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해평가 및 모니터링 수행을 위한 표본크기 추정연구: 식품 중 중금속 모니터링 데이터를 중심으로
Sample Size Estimation for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Based on Heavy Metal Monitoring Data from Food Item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2, 2015년, pp.127 - 131  

강희승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고아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정다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하미라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황명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홍진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황인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 ,  윤혜정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식품 중금속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해평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표본 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중금속 3종 (카드뮴, 납 및 수은)과 17개의 식품을 대상으로 2,400개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선정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수행된 모니터링 데이터의 표준편차와 오차범위 및 신뢰구간 값(95, 99% CI)을 활용하여 표본 수 추정공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표본 수 추정 공식에 따라 표본 크기를 추정한 결과, 95% 신뢰구간에서 카드뮴의 경우 계산된 표본의 크기는 최소 8개에서 최대 90개, 납의 경우 최소 7개에서 최대 1,062개, 수은의 경우 최소 11개에서 최대 238개로 각각 추정되었다. 식품 중 중금속 데이터의 표준 편차와 오차범위가 표본 수를 추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여 표본 크기를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향후 위해평가 및 모니터링 수행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표본 수를 결정하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required sample size to monitor food items during risk assessment studies. Based on a data set from a previous study (2,400 data points for heavy metal assessment from 17 food items), the required sample size was estimated by using a single equation with the stand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표준편차(σ)와 발생할 수 있는 오차범위(E)를 활용하여 위해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해 요구되는 표본의 개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약처의 연구사업을 통해 수행된 식품 중 중금속 (카드뮴, 납, 수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위해평가 및 식품모니터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추정해 보았다. 중금속 모니터링 데이터의 표준편차와 오차범위를 설정하여 단일 모수 추정을 위한 표본 수 추정공식에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식품과 중금속 종류에 따른 표본 크기를 모의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해 평가를 위해 제대로 된 표본 수를 얻으려면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위해평가(risk assessment)는 식품 등을 통하여 위해 요소가 인체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건강영향과 유해발생확률을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위해평가 수행을 위해서는 식품모니터링 데이터의 지속적인 수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니터링 표본 수가 요구된다1). 표본 수(sample size)는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하며 통계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유해물질 모니터링 및 검사계획 수립이나 수행 시 실험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표본크기 설정이 연구계획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실험결과가 대표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능한 많은 표본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표본의 크기에 따라 많은 모니터링 및 검사 비용이 발생하므로 표본 수를 적절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2).
위해평가란 무엇인가요? 위해평가(risk assessment)는 식품 등을 통하여 위해 요소가 인체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건강영향과 유해발생확률을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위해평가 수행을 위해서는 식품모니터링 데이터의 지속적인 수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니터링 표본 수가 요구된다1). 표본 수(sample size)는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하며 통계적으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유해물질 모니터링 및 검사계획 수립이나 수행 시 실험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표본크기 설정이 연구계획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카드뮴, 납, 수은과 17개 식품 대상으로 2400개의 모리터링 데이터를 연구한 결과 위해평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표본 수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표본 수 추정 공식에 따라 표본 크기를 추정한 결과, 95% 신뢰구간에서 카드뮴의 경우 계산된 표본의 크기는 최소 8개에서 최대 90개, 납의 경우 최소 7개에서 최대 1,062개, 수은의 경우 최소 11개에서 최대 238개로 각각 추정되었다. 식품 중 중금속 데이터의 표준 편차와 오차범위가 표본 수를 추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여 표본 크기를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향후 위해평가 및 모니터링 수행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표본 수를 결정하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IPCS):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EHC 240. pp. 2-3-4 (2009). 

  2. Jeong K.K., Hwang M.S., Jeong J.Y., Eom J.H., Jeong Y.K., Jo M.Y., Yoon H.J.: Study for developing integrated risk assessment technology of heavy metal.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song, pp. 1-151 (2011). 

  3. WHO: Global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GEMS/food), 1976.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oodsafety/databases/en/. Accessed July 30, (2014). 

  4.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 Hillsdale, New York, pp.1-590 (1988). 

  5. Kim H.Y., Kim J.C., Kim S.Y., Lee J.H., Jang Y.M., Lee M.S., Park J.S., Lee K.H.: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ishes in Korea - As, Cd, Cu, Pb, Mn, Zn, Total Hg -.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53-359 (2007). 

  6. Choi H., Park S.K., Kim M.H.: Risk Assessment of Mercury through Food Intake for Korean Popu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06-113 (2012). 

  7. Kim H.Y., Kim J.I., Kim J.C., Park J.E., Lee K.J., Kim S.I., Oh J.H., Jang Y.M.: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Korea. J. Food Sci. Technol., 41, 238-244 (2009). 

  8. Kwon H.J.: A study on the integrated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for safety control.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song, pp. 1-2174 (2012). 

  9. WHO: Reliable Evaluation of Low-Level Contamination of Food. Available from: http://www.efsa.europa.eu/en/efsajournal/pub/1557.htm. Accessed July 15, (2014). 

  10. Allan G. Bluman: Elementary statistics: A step by step approach, seventh edition. McGraw-Hill Inc., Higher education, New York, pp. 1-897 (2009). 

  11. Taylor, J.K.: Statistical techniques for data analysis. CRC Press, New York, USA. pp. 1-216 (1990). 

  12. Lee H.Y.: A Study on the Sample Size Estimation. Journal of Basic Science. 11, 109-119 (1993). 

  13. Conover, W.J.: Practical Nonparametric Statistics; Wiley. New York. pp. 1-584 (1998). 

  14. Lee C.H., Kang H.M., Sim S.Y.: An implementation of the sample size and the power for testing mean and propor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53-61 (2012). 

  15. Sim S.Y., Choi K.H.: An implementation of sample size and power calculations in testing differences of normal mea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477-485 (2013). 

  16. Lee H.J., Kim Y.S., Park I.: Calculation of sample size in clinical trials,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16, 53-57 (2013). 

  17. Park S.I., Oh T.H.: Sample size calculation in medical research, J. Vet. Clin., 29, 68-77 (2012). 

  18. Lui, K.J., Lin, C.D.: Sample size determination for cluster randomization phase II trials of dichotomous data, Statistical Methodology, 5, 474-485 (2008). 

  19. Chung C.E.: Complex sample design effects and inference fo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Nutr., 45, 600-61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