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미디어와 산업의 인식도 조사
Survey on Comparative Awareness between Media and Industry on Occurrence of Food Safety Incid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8 no.2, 2013년, pp.108 - 114  

신원정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  이유시 (식품의약품안전청) ,  오세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박태균 (중앙일보) ,  김보영 (한양대학교) ,  김호식 (한국과학기자협회) ,  이정호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승용 (식품의약품안전청) ,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본 연구는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보도용어'와 '대응용어'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알아보고 용어선택에 따른 피해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식품기업체 식품안전관리책임자 28인과 식품전문기자 17인 총 45인을 대상으로 인식도 조사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그 결과,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는 질문에 기자 70.6%, 기업체 92.9%가 '매우 그렇다'의 응답률을 보였다. 미디어의 자극적인 용어사용이 기업피해의 원인이라는 인식에는 기업체의 83%가 '매우 그렇다', 기자의 70.6%가 '그렇다'로 답해 양측 모두 자극적 용어사용으로 인한 기업피해를 인식하고 있었다. 미디어의 '보도용어'와 정부, 학계 등의 '대응용어'가 소비자의 인식과 사건의 파급에 차이를 주는지를 묻는 질문에 기업체의 92.9%와 기자의 35.3%가 '매우 그렇다'로 답해 두 집단 모두 용어의 차이가 소비자의 인식뿐 아니라 파급을 확대시킨다는데 공통적인 의견을 보였으나 기업이 훨씬 심각하게 느끼고 있었다. '보도용어'의 통일 및 사용제한에 대해 기업체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이고 기자는 긍정과 부정으로 답변이 나뉘어 개인차가 컸다. 식품안전사건 발생시 소비자와 기업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업과 기자, 전문가간 사용하는 용어의 일치 및 차이를 좁힐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scribe the comparative awareness between media and industry, we conducted a survey with a professional group including 28 food safety managers at food corporations and 17 food journalist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reporting terms' and 'correspondence terms' when food safe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품안전사고발생 시 미디어의 영향력과 기자, 산업계 식품안전관리책임자의 인식을 분석하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자와 기업체의 인식도 비교조사 결과, 기자와 기업체 모두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미디어의 영향력이 매우 중요하고 크다는 공통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보도용어’와 ‘대응용어’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알아보고 용어선택에 따른 피해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기존 연구는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치우쳐 있고, 사건 자체의 위해성과 규모, 파급효과에 대한 ‘보도용어’사용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미디어의 영향력과 파급효과, 기자와 산업계의 인식들에 대해 설문조사함으로써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론과 미디어는 식품안전사고 발생시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가?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위해정보를 전달할 때 파급효과의 정도는 용어선택이 크게 영향을 준다. 언론과 미디어는 식품안전사고 발생 시 위해정보를 왜곡하지 않고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정보전달 시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 등의 방법으로 확실한 위해정보전달을 해주는 것이 언론의 역할이다.
언론과 미디어는 본질적으로 어떤 양면성을 가지고 있는가? 언론은 국민들에게 과학적 근거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사당국의 일방적인 조사를 미리 보도함으로써 정부를 신뢰할 수 없게 만들었다. 언론과 미디어는 본질적으로 공공성과 상업성이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식품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언론은 소비자에게 위해요인을 알리고 정부에게는 안전정책수립을 유도한다.
어떤 점에서 식품안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가? 식품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이자,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자원이다. 이러한 점에서 식품안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ee, C.H.: Analysis of food hygiene incidences in Korea. Fd. Sci. Indus., 39(2), 3-10 (2006). 

  2. Sung, M.J. and Kim, S.J.: The influence of consumers' risk perception on their product purchase and communication behavior. Korean. J. Ad. Pub. Rel., 12(4), 555-589 (2010). 

  3. Nam, H.J. and Kim, Y.S.: A survey on perceived food safety in urban residents. Korean. J. Fd. Nutri., 19(2), 126-142 (2006). 

  4. Lee, G.H.: Case studies and success strategies for developing risk communications. J. Fd. Hyg. Safety, 2(2), 33-42 (2007). 

  5. Lee, G.O. and Park, J.W.: A frame analysis of news coverage on the Kimchi risk in 2005. Korean. J. Broadcasting, 20(5), 260-305 (2006). 

  6. Lee, E.J.: The effect of BSE news reports on beef intake. J. Fd. Server. Management, 4, 223-239 (2001). 

  7. 이철호: 식품위생사건백서II.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8. 이철호, 맹영선: 식품위생사건백서.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9. Lee, G.O.: Food risk communication and media. J. Fd. Hyg. Safety, 2(2), 19-27 (2007). 

  10. Bahk, G.J.: The analysis of food safety incidents from 1998 to 2008 in Korea. J. Fd. Hyg. Safety, 24(2), 162-168 (2009). 

  11. Lupton, D.: 'A grim health future' food risk in the Sydney press. Health. Risk & Society, 6(2), 187-200 (2004). 

  12. Oh, S.R., Shin, W.J., Park, T.G., Kim, R., Kim, H.S., Lee, J.H., Hwang, S.H. and Ha, S.D.: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reporting terms of government and media on risk communication in major food safety incidents. J. Fd. Hyg. Safety, 27(3), 203-208 (2012). 

  13. Kim, R., Sung, W.K. and You, B.J.: Management system for term standardization. J. Korea. Contents. Assoc., 7(1), 94-9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