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 환자가족의 전실스트레스, 불안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a Relocation Information Guidebook on Relocation Stress,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2, 2015년, pp.43 - 54  

이현주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a relocation information guidebook, on th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be transferred from a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to a general ward. Method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병실로 전실하는 신경외과 중환자실 환자가족을 대상으로 전실 관련 요구도를 반영한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환자 가족의 전실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간호의 중요한 영역인 교육의 만족도를 증가시켜 환자의 질병 회복은 물론 환자 및 가족의 안녕감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간호실무에서 실질적인 간호중재 방법으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I대학교의 연구윤리위원회(IRB) 승인을 받았으며(승인번호 : 2-1041024–AB-N–01–20140425– HR–045), 자료수집시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진행 중 언제라도 참여를 철회할 수 있다는 내용과 익명을 보장한다는 것, 참여 철회나 자료의 내용으로 인한 어떠한 불이익도 발생하지 않으며, 본 연구의 자료는 순수한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된다는 내용을 구두 설명하였다. 또한 서면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작성함으로써 연구의 윤리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전실하는 환자가족의 전실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실 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전실하는 환자 가족에게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은 전실스트레스와 불안 감소에 유의한 효과는 없었지만 교육만족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가족의 전실스트레스, 불안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전실하는 환자가족의 전실 스트레스, 불안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 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전실하는 환자가족의 전실 스트레스, 불안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환자가족에게 보다 효과적인 전실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환자 질환에 따라 전실 후 요구되는 치료 및 간호 요구도가 다르며, 환자의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한 선행연구들(Han, 2010; Mitchell & Courtney, 2004; Son, 2009)을 근거로 신경외과 중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전실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특히 신경외과 뇌손상 환자는 의식 및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주변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해 가족들의 전실스트레스가 높다(Han,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경외과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가족을 대상으로 전실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교육 방법으로 소책자를 활용하였는데, 매체 없이 단순히 정보 전달만 하는 비구조적 방법보다 교육용 책자, 녹음테이프, 비디오테이프 등을 이용하는 구조적인 방법이 대상자의 기억과 실천에 효과적이고(Kang & Jun, 2010), 전실 후 가족이 주로 환자를 관찰하거나 돌보게 될 장소가 침상 옆이며, 침상 옆에서 일대일로 구두설명과 함께 시범을 보일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소책자가 교육만족도가 높고 대상자가 교육내용을 기억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매체이다.
  • 전실정보 가이드북의 내용으로 환자상태, 전실계획, 병동정보, 안전관리, 욕창관리, 경관급식, 응급상황 대처법, 기관절개 튜브의 흡인, 기구관리(비위관, 기관내관, 중심정맥관, 도뇨관)등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중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전실 시 환자의 몸의 부착된 기구나 장치의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은 기구나 장치의 목적 및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가족이 기구나 장치에 대한 부담감 및 불안을 가지지 않도록 하고 환자의 이상 징후 및 의료인에게 알려야할 관찰사항을 설명해주기 위해 포함시켰다. 전실정보 가이드북에 포함된 구체적 내용은 [Table 1]과 같다.
  • 그러므로 간호 실무에서 간호사에 의한 신경외과 중환자실 전실 전후의 체계적인 정보제공은 간호의 중요한 영역인 교육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데 효율적인 간호중재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중요한 결과변수인 전실 스트레스와 불안에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은 질환 중심의 전실 중재가 아닌 환자의 개별상태에 맞는 맞춤형 전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교육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전실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이란 무엇인가? 중환자실은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의료진의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관찰과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 공간으로 환자가 족들의 접근이 일부 제한되는 곳이다(Lee & Lim, 2014). 현재 대부분의 중환자실에서 환자의 휴식, 감염 예방 및 치료와 간호활동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면회시간 및 횟수를 제한한다.
전실과 관련된 스트레스는 환자 및 가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전실과 관련된 스트레스는 환자 및 가족의 질병대처 능력 감소, 치료지시 불이행, 입원 기간의 연장, 더 나아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로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Watts, Pierson, & Gardner, 2005). Park, Yoo, Son과 Bae(2010)의 연구에서는 전실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 증상경험, 제공되는 간호의 변화, 전실 과정 만족도, 중환자실 재실기간, 경제 수준 등을 제시하였다.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가족의 전실스트레스, 불안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목적은 무엇이 있는가? 1)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전실하는 환자가족의 전실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2)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전실하는 환자가족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3) 전실정보 가이드북을 이용한 교육이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전실하는 환자가족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ooke, J., Hasan, N., Slark, J., & Sharma, P. (2012). Efficacy of information interventions in reducing transfer anxiety from a critical care setting to a general war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Critical Care, 27(4), 9-15. 

  2. Chaboyer, W., James, H., & Kendall, M. (2005). Transitional care after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25(3), 16-29. 

  3. Chaboyer, W., Thalib, L., Alcorn, K., & Foster, M. (2007). The effe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patients and family's anxiety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Critical Care Nursing, 23(6), 362-369.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eillsdale, NJ: Erlbaum. 

  5. Coyle, M. A. (2001). Transfer anxiety: preparing to leave intensive care. Intensive Critical Care Nursing, 17(3), 138-143. 

  6. Endacott, R., Chaboyer, W., Edington, J., & Thalib, L. (2010). Impact of an ICU liaison nurse service on major adverse events in patients recently discharged from ICU. Resuscitation, 81(2), 198-201. 

  7. Han, J. O. (2010). A study on relocation stress in patient of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8. Hinshaw, A. S., & Atwood, J. R. (1982). A patient satisfaction instrument: precision by replication. Nursing Research, 31(3), 170-175. 

  9.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994). The study on estimation of nursing cost. Nursing in Living. 

  10. Hwang, H. N., & Kim, K. B. (2000). The lived experiences of inpatient's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2), 175-183. 

  11. Kang, G. S., & Jun, E. M. (2010). The effect of the video education program on the residual urine, gas passing and state anxiety of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6(4), 409-418. 

  12. Kim, E. S., Park, Y. W., Kim, K. A., Kim, J. Y., Lee, E. S., Yun, H. Y., et al. (2007). Stress, social supports, and coping among the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s in ICU.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123-134. 

  13. Kim, G. H. (2006).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tocol on anxiety and role stress of stroke patient's family that were discharged from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14.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5. Kim, S. J., & Lee, Y. M. (2013). Factors affecting the relocation stress of intensive car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2011-2024. 

  16. Lee, H. S., You, M. A., Lee, S. K., & Son, Y. J. (2014). Factors influencing on burden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patients: Planned transfer to general ward after intensive car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5), 211-223. 

  17. Lee, J. W., & Lim, S. Y. (2014). Burden and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2), 421-429. 

  18. Lee, Y. O., & Kang, J. Y. (2011). The effects of extended family visiting hour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4(1), 51-63. 

  19. McKinney, A. A., & Melby, V. (2002). Relocation stress in critical car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2), 149-157. 

  20. Mitchell, M., & Courtney, M. (2004). Reducing family members' anxiety and uncertainty in illness around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4), 223-231. 

  21. Park, J. H., Yoo, M. S., Son, Y. J., & Bae, S. H. (2010). Factor influencing relocation stress syndrome in patients following transfer from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307-316. 

  22. Park, J. M. (2013). Effect of information on relocation stress and anxiety in ICU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3. Son, Y. J. (2008). Development of relocation stress syndrome(RSS) scale for patients transferred from intensive care unit to general ward.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139-150. 

  24. Son, Y. J. (2009).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continuity of care in patients transferred to general wards from ICU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43-155. 

  25. Son, Y. J., Seo, Y. O., & Hong, S. K. (2009). Experiences on transfer of critically ill patients from intensive care units to general wards : Focus group interview on nurses' view.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92-102. 

  26. Spielberger, C. D. (1976). Anxiety: state-trait process, stress and anxiety. New York: John Wiley & Sons. 

  27. Watts, R. J., Pierson, J., & Gardner, H. (2005). How do critical care nurses define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1(1), 39-46. 

  28. Whittaker, J., & Ball, C. (2000).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a view from the ward.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6(3), 135-143. 

  29. Yang, I. S. (2008). Individualized c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heart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0. Yoon, S. H.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nsitional nursing program of brain injur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in neurological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