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제조.가공단계별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Process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2, 2009년, pp.152 - 167  

김윤화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during processing. For this purpose, fifteen food ingredients and twelve factories were chosen in the provinces of Daegu and Gyeongbuk. Total plate coun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재료의 제조·가공 각 단계에서 식중독 발생 원인을 규명하여 학교급식에서의 식중독 발생에 대한 과학적이고 근원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에 공급되는 식재료 중 식중독 고위험군에 속하는 전처리 채소, 두채류, 어육류, 두부, 묵의 제조 ․ 가공 단계를 규명하고, 각 단계에서 채취한 식재료의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여 미생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안전한 생산과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요 식재료 10품목, 15개 제품에 대하여 12개 공장을 선택하여 제조․ 가공단계별로 미생물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 식재료로 닭고기의 특징은? 닭고기는 담백한 맛과 단백질이 풍부한 주요 식재료이지만 닭고기 특징으로 인해 미생물 오염도가 높은 식재료이다. Kim & Kim(2007)의 연구에서도 HACCP 업체에서 생산된 닭고기에서 S.
학교급식에서 콩나물 식중독 위험이 적은 이유는? 이러한 결과는 소량으로 균이 존재하는 경우 시료채취 시 균질화 되지 않은 샘플링이나 소량 채취에 기인할 것으로 유추된다. 콩나물은 재배특성 상 미생물 오염도가 높은 식재료이지만 학교급식에서 콩나물은 대부분이 가열공정을 거쳐 제공되므로 식중독의 위험은 적을 것이다. 그러나 Kim & Chae(2005)의 연구에서 원부재료의 미생물 오염이 가열공정 후에도 상당히 전이되었고, 작업 중 교차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공장에서 세척공정 후 적절한 살균공정과 철저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otal plate count는 어떻게 분석하였는가? 채취한 시료 25 g에 225 mL 인산완충희석액을 가하여 균질화한 후 이 중 1 mL을 시험원액으로 하여 각 단계(10-2∼10-6)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각 단계의 희석액 1 mL을 duplicate petri dishes에 넣고 15 mL Plate Count Agar(cooled to 45±1℃)(Oxoid, UK)를 혼합하여 굳힌 후 35℃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한 평판 당 30∼300개의 집락을 보인 petri dishes를 선택하여 colony forming units per gram(CFU/g)로 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곽동경, 강영재, 류경, 김성희 (2004): 학교급식 식재료 및 급식시설안전관리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책 연구과제 보고서 pp.27-43 

  2. 교육과학기술부 (2004):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 pp.75 

  3. 손숙미 (2007): 학교급식 만족도 향상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pp.43-45 

  4. 식품공전 (2005): 식품의약품안전청. 제II권 일반시험법 

  5. 식품공전 (2008): 식품의약품안전청. 제I권 기준 및 규격 

  6. 식품의약품안전청(KFDA) (2007): 집단식중독 발생현황. 식중독 통계 시스템.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Accessed March 20. 2009 

  7. 식품의약품안전청(KFDA) (2008): 최근 5년간 식중독 발생 동향 분석. Available from: http://fm.kfda.go.kr/ Accessed December 12. 2008 

  8. 이흠숙, 강성태, 이숙경 (2008): 식품위생학. 형설출판사. 서울. pp.73-76 

  9. 천석조 (2004): 어묵류 등 6개 HACCP 의무적용 품목의 위해관리 지침서 개발(자료편). 식품의약품안전청 최종보고서. 정책-식품-2004-56. pp.332 

  10. Abadias M, Usall J, Anguera M, Solsona C, Vinas I (2008):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minimally-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 and sprouts from retail establishments. Int J Food Microbiol 123(1-2):121-129 

  11. Arumugaswamy RK, Ali GR, Abd Hamid SN (1994): Prevalence of Listeria monoctogenes in foods in Malaysia. Int J Food Microbiol 23(1):117-121 

  12. Choma C, Clavel T, Dominguez H, Razafindramboa N, Soumille H, Nguyen-the C, Schmitt P (2000): Effect of temperature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TZ415. Int J Food Microbiol 55(1-3):73-77 

  13. Dufrenne J, Bijwaard M, te Giffel M, Beumer R, Notermans S (1995): Characteristics of some psychrotrophic Bacillus cereus isolates. Int J Food Microbiol 27(2-3):175-183 

  14. FDA Food Code (2005) FDA: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cfsan.fda.gov/-dms/foodcode.html. Accessed March 20. 2009 

  15. Gallay A (2002): Toxines microbiennes dans les toxi-infections alimentaires collectives declarees en France. Congress of the French Society of Microbiology. November, Paris 

  16. Gilbert RJ, De Louvois J, Donovan T, Hooper WL, Nichols G, Peel RN (2000): Microbiological guidelines for some ready-to-eat foods sampled at the point of sale. Communicable Disease and Public Health 3(3):163-167 

  17. Ha SD, Ryu K (2005): Safety management of child food and school food service.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결과 보고서. 05162지특화551 pp.150 

  18. Health Canada (2008): Listeria and food safety. Available from: http://www.phac-aspc.gc.ca/index-eng.php Accessed September 2. 2008 

  19. Hui YH, Gorham JR, Murrell KD, Cliver DO (1994): Foodborne disease handbook. 1, diseased caused by hazardous substances. New York Marcel Dekker Inc 

  20. ICMSF (1980): Microbial Ecology of Foods. Volume I. Factors Affecting Life and Death of Microorganisms. Academic Press. San Diego. Vol. 1 

  21. Jang JH, Lee NA, Woo GJ, Park JH (2006):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group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Food Sci Biotechnol 15(2):232-237 

  22. Kim BR, Chae SJ (2005):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bibimbap production flow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Korean J Home Manag Assoc 43(2):19-25 

  23. Kim CR, Kim KH (2007): Quality evaluations of seasoning chicken containing pine needl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1):47-52 

  24. Kim GW, Kim HK, Kim JS, An HY, Hu GW, Son JK, Kim OS, Cho SY (2008): Characterizing the quality of salted mackerel prepared with deep seawater. J Korean Fish Soc 41(3):163-169 

  25. Kim HJ, Koo KM, Kim GN, Lee S, Paik HD (200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from soybean sprouts. J Food Sci Nutr 7(3):305-309 

  26. Kim HY, Cha JM (2002): A study for the quality vegetable dishes without heat treatment in foodservices establishm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3):309-318 

  27. Kim KA, Kwak TK, Lee KE (2006a): Food purchasing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school food service. J Korean Diet Assoc 12(4):329-341 

  28. Kim SH, Kim JS, Choi JP, Park JH (2006b):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nol 38(4):594-598 

  29. Kwak TK, Moon HK (2005): School food safety practices in USA. J Korean Diet Assoc 11(4):473-484 

  30. Lawrynowicz-Paciorek M, Kochman M, Piekarska K, Grochowska A, Windyga B (2007): The distribution of enterotoxin and enterotoxin-like genes in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nasal carriers and food samples. Int J Food Microbiol 117(3):319-323 

  31. Lee HJ (2008): Pathogenic agents and outbreak of foodborne diseases at home and abroad. Korean J Vet Publ Hlth 32(1):81-89 

  32. Lee SJ, Lee SM (2006): Survey on the use of pre-processed food materials in school foodservices in the Kyunggi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2(5):553-564 

  33. Magnuson JA, King AD Jr, Torok T (1990): Microflora of partially processed lettuce. Appl Environ Microbiol 56(12):3851-3854 

  34. Marchetti R, Casadei MA, Guerzoni ME (1992):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in ready-to-eat vegetable salads. Italian J Food Sci 4:97-108 

  35. Nam EJ (2006): Development of a generic HACCP plan for large restaurants by food type. Doctor's degree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76-86 

  36. Nguz K, Shindano J, Samapundo S, Huyghebaert A (2005):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fresh-cut organic vegetables produced in Zambia. Food Control 16(7):623-628 

  37. Oh YS, Lee SH (2001): Hygienic quality of beef and distribution of pathogens during cut-meat processing. J Fd Hyg Safety 16(2):96-102 

  38. Park HK, Ryu K (2006):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cooked dried-seafood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i 12(2):172-184 

  39. Ryu K, Chae HS, Kim WJ (2006):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nd preparation of standard recipe for bellflower roots with seasonings served in a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12(2):157-171 

  40. Seo JE, Lee JK, Oh SW, Koo MS, Kim YH, Kim YJ (2007):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J Fd Hyg Safety 22(4):288-293 

  41. Sivapalasingam S, Friedman CR, Cohen L, Tauxe RV (2004): Fresh produce: a growing cause of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1973 through 1997. J Food Prot 67(10):2342-2353 

  42. Valero M, Hernandez-Herrero LA, Femandez PS, Salmeron MC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fresh vegetables and refrigerated minimally processed foods by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Food Microbiol 19(5):491-499 

  43. Wi TS, Hwang DY, Choe JS, Jeong HY (2004): Improvement of the Food Supply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食品流通硏究 21(2):113-138 

  44. Yoo WC, Park HK, Kim KL (2000):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2):12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