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 규명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Time, Environment Management, Teaching Efficacy,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IE. 산업전자, v.48 no.4, 2011년, pp.53 - 60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정애경 (동서울대학) ,  이상회 (동서울대학) ,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1년 W사이버대학 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은 몰입(${\beta}$=.712, p<.05)과 만족도(${\beta}$=.531, p<.05)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몰입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과 만족도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teaching efficacy, flow and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317 students of W cyber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in the web-survey sys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에 따라, 본 연구에서 매개효과가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이 몰입을 매개로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 국내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인숙[9]의 연구에서 시간관리전략이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시간과 환경관리를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고, 어떠한 환경에서 학습하는지로 보고자 한다.
  •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인 교수학습 상황보다 사이버 학습에서 더 중요한데, 사이버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모든 학습상황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수강 내용에 대한 효능감이나 과정에서 요구되는 여러 기술에 대한 효능감이 높으면 학습자의 수행이 높아지고, 성취도 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7].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개인이 자신의 학습목표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자신감 혹은 유능감으로 본다.
  • 셋째, 본 연구는 이러닝과 관련된 기존 연구결과와 도구를 토대로 이러닝 학습의 몰입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하나의 모형을 통해 설명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학습전략과 관련된 변인이나 학습실재감, 학습지속의향 등의 변인들을 추가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일반적인 교수학습 상황보다 사이버 학습에서 더 중요한 이유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성취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스스로 가지는 자신감으로[3] 몰입, 학업성취도, 만족도 등과 같이 학습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4~6].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인 교수학습 상황보다 사이버 학습에서 더 중요한데, 사이버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모든 학습상황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수강 내용에 대한 효능감이나 과정에서 요구되는 여러 기술에 대한 효능감이 높으면 학습자의 수행이 높아지고, 성취도 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7].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개인이 자신의 학습목표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자신감 혹은 유능감으로 본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성취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스스로 가지는 자신감으로[3] 몰입, 학업성취도, 만족도 등과 같이 학습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4~6].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인 교수학습 상황보다 사이버 학습에서 더 중요한데, 사이버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모든 학습상황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수강 내용에 대한 효능감이나 과정에서 요구되는 여러 기술에 대한 효능감이 높으면 학습자의 수행이 높아지고, 성취도 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7].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을 때 선정한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1년 W사이버대학 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은 몰입(${\bet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교육과학기술부, "사이버대학(특수대학원) 개교현황," 2011 교육통계서비스,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2. M. Puzziferro, "Online technologie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final grade and satisfaction in college-level online course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 22, no. 2, pp. 72-89, 2008. 

  3. L. Corno, & E. B. Mandinach,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from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18, no. 2, pp. 88-108, 1983. 

  4. 주영주, 정애경, 이상회, 이유경, "공학계열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유용성, 이용용이성의 몰입과 성취도 예측에 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7권 제4호, 59-67쪽. 2010년 

  5. Y. J. Joo, M. Bong, & H. J. Choi, H. J,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net Self-Efficacy in Web-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8, no. 2, pp. 5-18, 2000. 

  6. D. Schunk,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73, no. 1, pp. 93-105, 1981. 

  7. A. Y. Wang & M. H. Newlin, M. H., "Predictors of web-student performance: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reasons for taking and on-line cla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18, pp. 151-163, 2002. 

  8. K. Hartley, & L. D. Benixen, L. D, "Educational research in the Internet age: Examining the ro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Researcher, vol. 30, no. 9, pp. 22-26, 2001. 

  9. 이인숙 "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9권제3호, 41-68쪽. 2010년 

  10. T. Anderson, L. Rourke, D. R. Garrison. & W. Archer.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 no. 2, pp. 1-17, 2001. 

  11. P. Shea, Li, C. Sau, & A. Pickett "A study of teaching presence and student sense of learning community in fully online and web-enhanced college coursesm,"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 9, pp. 175-190, 2001. 

  12. H. M. Marks,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 37, no. 1, pp. 153-184, 2000. 

  13. P. D. Chen, R. Gonyea, & G. Kuh, "Learning at a distance : Engaged or Not?," Innovate, vol. 4, no. 3, pp. 1-7, 2008. 

  14. A. J. Matin, & S. A. Jackson, "Breif approaches to assessing task absorption and enhnaced subjective experience: Examining 'short' and 'core' flow in diverse performance domains," Motivation and Emotion, vol. 32, pp. 141-157, 2008. 

  15. R. H. Maki, & W. S. Maki, "Prediction of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and Lecture Cours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vol. 28, no. 3, pp. 197-220, 2003. 

  16. 이정민, 윤석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학습자 동기,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의 예측력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141-166쪽.2011년 

  17. 허균, 나일주, "웹 기반 교육에서 최적몰입경험,"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6권 제2호, 71-79쪽.2003년 

  18. 주영주, 김지연, 최혜리,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4호, 101-124쪽, 2009년 

  19. T. Anders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Second Edition, Edmonton, AB:AU Press, 2008. 

  20. T. P. Novak, D. L. Hoffman, & Y. F. Young, "Measuring the flow construct in online environment: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vol. 19, no. 1, pp. 22-44, 2000. 

  21. G. Latham, & T. Brown, "The Effect of Learning vs. Outcome Goals on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an MBA Program,"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 55, no. 4, pp. 606?623, 2006. 

  22. 이규녀, 최완식, "e-러닝에서 학습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요소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7권 제3호, 210-223쪽. 2007년 

  23. 주영주, 김나영, 조현국,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115-135쪽. 2008년 

  24. 정재삼, 임규연,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2호, 107-135쪽. 2000년 

  25. 고은현, "e-러닝에서의 교수실재감 구인 요인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4호, 263-287쪽. 2006년 

  26. 김지심, 강명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2호, 29-56쪽,2010년 

  27. 주영주, 하영자, 유지원, 김은경, "사이버대학에서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제14권 제2호, 175-187쪽. 2010년 

  28. F. Massimini, & M. Cali, "The systematic assessment of flow in daily experience," In M. Csikszentmihalyi & I. Csikszentmihalyi(Eds.),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pp. 266-287.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9. D. R. Garrison, & M. Cleverland-Innes, "Facilitating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learning: Interaction is not enough,"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 19, no. 3, pp. 133-148, 2005. 

  30. J. Cook, S. Hepworth, T. Wall, & P. Warr, "The experience of work :A compendium and review of 249 measures and their use," New York: Academic Press, 1981. 

  31. P. J. Curran, S. G. West, & J.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 1, pp. 16-29, 1996. 

  32. R. M. Baron, &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33. 나일주, 임철일, "선진국의 사례를 통한 사이버 교육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CR 2005-13, 2005년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