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교육의 효과 및 설계특성과 교육상황 인식 평가
Effects of Simulation-based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of Perceived Education Practices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by Students Nur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3, 2015년, pp.206 - 218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송희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교육의 임상판단 수행능력, 협력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효과와 교육 후 교육상황과 설계특성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이다. 연구대상은 A시 소재 4년제 2개 대학 간호학과의 3학년 학생을 각각 편의표집한 실험군 19명, 대조군 28명으로 실험군에게는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추론 교육 프로그램을 매주 1회 120분씩 총 7회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일상적 간호교육을 제공 후 두군 모두 사전조사와 중재 7주후에 임상판단 수행능력, 협력 및 의사소통기술을 측정하되, 협력은 중재 4주후에도 측정하였다. 교육상황과 설계 특성 인식은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후에 응답할 수 있어 실험군에서만 중재 1주, 4주, 7주후에 측정하였다. 자료는 SAS 9.2 프로그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및 Linear mixed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군에서 임상판단 수행능력, 의사소통기술과 협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중재 1회와 7회 간의 시뮬레이션 교육상황과 설계특성의 인식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임상수행능력, 협력, 의사소통기술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 근거할 때 시뮬레이션 기반 임상추론 교육은 임상판단 수행능력, 협력, 의사소통기술을 행동수준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으로 적극적 활용되어야 하며 추후 표본 수를 확대하여 교육효과를 검증하고, 교육상황과 설계특성 인식 정도를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평가 지표로 고려하여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ingle-blind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education on clinical judgement, collabor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erceived education practices and simulation design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 nurses in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술은 상황에서 인식한 것과 경험한 내용을 자유롭게 나누는 반성적 활동을 하였고, 분석은 시뮬레이션 구동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을 본 후에 학생들이 반성을 통해 환자에게 기대했던 것과 잘 한 것과 부족하게 했던 수행 부분을 토의하였으며, 적용은 앞으로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나누었다. 디브리핑 시간 5분을 남겨 놓고 교수자가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해당 시나리오에서의 초점적 사정과 중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파워포인트 자료로 보여주고 마무리 하였다.
  •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교육의 긍정적 효과는 인지적, 정서적 및 정신운동기술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측정하여 제시한 선행연구들에서 꾸준히 지지되어 왔으나 임상실무에 필수적인 임상판단 수행능력과 의사소통 및 협력과 같은 비술기적 기술의 특성을 반영하는 측정을 통해 그 효과를 평가하는 국내연구가 필요하며,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의 특성을 고려할 때 학습자들의 교육상황과 설계특성에 대한 인식이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고충실도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교육이 임상판단 수행능력, 협력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효과와 함께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의 평가를 위해 교육 후 교육상황과 설계특성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상황과 설계특성 인식이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고충실도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추론 교육이 임상판단 수행능력, 협력 및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효과와 함께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의 평가를 위해 교육 후 교육상황과 설계특성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상황과 설계특성 인식이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 수가 작아 일반화에 제한이 따르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실험군의 중재에 활용된 시나리오의 주제에 대한 사전 지식을 측정하지 않아 두 군간에 동질성을 검정하지 못하였으나 교육효과 분석을 위해 두 군간의 사전 사후 점수변화의 차이 값을 분석하여 혼동변수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통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LCJR은 시뮬레이션 상황에서의 임상판단 수행능력을 측정한 것으로 실무에서의 임상판단 수행능력과 차이를 보일 수 있어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시뮬레이션 교육의 결과들이 지식수준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효과 평가만을 제시하였을 뿐 행동 수준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임상적 판단 수행능력에 대한 성과에 대한 보고는 미비한[3] 상황에서 행동수준의 임상판단 수행능력과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제시하였고, 또한 학습자의 시뮬레이션 교육상 황과 설계특성 인식이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국내 간호교육에 시뮬레이션 교육의 도입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습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시뮬레이션 교육과정 운영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요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매주 시뮬레이션 경험은 선행연구들에서 성공 요인으로 보고된 주요 요소를 근거로[4] 브리핑 10분, 시뮬레이션 구동 20분, 다른 팀 구동 관찰 20분, 디브리핑 한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동일 사례에 대하여 여러 번 관찰하는 경우에 만족감의 감소를 나타내므로[22] 다른 팀의 수행관찰을 1회만 하여 간접 경험을 통한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의 협력학습의 원리에 따라 제시된 상황을 서로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3명을 한 조로 구성하여 리더, 제1 간호사 그리고 보호자 역할을 매주 돌아가면서 경험하도록 하였다.
  • 한편, 관찰 수행평가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2명의 평가자는 선행연구에서 도구 평가 훈련을 받고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 수행능력 평가 경험이 있는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 2인이 하였고, 평가자간 평가 결과에 영향 미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각자 다른 시간에 다른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동영상을 보면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자간 신뢰도(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는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충 실도 시뮬레이션의 효과에서 인지적 영역에서는 어떤 효과를 볼 수 있는가? 국내 간호교육에서도 임상실습 교육의 보완으로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극 도입하여 사용하여 왔고, 2006년부터는 간호시뮬레이션 교육 적용 결과 연구 들이 발표되어 왔다[3]. 국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고충 실도 시뮬레이션의 효과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즉, 인지적 영역은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정의적 영역은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만족도 및 자신감, 그리고 정신운동적 영역에서는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교육의 효과가 확인되어[3], 외국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4-6].
인지적 영역에서의 효과들 이외에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무엇을 위해 교육 후 임상판단 능력의 변화 여부 확인의 필요성이 제시되어 왔는가? 그런데, 이러한 효과들 이외에도 시뮬레이션 교육이 실제 임상 경험과 연계되어 임상적 판단 개발을 위한 현실적이고 안전한 기회를 제공하고[7] 환자사정, 문제 인식, 적절한 계획과 수행을 경험하도록 하면서 비판적 사고와 임상추론을 통해 임상판단 능력의 향상에 기여 [8][9]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교육 후 임상판단 능력의 변화 여부 확인의 필요성이 제시되어 왔다[8][12]. 특히 임상 판단 능력은 간호 실무수행의 핵심 요소로 비판적 사고에 근거하여 임상 문제의 사정, 진단과 계획 및 평가를 포함하는 간호과정을 적용하면서 의사결정을 통해 임상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으로[8] 간호사에게는 복잡한 임상현장에서 시시각각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의사결정이 요구됨을 고려할 때[10],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한 임상판단 능력의 향상은 매우 중요한 학습성과라 하겠다.
고충 실도 시뮬레이션의 효과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국내 간호교육에서도 임상실습 교육의 보완으로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극 도입하여 사용하여 왔고, 2006년부터는 간호시뮬레이션 교육 적용 결과 연구 들이 발표되어 왔다[3]. 국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고충 실도 시뮬레이션의 효과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즉, 인지적 영역은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정의적 영역은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만족도 및 자신감, 그리고 정신운동적 영역에서는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교육의 효과가 확인되어[3], 외국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P. M. Ironside, A. M. McNelis, and P. Ebright, "Clinical Education in Nursing: Rethinking Learning in Practice Settings," Nursing Outlook, Vol.62, No.3, pp.185-191, 2014. 

  2. C. A. Blum, S. Borglund, and D. Parcells, "High-Fidelity Nursing Simulation: Impact on Stud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7, Article 18, 2010. 

  3. J. H. Kim, I. H. Park, and S. J. Shin, "System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3, pp.307-319, 2013. 

  4. R. P. Cant and S. J. Cooper,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No.1, pp.3-15, 2010. 

  5. D. M. Gaba, "The Future Vision of Simulation in Health Car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Vol.13, Suppl 1, pp.i2-10, 2004. 

  6. K. Kameg, V. M. Howard, J. Clochesy, A. M. Mitchell, and J. M. Suresky, "The Impact of High Fidelity Human Simulation on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Skill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Vol.31, No.5, pp.315-323, 2010. 

  7. P. R. Jeffries,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6, No.2, pp.96-103, 2005. 

  8. H. K. Hur and Y. S. Roh, "Effects of a Simulation Based Clinical Reasoning Practice Program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5, pp.574-584, 2013. 

  9. K. Lasater,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11, pp.496-503, 2007. 

  10. M. A. Kelly, P. Hager, and R. Gallagher, "What Matters Most? Students' Rankings of Simulation Components That Contribute to Clinical Judg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3, No.2, pp.97-101, 2014. 

  11. C. A. Tanner,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5, pp.204-211. 

  12. J. Victor-Chmil and C. Larew,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10, 2013. 

  13. S. Kardong-Edgren, K. A. Adamson, and C. Fitzgerald, "A Review of Currently Published Evaluation Instruments for Human Patient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6, No.1, pp.e25-e35, 2010. 

  14. B. Mariani, M. A. Cantrell, C. Meakim, P. Prieto, and K. T. Dreifuerst, "Structured Debriefing and Students' Clinical Judgment Abilities in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9, No.5, pp.e147-e155, 2013. 

  15. J. A. Sleeper and C. Thompson, "The Use of Hi Fidelity Simulation to Enhance Nursing Students'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5, No.1, pp.1-12, 2008. 

  16. H. Y. Kim, E. Ko, and E. S. Le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e in Maternity Nursing Practic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8, No.4, pp.312-320, 2012. 

  17. H. K. Hur, H. O. Choi, J. H. Choi, J. S. Jung, S. Y. Kim, and Y. S. Rho,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Healthcare Simulation, Vol.3, No.2, pp.6-13, 2013. 

  18. S. O. Kim and S. Y. Pak,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11, pp.1046-1057, 2013. 

  19. H. K. Hur, S. M. Park, Y. H. Shin, Y. M. Lim, G. Y. Kim, K. K. Kim, H. O. Choi, and J. H. Choi,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cy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2, pp.228-240, 2013. 

  20. S. E. Kardong-Edgren, A. R. Starkweather, and L. D. Ward, "The Integration of Simulation into a Clinical Foundations of Nursing Course: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5, No.1, pp.1-16, 2008. 

  21. D. A. Kolb,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J: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1984. 

  22. J. H. Lee, S. S. Kim, K. S. Yeo, S. J. Cho, and H. L. Kim,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 No.2, pp.183-193, 2009. 

  23. C. Larew, S. Lessans, D. Spunt, D. Foster, B. and G. Covington, "Innovations in Clinical Simulation: Application of Benner's Theory in an Interactive Patient Care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7, No.1, pp.16-21, 2006. 

  24. H. K. Hur, S. M. Park, J. H. Ko, J. H. Choi, and H. O. Cho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Hypoglycemia Clinical Judgment Rubric on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Vol.1, pp.81-93, 2013. 

  25. H. K. Hur, Y. H. Shin, S. M. Park, Y. M. Lim, G. Y. Kim, K. K. Kim, H. Y. Song, H. O. Choi, and J. H. Choi, "Effectiveness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3, pp.314-327, 2014. 

  26. S. Y. Kim, Communication Skills and Empathic Response among 4th Year Medical Students: Videotape Analysis of Real Patient Consultant, Seoul: Sungkunkan University, pp.1-51, 2010. 

  27. J. Norman,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The ABNF journal : offici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culty in Higher Education, Inc, Vol.23, No.2, pp.24-28, 2012. 

  28. D. Bambini, J. Washburn, and R. Perkins, "Outcomes of Clinical Simulation for Novic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nfidence, Clinical Judgmen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30, No.2, pp.79-8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