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7, 2012년, pp.672 - 682
정재화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 고수진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 오영재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부설영재교육원 소속 28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3개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심각성, 확실성, 체험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지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Draw-An-Earth Test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DAET 체크리스트와 인터뷰 분석 결과 지구계의 구성요소에서 80개, 지구계의 상호작용에서 11개, 지구계의 소양 영역에서 4개의 요소가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지식 수준과 관련하여 대기 오염, 지구온난화, 수질 오염에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산성비, 대기 오염, 수질 오염에 대하여 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성비, 대기오염, 산림파괴에 대하여 체험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수 학습 측면에서 초등 과학 영재들이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about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 total of 28 students in the attached center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o the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participati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나 오존층 파괴에 대해 오개념을 가지는 이유는? | 최근 들어, 환경 문제를 교육시키는데 있어서 체험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접근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은 지구 온난화나 오존층 파괴에 대하여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전지구적인 환경 문제가 불확실하고 체험불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Francis et al., 1993; Christidou and Koulaidis, 1996). | |
체험가능성은 무엇인가? | 체험가능성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일상 생활 속에서 오감을 통해 직접 감지 할 수 있는 정도”라고 정의 될 수 있다(Lee and Fortner, 2000). 예를 들어, 길에 있는 흙이나 나무는 전파나 바이러스에 비해 더 체험 가능한 대상이다. | |
초등학교 고학년 영재학생들이 올바른 지구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기 위해 지구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 초등학교 고학년 과학 영재학생들은 성장하여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을 도모하며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 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이며, 이때 지구과학적 소양과 환경 문제에 대한 바른 이해는 필수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이 될 것이다. 지구과학적 소양을 갖춘 학생들은 환경문제와 관련된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을 위한 가치 판단 등을 현명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영재학생들에게는 올바른 지구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기 위하여 지구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지구계 교육 활동을 전개하기에 앞서 지구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구환경 문제에 대하여 체험적 측면에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
Boyes, E. and Stanisstreet, M., 1992, Students' perceptions of global war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2, 287-300.
Boyes, E. and Stanisstreet, M., 1998,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how major global environmental effects might cause skin cancer.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 31-36.
Chambers, D.W., 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 Draw-A-Scientist-Test. Science Education, 67, 255-265.
Cho, K.S. and Kang, H.A., 2002, Reaction of students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ESE program: Focusing on the global climate gam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299-308. (in Korean)
Christidou, V. and Koulaidis, V., 1996, Children's models of the ozone layer and ozone deple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 421-436.
Finson, K.D., Beaver, J.B., and Cramond, B.L.,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 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Mathematics, 95, 195- 205.
Francis, C., Boyes, E., Qualter, A., and Stanisstreet, M., 1993, Ideas of elementary students about reducing the "greenhouse effect." Science Education, 77, 375-392.
Kim, Y.J., Jeong, J.W., and Wee, S.M., 2009, Analysis of conceptions of earth system cycle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 963-977. (in Korean)
Lee, C.J., 2003, Identify and academic classification of earth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650-656. (in Korean)
Lee, H., 2003,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second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rth systems contents and environmental topics.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Columbus, OH, USA: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81-91.
Lee, H. and Fortner, R.W., 2006,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Issu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 705-714.
Lee, H.N., Fortner, R.W., and Mayer, V.J., 2004, Earth Systmes Education: An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Construct for Korea. Secondary Education Reaearch, 52, 397-426.
Lee, J. and Fortner, R.W., 2000,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by perceived certainty and tangibilit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9, 11-20.
Lee, J.A., Maeng, S.H., and Kim, C.J., 2007,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05-717. (in Korean)
Lee, J.Y., 2000, Subjectivity in percep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it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13, 14-23. (in Korean)
Lee, Y.S. and Kim, S.S., 2010,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earth system understanding levels on environmental recognition. Kosee, 98-100. (in Korean)
Lim, E.K., Hong, S.W., and Jeong, J.W., 2000, Field aplication of earth system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93-102. (in Korean)
Mason, L. and Santi, M., 1998, Discussing the greenhouse effect: Children's collaborate discourse reasoning and conceptual chang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4, 67-85.
Mayer, V.J., 1995, Using the earth systems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 375-391.
Mayer, V.J., 2002, Global Science literacy (Ed.),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Mayer, V.J., 2003,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Ed.), Columbus, OH: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Mayer, V.J., Brown, S.M., Graham, M., and Jax, D.W., 1992, The role of planet earth in the new science curriculum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0, 66- 73.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0, High school curriculum commentary: Science.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Korea, 244 p. (in Korean)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High school curriculum (I).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Korea, 551 p. (in Korean)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Seoul, Korea, 269 p. (in Korean)
Oware, E.A., 2008, Examining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engine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Riechard, D.E. and McGarrity, J., 1994,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relative risk from 10 societal and environmental hazard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1, 16-23.
Riechard, D.E. and Peterson, S.J., 1998, Perception of environmental risk related to gender, community socioeconomic setting, age, and locus of control.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 11-19.
Rye, J.A., Rubba, P.A., and Wiesenmayer, R.L., 1997, An investig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global war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 527-551.
Seo, H.A., and Lee, Y.H., 2003, An analysis of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gifted education apparatu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1, 69-86. (in Korean)
Shin, D.H., 2000,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479-487. (in Korean)
Shin, D.H., 2001, Earth science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147-158. (in Korean)
Shin, D.H., and Lee, D.Y., 2000, Children's View of Environmental Value and Attitudes: On the basis of Age and Gend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13, 63- 73. (in Korean)
Stanisstreet, M. and Boyes, E., 1996, Young people's ideas about global environmental issues. In G. Harris and C. Blackwell (Ed.), Monitoring change in education 2: Environmental issues in education. Aldershot, Ashgate, UK, 186 p.
Thompson, S., and Lyons, J., 2008, Engineers in the classroom: Their influence on African American students' perceptions of engineer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8, 197-211.
Yu, E.J., Lee, S.K., and Kim, C.J., 2007, Investigating science-talented students' understandings and meaning generation about the earth systems based on their geological field trip report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671-683. (in Korean)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