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급차동승실습 시 프리셉터 제도의 도입에 관한 인식과 수용도
Recognition and acceptance concerning the introduction of preceptorship to the ambulance ride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8 no.1, 2014년, pp.67 - 81  

최은숙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공주대학교 건강산업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receptorshi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concerning the introduction of preceptorship to ambulance ride practice of 119 EMT-paramedics in Korea.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급차동승실습 시 현장에서 프리셉터들의 직접지도를 받는 실습생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프리셉터 제도의 도입에 관한 인식과 수용도를 조사하여 프리셉터 제도의 도입과 프리셉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율적인 구급차동승실습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조사되었다. 프리셉터라는 용어를 들어본 119구급대원들의 75.
  • 본 연구는 소방에서 119구급대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구급차동승실습 시 프리셉터 제도의 도입에 관한 인식과 수용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3년 12월 21일부터 2014년 2월 12일까지였으며 대상자들은 전국의 지역에서 119구급대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연구자가 그 지역의 대표 구급대원을 임의 선정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여 동의를 구하였고 대표 구급대원이 그들이 소속된 지역의 119구급대원들에게 같은 방법으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법(제33조와 제34조)에 의해 절대적으로 비밀이 보장되며 K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에서 연구를 승인받았음을 연구 참여 동의서에 고지하여 대상자가 충분히 본인의 뜻에 의해 연구에 동참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수기로 기입하여 우편으로 회수하거나 e-mail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 응급구조학계에서 프리셉터라는 용어가 생소할 수 있고 아직 연구된바 없으나 응급의료체계에서 구급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졸업 후 119구급대원으로서 역할을 하게 될 응급구조(학)과 실습생들에게 수준 높은 실습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리셉터 제도 하에서 구급차동승실습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119구급대원들이 구급차 동승실습 시 프리셉터 제도의 도입에 관한 인식과 수용도가 어떠한지를 조사해 프리셉터 제도의 도입과 프리셉터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율적인 구급차동승실습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차동승실습의 목적은 무엇인가? 구급차동승실습은 3~4년의 대학 교육과정 중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응급구조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학내에서 학습한 이론지식과 술기들을 병원 전 현장에서 응급환자에게 직접 응급처치 적용을 관찰하며 경험하여 현장적응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1]. 실습을 하는 동안 학생들은 같은 구급차를 타는 119구급대원을 롤 모델로 하여 환자에게 출동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병원에 환자를 인계할 때까지의 모든 응급환자평가와 처치에 관련된 사항들을 직접 보고 배우며 예비 1급 응급구조사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간다.
프리셉터는 어떤 것들을 할 수 있어야 하는가? 프리셉터 제도가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96년 11월에 교육담당간호사 교육을 위한 워크숍을 연후 처음으로 프리셉터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프리셉터의 개념은 멘토와 비슷한 의미로 쓰이고 사전적 의미는 교훈자, 교사, 개인지도교사, 미국에서는 병원에서 의과대학생을 지도하는 지도의사이다[6]. 프리셉터는 전문인의 태도와 역할모델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적절한 평가와 피드백을 줄 수 있어야 하고 정보제공을 줄 수 있고 학생이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대인관계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이 풍부하고 학생을 존중하고 적절한 교수법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7]고 하였으며 프리셉터의 실습교육이 이론과 임상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학생의 임상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유용한 방법이라고 하였다[8].
Lee 등[15]의 연구에서 실습지도자 활용모델 적용에 따른 실습지도자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은 무엇인가? Lee 등[15]의 연구에서는 실습지도자 활용 모델의 적용과 효과에서 적용 전후에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실습지도자 활용모델 적용에 따른 학생의 경험에서 학생이 느끼는 긍정적인 경험은 안정감, 자신감, 책임감, 체계성 등이 있었고 부정적인 경험은 기능중심, 실습지도자의 지식부족, 비전문적 태도, 역할 부담감등이 있었다. 실습지도자의 경험에서는 긍정적 경험으로 동기부여, 책임감, 학교와의 연계성이었으며 부정적 경험은 역할 부담감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잘 분석하여 구급차동승 실습의 프리셉터 모델 활용에 접목시켜야하나 아직은 프리셉터 연구가 시작단계이므로 단계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ES. Influencing factors on satisfaction of field instructor in ambulance ride practice of paramedic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3):101-13. 

  2. Kim S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Korea.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2):17-59. 

  3.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standard protocols for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rs. 2013. Seoul, Korea. 

  4.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ork report of 2014. http://ibook.nema.go.kr/rise7.php/Viewer, 2014. 

  5. Lee SH, Kim MH, Lee JS, Kim JI. Comparison of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preceptor's role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preceptor nurses. JKCA 2012;12(12):291-303. 

  6. Goo MJ. A study o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receptor system in clinical practice proc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2009;9(1):43-52. 

  7. Reeve MM.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J Nurs Educ 1994;33(1):15-20. 

  8. Hickey MT. Baccalaureate nursing graduates' perceptions of their clinical instructional experiences and preparation for practice. J Prof Nurs 2010;26(1):35-41. 

  9. Bang JS, Jang JH, Kim SJ, Sohn UD, Sim SS, Cheng JH et al. A survey for the recognition and adoption rate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preceptorship into the pharmacy education settings. Kor J Clin Pharm 2008;18(1):50-9. 

  10. Lee JH. Effect of preceptorship education on the new staff nurse's performance proficien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09, Gwangju, Korea. 

  11. Park JW, Kim KS, Bang KS. Preceptor's perception of student preceptorship and comparison of perception of the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readiness between nurses and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0;16(2):213-21. 

  12. Lee WH, Kim CJ, Yoo HR, Kim GY, Kwon BE, Kim SH. The effect of preceptorship on clinical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Korean J Adult Nurs 1998;10(2):281-8. 

  13. Lee JD. The study of preceptor-guided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Gwangju, Korea. 

  14. Je NK, Lee IH, Yoon JH. Assessment of changes in pharmacists' perceptions of preceptorship and the effect of a preceptor orientation program. Kor J Clin Pharm 2012;22(2):143-52. 

  15. Lee WH, Kim SS, Han SH, Lee SY, Kim GY.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preceptorship for the improvement of clinical education. J Korean Acad Nurs 1995;25(3): 581-96. 

  16. Yoo SK, Kwon HR, Park HJ, Shin SD, Choi ES, Uhm TH. Job analysis of paramedic on the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3):115-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