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roject Classes on Improving Data Literacy in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7 no.3, 2023년, pp.375 - 383  

조예진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김철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학습자 실태 및 요구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학생 수준에 적합한 데이터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이를 융합하여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는 교과와 성취기준들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와 전체 목표 및 세부 목표를 정한 후, 수업의 차시별 학습주제와 그에 맞는 활동을 구성하고 수업 내용을 구조화하여 총 18차시로 설계하였다. 각 차시별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한 개 학급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하였다. 데이터 리터러시의 향상 정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수업 적용 전과 후로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project class for improving data literac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analyzing the learner's actual conditions and needs andthe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ata literacy components ...

주제어

참고문헌 (20)

  1. Athanases, S. Z., Bennett, L. H., & Wahleithner,?J. M. (2013), Fostering data literacy through preservice teacher inquiry in English language arts,?The Teacher Educator, 48(1), 8-28.? 

  2. Lim, C., Lee, J., Song, J., Lee, U., Lee, H., & Lim,?E. (202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Information and Media, 28(2), 319-345? 

  3. Deahl, E.(2014). Better the Data You Know:?Developing Youth Data Literacy in Schools and?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Master thesis.?MIT University.? 

  4.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022), 2022?Elementary Convergence Project Class Practice Case? 

  5. Kim, H., Seo, Y., Jin, H., & Park, S. (2021), Plans?to expand universal information education for all children in the era of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SPRI? 

  6. Lee, J., Suh, B., & Kwon, Y. (2021), A Study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Decision Making: Focusing on Human-AI Collaboration and Decision-Maker's Personality Trait, Journal?of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 27(3), 231-252 

  7. John L. Pecore (2015), From Kilpatrick's project method to project-based learning, International?handbook of progressive education, 1(25), 157-159 

  8. Kilpatrick, W. H. (1918). The Project Method: The Use of the Purposeful Act in the Education Process.?Teachers College Record, 19, 319-335.? 

  9. Kim, S. & Kim, T. (2021), A Study of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Data Literacy for K-12AI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5(5), 691-704.? 

  10. KOFAC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es at School.? 

  11. Mandinach, E. B., & Gummer, E. S. (2013), A systemic view of implementing data literacy in educator preparation, Educational Researcher, 42(1), 30-37.? 

  12. Ministry of Education (2021). The National?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ans Secondary Curriculum. 2021.? 

  13. Ministry of Education (2023). Digital-based Education Innovation Plan.? 

  14. OECD (2018). Education 2030: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World Economic Forum(2020).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0.? 

  15. Ok, H., & Kim, J. (2021), Exploring the digital literacy patterns of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tudents by school level, region, and school type,?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6(3), 161-196.? 

  16. Otto, J. L. (2012). Assessing and improving data literacy: A study with urban and regional planning students. PNLA Quarterly, 76(4), 5-23.? 

  17. Shields, M.(2005). Information literacy, statistical literacy, data literacy. IASSIST quarterly, 28(2-3), 6-6.? 

  18. Stephenson, E., & P. S. Caravello. 2007.?"Incorporating Data Lit-eracy into Undergraduate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in the Social Sciences: A Pilot Project." Reference Services?Review, 35(4), 525-540.? 

  19. Jin, X., & Baek, S. (2020). Job Analysis Using?Recruitment Information - Focusing on Data?Scientist Cases.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Information Systems, 2020(12), 81-87.? 

  20. Song, Y., & Song, S., Kim, Y., & Lim, C. (2021),?A Developmental Study of an Instructional Model?and Strategies for Data-Driven Debate (DDD) to?Improve Data Literacy ,Journal of Educational?Technology ,37(4), 943-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