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 잼 재료 혼합비율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Chinese Radish (Raphanus sativus L.) Ja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2, 2009년, pp.235 - 243  

박정은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정 (안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무의 저장성을 높이고 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반응표면분석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무 잼 제조 시 최적의 재료 혼합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잼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설탕, 펙틴구연산 첨가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각각 $45{\sim}70%$, $0.5{\sim}2.0%$, $0.2{\sim}0.5%$로 하였다. 실험 결과를 모델링하여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당도, 명도, 적색도, 황색도, 견고성은 linear 모델이, 관능검사 모든 항목에서는 quadratic 모델이 설정되었다.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적색도와 관능검사 항목 중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probability가 모두 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이고, 적합결여검증의 결과에서도 적색도와 관능검사 중 냄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5% 이내의 유의성을 보여 모델의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반응표면과 trace plot의 결과 설탕과 펙틴 첨가율이 많아질수록 색은 어둡고 노랗게 되었고 견고성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설탕 첨가율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적정 수준 이상의 설탕, 펙틴과 구연산을 첨가할 경우에는 좋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무 잼의 최적 재료 혼합비율을 설정한 결과 설탕 53.7%, 펙틴 1.0%, 구연산 0.3%로 설정되었고, 이 조건으로 직접 무 잼을 만들어 물리적 특성을 측정해 본 결과와 예측한 결과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본 실험의 최적 조건으로 만든 무 잼의 경우 시판하고 있는 잼의 당도와 견고성의 중 간 값 정도의 범위에 포함되어 잼으로서의 상태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를 이용한 잼 가공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무 잼의 최적의 상태를 만들기 위한 조건도 설정되어 이를 이용한 무 잼의 산업화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optimum ratio of ingredients in the Chinese radish jam.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hich included 18 experimental points with 4 replicates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ugar $45{\sim}70%$, p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무의 저장성을 높이고 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반응표면분석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무 잼 제조 시 최적의 재료 혼합비율을 찾아 맛과 품질이 우수한 무 잼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무의 저장성을 높이고 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반응표면분석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무 잼 제조 시 최적의 재료 혼합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잼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설탕, 펙틴과 구연산 첨가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각각 45~70%,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공전에 의하면 잼류는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 최근 식생활의 패턴의 변화에 의해 아침식사 대용으로 빵과 같은 편의식품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잼의 소비도 동시에 증가하였고, 그 종류도 다양화되고 있다(6). 식품공전에 의하면 잼류는 ‘과실류 또는 과채류를 당류 등과 함께 젤리화 또는 시럽화한 것’(7)이라고 정의되어 있고, 조리용어 사전(8)에서는 ‘과일과 설탕으로 만든 걸쭉한 혼합물로서 과일 조각이 아주 부드럽고 거의 형태가 없어질 때까지 열을 가해 만들어진 것으로 빵에 바르거나 패스트리와 쿠키의 속에 넣거나 다양한 후식의 재료로 사용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잼의 종류에는 잼, 혼합잼, 젤리, 마말레이드, 프리저브, 과실버터 등이 있으며 모두 높은 당 농도와 산도 때문에 저장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9).
무는 주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무는 주로 깍두기, 무김치, 동치미와 같은 김치의 주·부 재료로 소비되고 있고, 고유한 향미와 시원하고 맵싸한 맛의 독특함으로 오랫동안 음식의 부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5). 무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들도 주로 깍두기, 동치미, 나박김치, 총각김치 같은 김치 위주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을 뿐 다른 음식이나 조리법에 적용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다.
잼을 만들기 위해서는 펙틴, 산, 당의 세 가지 요소가 중요한데, 그 세 가지 요소의 함량이 어떠할 때 젤리화가 적절하게 잘 되는가? 잼을 만들기 위해서는 펙틴, 산, 당의 세 가지 요소가 중요하며 과일이 미숙하거나 과숙하면 펙틴과 산 함량이 부적당하므로 펙틴과 산 함량을 첨가하여 조절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펙틴 1∼1.5%, 산 0.3∼0.5%, 당 함량 60∼65%일 때 젤리화가 적절하게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농촌진흥청. 2001. 식품성분표. 식품의약품안전본부, 제6개정판 

  2. Choi MK. 2003. Analysis of manganese contents in 30 Korean common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408-1413 

  3. Rtu Sh, Jeon YS, Moon JW, Lee YS, Moon GS. 1997.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to reactive oxygen species in skin cell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998-1005 

  4. Kim JM, Shim MK, Hwang HS. 1989. Physico-chemical changes of radish cubes for kakdugi during sal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300-306 

  5. Kim GH. 1999. Optimization of minimally processed white radish for kkakttugi prepar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 633-638 

  6. Lee KD, Jeong YJ. 1999.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69-1274 

  7. 식품의약품안전청. 2003. 식품공전 

  8. 정혜정. 2001. 조리용어사전. 한국조리학회, 서울. p 244 

  9. 김정목, 정동옥, 장형수, 장기. 2003. 식품가공저장학. 신광문화사, 서울. p 105-110 

  10. 송재철, 박현정. 1998. 최신 식품가공.저장학. 도서출판 효일, 서울. p 288-294 

  11. Shim WM, Lee SH, Bock JY. 1989. Studies on the developing new methods to prepare strawberry jam. Korean J Food & Nutr 2: 27-31 

  12. Lee SH, Lee YC. 1993.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the jam aroma-recovered. Korean J Food & Nutr 6: 281-286 

  13. Park SJ, Lee JH, Rhim JH, Kwon KS, Jang HG, Yu MY. 1994. The change of anthocyanin and spreadmether value of strawberry jam by heating and preser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65-369 

  14. Byun MU, Yook HS, Ahn HJ, Lee KH, Lee HJ. 2000. Quality evaluation of strawberry jam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 (Halocymthoa roretzi)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68-1072 

  15. Kim MY, Chun SS. 2001. Effects of oni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16-322 

  16. Kim KS, Chae YK. 1997. The effects of addition of 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jam. Korean J Soc Food Sci 13: 348-355 

  17. Hou WN, Kim MH. 1998. Processing of low sugar jams from fig pulp treated with pectinesterase. Korean J Sci Technol 30: 125-131 

  18.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279-286 

  19. Park M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ugar alcohols. Korean J Sci Technol 39: 44-49 

  20. Kim MJ, Yoon SH, Jung MH, Choe E. 2008. Effects of sugar and pecti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ugar wild vine (Vitis coignetiea) jam.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06-211 

  21. Cha YJ, Lee EH, Park DC. 1988.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ea mustard jam-. J Korean Fish Soc 21: 42-49 

  22. Kim KS, Paik SH. 1998. The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use of varying amounts of garlics as additives in apple jams. Korean J Soc Food Sci 14: 553-559 

  23. Kim JG, Choi HS, Kim WJ, OH HI. 199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jam prepared with enzyme treated persimmon juice. Korean J Soc Food Sci 15: 50-54 

  24. Ahn CB, Shin TS, Nam TS. 2000.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J Korean Fish Soc 33: 423-430 

  25. Kim HB, Ryu KS. 2000.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jam & wine. Korean J Seric Sci 42: 73-77 

  26. Koh JS, Yang YT. 2001. Preparation of fig jam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69-174 

  27. Kim SJ, Moon JS, Kim JM, Kang SG, Jung ST. 2004.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98-602 

  28. Lee GD, Kim SK, Lee MH. 2005. Optimization of preparation condition of oriental melon jam by respons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2: 216-222 

  29. Kim Y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yacon K-23 and manufacture of functional yacon ja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35-1038 

  30. Sim KH, Joo NM, Han YS. 2006. Optimization of garlic jam making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Diet Assoc 12: 32-43 

  31. Myers RH, Montgomery DC. 1995.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rocess and product optimization using designed experiments. John Wiley & Sons, New York. p 364-370 

  32. Derringer G, Suich R. 1980. Simultaneous optimization of several response variables. J Quality Technol 12: 214-219 

  33. Angle M, Jordi R, Xavier R. 2000. Lack of fit in linear regression considering errors in both axes. Chemometr Intell Lab Syst 54: 61-73 

  34. 장명숙. 2007. 식품과 조리원리. 도서출판 효일, 서울. p 55, 116 

  35. 권용주, 권중호, 박근형, 박양균, 양희천. 2006. 식품화학. 양지문화사, 서울. p 77-85 

  36. 채수규, 김수희, 신두호, 오현근, 이송주, 장명호, 최웅. 2003. 표준식품화학. 도서출판 효일, 서울. p 268-2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