생들의?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45-355. 

  52. 홍옥수, 김경미, 이재영, 김율(2022). 지능형 과학실의 개념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177-184. 

  53. 홍춘표, 김용연(2010). 가상현실 실험이 학업성취도와 과학 관련 태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10학년 과학 교과-물질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지,?4(2), 80-90. 

  54. Arici, F., Yildirim, P., Caliklar, S., & Yilmaz, R. M.?(2019). Research trends in the use of augmented reality?in science education: Content and bibliometric mapping?analysis. Computers & Education, 142, 103647. 

  55. Durukan, A., Artun, H., & Temur, A. (2020). Virtual?Reality in Science Education: A Descriptive Review.?Journal of Science Learning, 3(3), 132-142. 

  56. Google Developers. (2022, July 30). Google I/O 2014 -?Cardboard: VR for Android. https://www.youtube.com/watch?vDFog2gMnm44 

  57. Grand View Research. (2021). Share & Trends Analysis?Report By Solution, By Technology (Deep Learning,?Machine Lear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Machine Vision), By End Use, By Region, And?Segment Forecasts, 2021-2028. Grand View Research. 

  58. GSMArena team. (2022, July 30). IFA 2014: Samsung?Galaxy Note 4, Note Edge, Gear VR and Gear S?hands-on. https://www.gsmarena.com/samsung_ifa_2014-review-1126p4.php 

  59. Hussein, M., & Natterdal, C. (2015). The benefits of?virtual reality in education-A comparision Study.?Bachelor of Science Thesis in Software Engineering?and Management, University of Gothenburg. 

  60. Krueger, M. W. (1991). Artificial reality (2nd ed.).?Reading, Addison-Wesley. 

  61. Lanier, J. (2017). Dawn of the new everything: A journey?through virtual reality. Random House. 

  62. Maas, M. J., & Hughes, J. M. (2020). Virtual, augmented?and mixed reality in K-12 education: A review of the?literature. Technology, Pedagogy and Education, 29(2),?231-249. 

  63. Milgram, P., & Kishino, F. (1994). A taxonomy of mixed?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Information and Systems, 77(12), 1321-1329. 

  64. Saidin, N. F., Halim, N. D. A., & Yah aya, N. (2015). A?review of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Advantages and applications. International Education?Studies, 8(13), 1-8. 

  65. Southwick, S. (2022, July 27). EdTech Industry Analysis &?Trends. https://www.toptal.com/finance/market-research-analysts/edtech-trends-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