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개 공공병원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인식과 기능수행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Role Perception and Function Performance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 among the Medical Staff in a National Hospital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7 no.2, 2012년, pp.67 - 75  

조영혜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이상엽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정동욱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최은정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김윤진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  이정규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  고유영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  이유현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  배미진 (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  김창훈 (부산대학교병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차원의 공공보건의료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실제 의사, 간호사, 보건직등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역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책임감에 대한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며 성공적인 공공보건의료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모든 의료 종사자들의 역할 인식과 직종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이에 일개 국립병원 의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역할 인식과 기능수행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일개 국립대학병원 직원을 직종별로 20%를 무작위 추출하여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의사직 103명(38.9%), 간호직 98명(37.0%), 기타직 64명(24.1%) 등 총 265명(80.2%)이 참여하였다. 의료 종사자들은 공공보건의료시책의 수립 시행 및 평가 지원사업,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의료 활동에의 참여 및 지원사업, 민간보건의료기관에 대한 기술지원 및 교육사업,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 노인, 장애인, 정신 질환자 등 타 분야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보건의료, 아동과 모성에 대한 보건의료 등 공공보건의료의 필수적인 6가지 항목에 대하여 공공보건의료 기관으로서의 역할 인식이 부족하였다. 반면 주요 질병관리사업,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 및 검사사업, 보건의료인의 교육훈련사업, 전염병 예방 및 관리, 응급환자의 진료, 민간보건의료기관이 담당하기 어려운 예방보건의료 등 6 가지 항목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대체적으로 보건의료기관 종사자의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서 역할과 책임의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앞으로 공공병원의 공공성 강화를 위하여 공공보건의료 전담인력 확보와 계획적인 공공보건사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hile there have recently been efforts to improve public health service at a governmental level, there is actually insufficient research on awareness of the roles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 among hospital employees. This study examined role perception and function performance rel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복지가족부와 공공보건의료사업지원단에서 국립대병원의 공공성 현황을 조사하려는 노력은 있었으나 의사, 간호사, 보건직 등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 평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공공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수행해야 하는 여러 가지 기능들에 대하여 공공병원 종사자들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제 기능수행에 대한 평가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 최근, 정부차원의 공공보건의료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실제 의사, 간호사, 보건직 등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역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책임감에 대한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며 성공적인 공공보건의료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모든 의료 종사자들의 역할 인식과 직종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이에 일개 국립병원 의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역할 인식과 기능수행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대학병원과 지방공사 의료원은 무엇으로 분류되어 있는가? 국립대학병원과 지방공사 의료원은 공공의료기관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공의료기관의 공공성 강화가 우리나라의 공공의료 발전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5]. 이러한 공공의료기관의 성공적인 공공보건의료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의사를 비롯한 다양한 직종의 병원 종사자들의 역할 인식과 직종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공공의료기관의 성공적인 공공보건의료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국립대학병원과 지방공사 의료원은 공공의료기관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공의료기관의 공공성 강화가 우리나라의 공공의료 발전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5]. 이러한 공공의료기관의 성공적인 공공보건의료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의사를 비롯한 다양한 직종의 병원 종사자들의 역할 인식과 직종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보건복지가족부와 공공보건의료사업지원단에서 국립대병원의 공공성 현황을 조사하려는 노력은 있었으나 의사, 간호사, 보건직 등 공공의료기관 종사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 평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공공의료기관이 초기에 시행했던 공공보건의료계획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보건복지부는 2000년에 국가차원에서 보건의료 자원의 개발 및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국립대학교를 포함한 공공의료기관이 5년마다 공공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해 시행하도록 하였다 [1,2]. 그러나 1기, 2기의 공공보건의료계획이 무료진료 봉사, 무료강좌 등 일회적·단편적 행사 차원의 사업이나 병원의 일상적인 기본 업무에 그치는 등 미흡한 부분이 많았으며 대상 의료기관에 대한 공공의료 기능 평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3].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는 2008년도부터 국립대학교병원에 공공보건의료 전담조직을 설치할 것을 요구하였고 현재 모든 국립대학교병원은 공공보건의료 사업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of public health, 9932, Statutes of the republic of Korea. 2010 (Korea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c health and medical project promotion team, Evaluation of public health and medical project of 2008. 2009 (Korean)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development project of local based public hospitals, 2009 (Korean)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c health and medical project: Act policy of 2009, 2008 (Korean) 

  5. Kang PS.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Korea. Korean J of Rural Med 2000;25(2):217-230 (Korean) 

  6. Kim CY. Assignment and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Medical Policy.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2003, pp. 61-78 (Korean) 

  7. Lee PS, Lee YT, Kim, SM, Oh JH, Hwang JT, Shin YJ. Work Examination and Evaluation of Public Health Medical institu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0 (Korean) 

  8. Park CB.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Medical Institution.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00, pp. 29-38 (Korean) 

  9. Kim YI. Research of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promotion and support. 2003 (Korean) 

  10. Lee KS. A research of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reinforcement as public facili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nkuk medical university. 2006 (Korean) 

  11. Park SJ. A research of private medical university hospital's reinforcement as public facility. Kyung He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2006 (Korean) 

  12. Kim YL, Kim SW, Chung EK, Choi JS. Education need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Korean J of Rural Med 2002;27(1):51-64 (Korean) 

  13. Hwang EJ. Educational Needs for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11;41(3):393-402 (Korean) 

  14. Strohschein J, Hagler P, May L. Assessing the need for change in clinical education practices. Physical Therapy 2002;82(2):160-172 

  15. Kim CY, Kim YI, Kam S. Expansion Plan of National hospital.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