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 자동차 파워트레인의 모델링 및 동특성 분석
Modeling and Dynamic Analysis for Electric Vehicle Powertrain Systems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시스템 및 제어, v.48 no.6 = no.342, 2011년, pp.71 - 81  

박광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시스템연구부) ,  이성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시스템연구부) ,  진성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시스템연구부) ,  곽상신 (중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달리, 전기자동차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배터리, 인버터, 모터 등의 전기 동력 시스템들이 차량의 주행성능과 동역학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기 차량의 최종 운동 및 동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계 및 전기전자 복합 시스템을 세부적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통한 전체 파워트레인의 해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최종 출력 성능을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파워트레인 시스템의 동적 모델을 유도하였다.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최종 기계 동력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입출력 변수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동특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준모델Matlab/Simulink 플랫폼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도된 수학적 분석 모델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속도, 가속도, 추진력 등의 주요 차량 주행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a typic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the powertrain system of the pure electric vehicle, consisting of battery, inverter and motor, has direct effects on the vehicle performance and dynamics. Then, the specific modeling of such complex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enables the ins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안된 전기차 파워트레인의 수학적 해석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의 동특성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준모델이 필요하다. 본 장에서는 모델의 검증 및 주행 성능 비교를 위해 Matlab/Simulink의 라이브러리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기준모델에 대해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은 배터리의 출력전류를 각각 나타낸다. 모델에서 정상상태의 배터리의 Nominal(공칭/정격) 전압은 200V이며 초기 SOC 용량은 75%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자동차 기계 동력 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기 동력 시스템은 배터리, 주 제어기, 인버터, 전기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터의 출력 동력이 기계 시스템과의 연결 부위인 모터 클러치 축으로 전달된다. 기계 동력 시스템은 변속장치(Transmission), 차동 기어장치(Differential), 구동축(Driveaxle)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달된 모터 출력을 구동 바퀴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 동력 시스템의 입출력이 직접적으로 기계 동력 시스템에 결합(Coupling)되어 있는 직렬시스템이기 때문에 역으로 모터의 전류, 각속도, 토크 등을 해석함으로써 기계 시스템의 동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기자동차의 구동 시스템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구동시스템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구동 시스템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구동시스템과는 큰 차이가 있다. 전기자동차에서는 기존의 내연기관 대신 전기모터를 이용하고, 에너지 저장소로는 배터리와 축전지를 사용하며, 부가적으로 컨버터와 인버터 등의 전력변환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차량 파워트레인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기 모터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여 드라이브라인(Driveline)에 동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일반 차량에서 많이 연구되는 파워트레인과 주행 동특성에 대한 해석도 전기자동차에서는 새롭게 연구되어야 한다.
전기자동차의 주행성능과 동역학 특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달리, 전기자동차는 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배터리, 인버터, 모터 등의 전기 동력 시스템들이 차량의 주행성능과 동역학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기 차량의 최종 운동 및 동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계 및 전기전자 복합 시스템을 세부적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통한 전체 파워트레인의 해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 L. Butler, M. Ehsani and P. Kamath, "A Matlab-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Package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 Design," IEEE Trans. Vehicular Tech., vol. 48, no. 6, pp. 1770-1778, Nov. 1999. 

  2. D. V. Gao, C. Mi, and A. Emadi, "Modeling and Simulation of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Proc. of the IEEE, vol. 95, no. 4, pp. 729-745, Apr. 2007월. 

  3. J. Davoine, R. Parret and H. Le-Huy, "Operation of a self controlled synchronous motor without a shaft position sensor," IEEE Trans. Ind. Appl., vol. 19, no. 2, pp. 217-222, Mar. 1983. 

  4. 지준근, 이용석, 차귀수, "MATLAB/SIMULINK의 모델기반 제어기 설계를 이용한 표면부착형 영구 자석 동기전동기의 벡터제어 구현," 전기학회논문지, 제57권 제8호, 1383-1391쪽, 2008년 8월 

  5. 정동화, "토크 관측기에 의한 PMSM 서보 시스템 의 위치 및 속도 센서리스 벡터제어,"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B편 제32권 제2호, 290-300쪽, 1995년 2월 

  6. 설승기, 전기기기제어론, 홍릉과학출판사, 155-173 쪽, 481-486쪽, 2009년 

  7. B. K. Powell, K. E. Bailey, and S. R. Cikanek, "Dynamic Modeling and Control of Hybrid Electric Vehicle Powertrain Systems," IEEE Trans. Control System Tech., vol. 18, no. 5, pp. 17-33, Oct. 1998? 

  8. Reza N. Jazar, Vehicle Dynamics: Theory and Application, Springer, pp. 39-55, 2008. 

  9. 최욱돈, 김동희, 노채균,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에 서의 유도전동기의 최대효율제어 효과(II),"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74-79쪽, 2000 년 9월 

  10. S. Onoda and A. Emadi, "PSIM-Based Modeling of Automotive Power Systems: Conventional,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IEEE Trans. Vehicular Tech., vol. 53, no. 2, pp. 390-400, Mar. 2004. 

  11. M. Ehsani, K. M. Rahman, and H. A. Toliyat, "Propulsion System Design of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IEEE Trans. Ind. Appl., vol. 44, no. 1, pp. 19-27, Feb. 1997. 

  12. R. C. Kroeze and P. T. Krein, "Electrical battery model for use in dynamic electric vehicle simulations," in Proc. of th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 Rhodes, pp. 1336-1342, Jun. 2008. 

  13. 길범수, 조종표, 김강출, "도심주행 패턴에 따른 소형 전기자동차 최적화 전략,"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53-59쪽, 2010년 5월 

  14. H. Hao, X. Guoqing, and Z. Yang,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of Electric Vehicle Powertrain System," in Proc. Power and Energy Engineering Conf., pp. 1-5, China, Mar. 2009. 

  15. J. P. Trovao, P. G. Pereirinha, and H. M. Jorge, "Design Methodology of Energy Storage Systems for a Small Electric Vehicle," The 24th International Battery, Hybrid and Fuel Cell Electric Vehicle Symp., pp. 1-12, Stavanger, Norway, May 2009. 

  16. 권정혁, 변지섭, 최중경, "직접 구동방식의 터보 압 축기를 위한 150마력, 70,000rpm 초고속 전동기구동시스템 개발,"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SC편 제 40권 제1호, 45-54쪽, 2003년 1월 

  17. 김상훈, DC 및 AC 모터제어, 복두출판사, 96-103 쪽, 2008년 

  18. www.mathworks.co.kr 

  19. 서일홍, 박명관, "전기자동차의 조향과 추진을 위한 지능형 통합 제어 시스템,"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B편 제33권 제7호, 1041-1051쪽, 1996년 7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