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902 - 908  

도정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이희정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신용운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최원조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채갑용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강찬순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김우성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22개 지역에서 수거한 농산물에 대해 농약 잔류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식품은 쌀, 옥수수, 완두, 밤, 밀감, 레몬, 파인애플, 상추, 근대, 고구마줄기, 양파, 우엉, 호박, 피망, 양송이버섯의 15종이었으며 48종의 농약에 대해 GC/MS/MS 분석하였다. 총 1,064건 중 34건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어 3.20%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쌀, 밀감, 레몬, 파인애플, 상추, 피망에서 7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검출량은 전부 잔류농약허용기준 미만이었다. 검출률 10% 이상 품목은 밀감(12.50%), 쌀(10.64%), 레몬(10.6%)이었으며, 10회 이상 다빈도 검출 농약은 chlorpyrifos(16회), fenobucarb(10회)이었다. 또한 검출된 7종의 농약에 대해 노출량 평가 결과 1인 1일 허용섭취량 대비 1일 추정섭취량이 아주 미미하여 위해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08, we monitored residual pesticides of 15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rice, corn, pea, chestnut, mandarin, lemon, onion, pineapple, lettuce, chard, sweet potato stalk, burdock, squash, sweet pepper and mushroom. Agricultural commodities were collected from markets in 22 provinces (Seoul, B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계속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22개 지역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의 잔류농약실태를 GC/MS/MS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식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식품 정책과 농약 잔류허용기준 제 · 개정의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 중 잔류농약 분석법으로 대부분 어떤 방법을 많이 이용하는가? 2006년 이후부터 검출률이 2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한 것은 GC/MS/MS를 이용한 분석기기의 감도 향상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 중 잔류농약 분석법은 허용기준에의 적합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신속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방법이 필수적인데 대부분 다종다성분 분석법을(11-14)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검출기를 장착한 캐필러피 GC분석과 GC와 질량분석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또는 선택성과 감도를 높일 수 있는 tandem mass spectrometry(MS-MS) 기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15,16).
우리나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사업은 언제부터 실시했는가? 우리나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사업은 1968년부터 실시해왔는데 2001년부터는 지속적인 잔류실태파악으로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모니터링 결과를 살펴보면 2001년에는 농산물 25종류, 600건에서 12.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22개 지역에서 수거한 농산물에 대해 농약 잔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조사대상식품은 쌀, 옥수수, 완두, 밤, 밀감, 레몬, 파인애플, 상추, 근대, 고구마줄기, 양파, 우엉, 호박, 피망, 양송이버섯의 15종이었으며 48종의 농약에 대해 GC/MS/MS 분석하였다. 총 1,064건 중 34건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어 3.20%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쌀, 밀감, 레몬, 파인애플, 상추, 피망에서 7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검출량은 전부 잔류농약허용기준 미만이었다. 검출률 10% 이상 품목은 밀감(12.50%), 쌀(10.64%), 레몬(10.6%)이었으며, 10회 이상 다빈도 검출 농약은 chlorpyrifos(16회), fenobucarb(10회)이었다. 또한 검출된 7종의 농약에 대해 노출량 평가 결과 1인 1일 허용섭취량 대비 1일 추정섭취량이 아주 미미하여 위해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EY, Noh HH, Park YS, Kang KW, Jo SY, Lee SR, ParkIY, Kim TH, Jin YD, Kyung KS.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markets in Cheongju and Jeonju. Kor J Pest Sci 12: 357-362. 

  2. Cho TS, Moon YH. 2000. Recognition of farmer and urban resident on pesticide toxicity. Kor J Pest Sci 4: 48-55. 

  3. Kim MR, Na MA, Jung WY, Kim CS, Sun N, Seo EC, LeeEM, Park YG, Byun JA, Eom JH, Jung RS, Lee JH. 2008.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special products. KorJ Pest Sci 12: 323-334. 

  4. KFDA. 2001. Pesticides residues monitoring in foods. 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5, p 491. 

  5. KFDA. 2002. Monitoring of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The Annual Report of KFDA.Vol 6, p 678-396. 

  6. KFDA. 2003. Monitoring of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7, p 515-528. 

  7. KFDA. 2004.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 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8-2, p 1960-1968. 

  8. KFDA. 2005.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9, p 327. 

  9. KFDA. 2006. Monitoring program on pesticide residues.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10, p 312-313. 

  10. KFDA. 2007.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ing in the middle and southern Korea. 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11, p 137-138. 

  11. Kanrar B, Mandal S, Bhattacharyya A. 2010. Valid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of a multiresidue method for 67 pesticides in made tea, tea infusion and spent leaves using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J AOAC Int 93: 411-424. 

  12. Wong JW, Zhang K, Tech K, Hayward DG, Makovi CM, Krynitsky AJ, Schenck FJ, Banerjee K, Dasgupta S, Brown D. 2010. Multiresidue pesticide analysis in fresh produce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iveion monitoring (GC-MS/SIM)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GC-MS/MS). J Agric Food Chem 58: 5868-5883. 

  13. US FDA. 1994. Pesticide analytical manual. Vol I. Multiresidue methods. p 107-232. 

  14. KFDA. 2008. Korea Food Cod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No. 4.1.2.2. p 10-4-10-10-4-17. 

  15. Mezcua M, Martinez-Uroz MA, Wylie PL, Fernandez-Alba AR. 2009. Simultaneous screening and target analytical approach by gas chromatography-quadrupole-mass spectrometry for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JAOAC Int 92: 1790-1806. 

  16. Kitagawa Y, Okihashi M, Takatori S, Okamoto Y, Fukui N, Murata H, Sumimoto T, Obana H. 2009. Multiresidue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processed foods by GC/MS. Shokuhin Eiseigaku Zasshi 50: 198-207. 

  17. Okihashi M, Takatorii S, Kitagawa T, Tanaka Y. 2007. Simultaneous analysis of 260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gas chromatography/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J AOAC Int 90: 1165-1179. 

  18. Lee SJ, Park HJ, Kim WS, Jin JS, Abd EI-Aty AM, ShimJH, Shin SC. 2009. Multiresidue analysis of 47 pesticides in cooked wheat flour and polished rice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Biomed Chromatogr23: 434-442. 

  19. Shin EH, Choi JH, Pack JH, Kim HK, Lee SJ, Jeong MS,Shin SC, Shin MS, Shin MS, Lee SH, Kim TG, Lee JY,Chin JS, Shim JH. 2008. Total dietary study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 The Annual Report of KFDA. Vol 11. p 661-662. 

  20. Kim KI, Kim HT, Kyung KS, Jin CW, Jeong CH, Ahn MS,Sim SW, Yun SS, Kim YJ, Lee KG, Lee KD, Lee WJ, LimJB. 2006.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eppers from farmgate and pepper powder from wholesale market in Chungbuk area and their risk assessment. Kor J Pest Sci 10: 15-21. 

  21. EPA. 1992. Guidelines for exposure assessment. Anticipated residues for chronic dietary exposure assessment for chloropyrifos R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