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죽음 불안,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0 no.4, 2009년, pp.513 - 521  

윤매옥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 of death preparing education on death anxiety,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Methods: This study adapted the one group pre-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January 19 to 25, 200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중에서도 말기 환자와 가족, 인생의 황혼기에 있는 노인의 곁에서 죽음의 과정을 총체적으로 도와주어야 할 성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죽음 불안과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서로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에게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죽음 불안과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ㆍ후 설계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원시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성인에게 적용하여 죽음 불안,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진 단일군 전ㆍ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9년 1월 11일부터 25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1개 개신교 교회에 소속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죽음 불안과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준비교육이란 무엇인가? 죽음준비교육이란 죽음의 의미와 죽음의 과정 및 대응방법 그리고 사별과 관련된 모든 측면의 교육을 포함시키며 다학제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정립되어 가는 학문이다(Warren, 1989). 죽음교육은 Kub̈ler-Ross (1969)의 'on death and dying'을 통해 활발하게 시작되어 국외에서는 학제간의 연구와 생의 주기별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수용 단계는 어떤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는가? 둘째, 수용단계는 '유서쓰기'로 1개월 밖에 남지 않은 삶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이 순간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이고 가장 후회되는 것은 무엇인가? 용서할 대상과 용서받아야할 것은 누구이고 무엇인가? 끝으로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은 무엇인가? 하는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인간이 죽음의 문제를 기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이 죽음의 문제를 기피하는 이유는 죽음은 철저히 가려진 미지의 세계이며 고통으로 맞이하는 가장 어렵고 힘든 과정, 죽음으로 인해 모든 가시적인 것과의 단절, 그리고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잘못된 행위에 대한 벌이 올지 모른다는 영적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 또한 예기치 못한 죽음에 직면했을 때 극도의 불안과 우울, 분노 등의 심각한 심리적, 영적고통에서 시달리게 된다(Kub̈ler-Ross, 19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nta, M. M. (1984). Death anxiety, purpose in life and duration of service in hospice volunteer. Psychological Reports, 54(3), 975-984. 

  2. An, C. O. (2001). Study on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 Ji University, Seoul. 

  3. Bonnie, E. L. (1989). Immediate, residual, and long-term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instructional unit on the death anxiety level of nursing students. Death Studies, 13(2), 137-159. 

  4. Choi, S. S. (1990).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5. Coleman, W. T. (1983). The effect of an instructional module on death and dying on the death anx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e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 IN, USA. 

  6. Crombaugh, J. C. (1968). Cross validation of purpose in-life test based on Frankl's concepts.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24, 71-81. 

  7. Fischer, M. (1995). The effect of a multimethod death education curricular on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aging.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cansas. Kansas. 

  8. Fish, S., & Shelly, J. A. (1983).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Illinois: I. V. P. 

  9. Frommelt, M., & Katherine, H. (1991). The effects of death of education on nurse'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8(5), 37-43. 

  10. Frankl, V. E. (1963). Man's search for meaning.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11. Jang, S. H. (2009). A study on the adult education for death prepa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Jo, H. J. (2004).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Sang University, Jinju. 

  13. Kang, E. S. (2003). Relationship of the purpose in life, spiritual well-being self-concept, self-esteem of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2(3), 245-259. 

  14. Kang, J. H. (1996). An investigat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5. Kim, E. H. (2007).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Kim, H. H. (2006). Meaning in life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7. Kim, J. H. (2007).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in volunteers for hospice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8. Kim, K. O. (1990). A study on the level of meaning of life and spiritual distress of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 Kim, M. H. (2008).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of hospice volunte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Kim, M. S. (2007). Comparison on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1. Kim, S. N., Choi, S. O., Lee, J. J., & Shin, K. I. (2005). Effects od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2), 141-153. 

  22. Ko, S. D., Kim, E. J., & Kim, Y. K. (1999). A study on the preparative education on the Elderly's attitude for death.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6(2), 81-92. 

  23.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Company. 

  24. Kwon, Y. S., & Kim, C. N. (2003).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1), 132-143. 

  25. Miles, E. (1980).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on death and grief on nurse' attitudes toward dying patients and death, Death Education, 4(3), 245-260. 

  26. Nam, E. Y. (1998).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death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7.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D. & Perman, L.A.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8. Park, E. K. (1995).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onc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9. Warren, W. G. (1989). Death education and research: Critical perspectives. New York: The Haworth Press. 

  30. Yoon, M. O. (2005). Development and effect of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