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of Firefighter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6 no.5, 2012년, pp.28 - 34  

채진 (경기도소방학교) ,  우성천 (강원대학교) ,  고기봉 (중앙소방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과적인 조직운영을 위한 직무스트레스의 관리는 무엇보다 조직구성원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직무로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거나 스트레스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조직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영향요인은 심리적 환경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이며, 그 다음으로는 조직문화, 신체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행정업무와 인간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ive for the operation of fire department management of occupational stress than what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would cause job stress. Dysfunction caused by job stress or minimize that by eliminating the stress factor that can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H1, 행정업무의 부담이 많을수록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할 것이다.
  • H2, 조직문화가 경직될수록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할 것이다.
  • H3,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않을수록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할 것이다.
  • H4, 신체적 환경의 악화는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할 것이다.
  • H5, 심리적 환경이 불안할수록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는 증가(+)할 것이다.
  • 소방공무원은 교대근무라는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작업환경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계급적 조직 특성으로 인해 일방적인 의사소통, 사고의 다양성의 부족 등으로 인해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한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 안전을 보호하는 소방공무원의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소방행정서비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제 조직적 차원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가설이란 실증적인 증명에 앞서 세우는 잠정적 진술이며 나중에 논리적으로 검정될 수 있는 명제이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각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소방공무원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식화했으며, 이러한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인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각각의 독립변수에 따라 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olice Officer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Seoul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 16, No. 3, pp. 74-79 (2005). 

  2. M. S. Ha and Y. S. Kwon Yong, "A Study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Job Stress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Vol. 11, No. 3, pp. 214-245 (2002). 

  3. Schuler,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Hand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pp. 36-38 (1984). 

  4. Singer, Marc G., "Human Resource Management", Boston: PWS-Kent Publishing Company, p. 374 (1992). 

  5. Kast, Fremont E. and James E. Rosenzweig,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 Systems and Contingency Approach, 4th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pp. 654-655 (1985). 

  6. W. H. Ock and S. Y. Kim, "A Study on Job Stress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cal Public Service", The Kore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35, No. 4, p. 355 (2001). 

  7. Salas, Eduardo, James E. Driskell and Sandra Hughes, "Introduction: The Study of Stress and Human Performance", in James E. Driskell and Eduardo Salas, eds., Stress and Human Performan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p. 5 (1996). 

  8. S. M. Jex, Stress and Job Performan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p. 2 (1998). 

  9. L. E. Hinkle, "The Concept of Stress in the Biological Social Science", Stress Medicine and Man, 1, Vol. 31, No. 48, p. 32 (1973). 

  10. H. Selye, "The Stress of Life", New York & Landon: Longmans, Greens & co, p. 9 (1979). 

  11. Altman, Steven, Enzo Valenzi and Richarc M. Hodgetts, Organizational Behavior: Theory and Practice, Orlando, FL : Academic Press, Inc, p. 426 (1985). 

  12. Y. K. Lee, "The Causes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 Vol. 8, No. 1, p. 49 (2004). 

  13. Singer, Marc G., "Human Resource Management", Boston: PWS-Kent Publishing Company, p. 374 (1992). 

  14. Schuler,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Hand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pp. 36-38 (1984). 

  15. Kast, Fremont E. and James E. Rosenzweig,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 Systems and Contingency Approach, 4th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pp. 654-655 (1985). 

  16. John R. P. French, Robert D. Caplan and R. Van Harrison "The Mechanism of Job Stress and Strain", NY: Wiley, pp. 1-16 (1982). 

  17. H. K. Kim, "The Theory of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Seoul: Yangseowon, p. 367 (1994). 

  18. E. S. Cho, "Modern and Mental Health", Seoul: Bobmunsa, p. 323 (1994). 

  19. Schein, "Organizational Psychology" (3rd ed).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p. 198 (1980). 

  20. D. Katz and R. L. Kahn,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p. 204 (1966). 

  21. M. S. Ha and Y. S. Kwon, "A Study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Job Stress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Vol. 11, No. 3, pp. 214-245 (2002). 

  22. W. H. Ock and S. Y. Kim, "A Study on Job Stress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cal Public Service", The Kore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35, No. 4, p. 368 (2001). 

  23. R. H. Low and S. J. Vodanovich, "A Field Study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Business and Psychology, pp. 99-114 (1995). 

  24. R. Folger and R. Cropanzano, "Organizational Juctice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p. 77 (1998). 

  25. S. K. Lee and Y. K. Lee, "Empirical Study on the Causes and Results of Job Stress Among Fire Fighte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1, No. 2, pp. 76-84 (2007). 

  26. Ha, D. I. Kim, B. S. Seo, W. S. Kim, S. Ryu and S. G. Kim,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0, No. 2, p. 109 (2008). 

  27. S. G. Kim and H.-S. Kong, "A Study on Profession Stresses of Fir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8, No. 6, p. 90 (2008). 

  28. Y. S. Moon, "The Level and Job-related Provoking Factors of Firefighters' Stress", The Korean Journal o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5, No. 1, p. 135 (2011). 

  29. J. Ha, D. I. Kim, B. S. Seo, W. S. Kim, S. Ryu and S. G. Kim,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0, No. 2, p. 10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