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전실하는 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역할 적응 과정: 희망과 두려움 속에서 반(半)간호사 되어가기
Role Adaptation Processes of Family Caregivers with Patients Transferred from Intensive Care Unit to General Ward: Becoming almost a Nurse with Hope and Fear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6, 2014년, pp.603 - 613  

권희경 (서울대학교병원) ,  송미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dentify the role adaptation processes of family caregivers with patients transferred from intensive care unit to general ward. Methods: Using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andelowski의 신뢰성, 적합성, 감사가능성, 확인가능성의기준을 어떻게 사용하였는가?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Sandelowski[14]의 신뢰성, 적합성, 감사가능성, 확인가능성의기준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신뢰성을 확립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따라 진행하였고, 녹음, 현장일지, 메모 등을 비교하면서 기술하는 작업을 연구가 완료될 때가지 계속하였다. 또한 이론적 표본추출에 따라 개념과 참여자의 구성을 다양하게 하였다. 적합성을 위해 연구결과가 자료에서 직접 도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감사 가능성과 확인 가능성을 확립하기 위해, 자료분석 후 일부 참여자에게 결과를 확인하였고,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해 연구자 2인이 지속적으로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 결과를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 2인과 분석결과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었다.
중환자실 입원은 어떨 때 이루어지는가? 중환자실 입원은 생명이 위급한 환자에게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과 첨단의료장비를 이용하여 집중감시와 간호 및 치료가 요구될 때 이루어진다[1]. 반면에 중환자실 퇴실은 환자의 신체적 상태가 안정되어 더 이상의 중환자실 치료나 모니터링이 요구되지 않는다고 의사가 판단한 경우 이루어진다[2].
중환자실 퇴실은 언제 이루어지는가? 중환자실 입원은 생명이 위급한 환자에게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과 첨단의료장비를 이용하여 집중감시와 간호 및 치료가 요구될 때 이루어진다[1]. 반면에 중환자실 퇴실은 환자의 신체적 상태가 안정되어 더 이상의 중환자실 치료나 모니터링이 요구되지 않는다고 의사가 판단한 경우 이루어진다[2]. 이처럼 중환자실에서 병동으로의 전실은 보통은 더 안정된 상태가 확인된 후의 이동이지만,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화를 경험하는 전환기의 과정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Relman AS. Intensive-care units: who needs them?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0;302(17):965. 

  2. Kohlenberger C, Sprung C, Danis M, Armstrong C, Baily M, Chalfin D, et al. Consensus statement on the triage of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4;271(15):1200-3. 

  3. Chick N, Meleis AI. Transitions: a nursing concern. School of Nursing Departmental Papers. 1986:9. 

  4. Chaboyer W, James H, Kendall M. Transitional care after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Critical Care Nurse. 2005;25(3):16-28. 

  5. Cullinane JP, Plowright CI. Patients' and relatives' experiences of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unit to wards. Nursing in Critical Care. 2013;18(6):289-96. http://dx.doi.org/10.1111/nicc.12047 

  6. Chaboyer W, Kendall E, Kendall M, Foster M. Transfer out of intensive care: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patient and family perceptions. Australian Critical Care. 2005;18(4):138-45. 

  7. Leith BA. Patients' and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Heart &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1999;28(3):210-8. 

  8. Bouvee LR, Rozmus CL, Giordano P. Preparing parents for their child's transfer from the PICU to the pediatric floor. Applied Nursing Research. 1999;12(3):114-20. 

  9. Van Waning NR, Kleiber C, Freyenberger B.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col for transfers out of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2005;25(3):50-5. 

  10. Chaboyer W, Thalib L, Alcorn K, Foster M. The effe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patients and family's anxiety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7;23(6):362-9. 

  11. Son YJ. Development and effec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143-55. 

  12. Kim KH, Hong JS. A comparative study on attitudes toward family in Korea and Japan. Family and Culture. 2013;25(3): 186-213. 

  13. Corbin J,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London, UK: Sage Publications; 2008. p. 1-400. 

  14.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n Nursing Science. 1986;8:27-37. 

  15. Kim CM, Choi SB. The coping process of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at home and new diretion for welfare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Regional Innovation. 2005;1(1): 97-151. 

  16. Son YJ, Seo YO, Hong SK. Experiences on transfer of critically ill patients from intensive care units to general ward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1):92-102. 

  17. McCubbin MA, McCubbin HI. Families co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Danielson CB, Hamel-Bissell B, Winstead-Fry P, editors. Families, health &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Madison, WI: Mosby; 1993. p. 1-340. 

  18. Meleis AI, Sawyer LM, Im E-O, Messias DKH, Schumacher K.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000;23(1):12-28. 

  19. Choi MH. Caring experience of mothers with IDDM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1):81-92. 

  20. Davies S. Meleis's theory of nursing transitions and relatives' experiences of nursing home ent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6):658-71. 

  21. Streater C, Golledge J, Sutherland H, Easton J, MacDonald R, McNamara R, et al. The relocation experiences of relatives leaving a neurosciences critical care unit: a phenomenological study. Nursing in Critical Care. 2001;6(4):1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