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 교사의 관심도 변화에 관한 탐색 연구
Exploratory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Stages and its Change of Concerns about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1, 2015년, pp.99 - 112  

박경숙 (경북대학교) ,  김용기 (경북대학교) ,  전재돈 (경북대학교) ,  이효녕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가 융합인재교육(STEAM)에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새롭게 적용되는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Hall에 의해 개발된 관심도 검사 도구(SoCQ)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90명이며, 시범학교 운영 기간인 4월, 6월, 12월에 관심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전체 초등교사의 관심도의 변화는 4월에는 무관심 단계가 가장 높고 결과적 관심이 가장 낮았으나 12월에는 무관심과 운영적 관심이 낮아졌다. 4월과 비교하여 결과적 관심의 평균값이 54.7에서 74.3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교사들의 개인적인 변인을 대상으로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이과를 이수한 초등 교사들은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으며,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갖춘 초등 교사의 경우도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교육대학교 STEM 관련 교과의 심화과정을 졸업한 초등 교사들 역시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다. 개인의 요인에 따라 융합인재교육을 받아들이는 관심 단계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탐색적 연구의 결과는 융합인재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해 가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elementary teachers' stages of concerns and its changes about STEAM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in their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 was administered after the pe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융합인재교육과 같은 혁신적인 변화에 대해 교사들의 관심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관심 수준에 따라 앞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될 융합인재교육의 현장 적용과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최근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관심도(Stages of Concern)의 변화와 교사의 개인적인 변인에 따른 관심도를 조사하여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최근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 시범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 교사의 관심도(Stages of Concern)와 그 변화 및 개인별 변인에 따라 관심도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M 교육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 STEM 교육은 이공 계열을 전공하는 전문가의 양성뿐만 아니라 STEM 교과(과학, 기술(공학), 수학)에 연계된 교육 측면의 질적인 성장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김진수, 2007; 문대영, 2008; 이효녕, 2011; 이효녕 등, 2012; Kuenzi, 2008). STEM 교육에서는 기술/공학적 설계(technological/engineering design) 기반의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설계 기반의 학습 방법은 기술적인 문제해결력, 과학적인 실험, 수학적 수치 해석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을 하나로 통합한다.
주요 선진국들이 융합형 교육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이유는? 21세기에 들어와서 과학과 기술의 발달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들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융합 인재 양성과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융합형 교육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1). 최근 들어 선진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교육의 핵심 분야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 Mathematics) 교육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내용은 무엇인가? 교육과학기술부는 융합인재교육(STEAM)의 실시와 관련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창의적 인재의 양성을 가장 핵심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융합을 강조하는 시대의 변화에 합류하고 미래를 위해 융합적인 사고력과 창조적인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교육과정에 적용된 내용은 학교 또는 학교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유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제2차 과학기술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2a). 융합인재교육의 활성화 방안 및 추진 현황.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2012b). 인재대국 진입으로 선진인류국가 실현. 2012년 업무보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부(2013). STEAM으로 꿈과 끼를 키우다: STEAM 교육 현황 및 정책방향. 서울: 교육부. 

  7. 김문종, 우상호, 김진수(2011). 중학교 기술.가정과 의 STEM 통합교육을 위한 녹색 자동차 만들기 수업 자료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40-158. 

  8. 김석우, 이대용, 강영이(2011). 중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교육평가연구, 24(1), 31-50. 

  9. 김은결, 김종훈(201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STEAM 융합 교육과정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5(4), 551-560. 

  10.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11.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모형의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12. 김진영, 주희영, 이길재(2013). 생명과학 중심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1(4), 531-543. 

  13. 김태훈, 김종훈(2012). 물리학습을 위한 STEAM 기반의 안드로이드 앱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4(1), 25-33. 

  14.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15. 문호준(2005). 제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3), 75-96. 

  16. 박은숙, 김영남(2006). 조리실습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지원 요구도 조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3), 41-60. 

  17. 배선아(2011).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47-64. 

  18. 배선아, 금영충(2009).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 실과교육연구, 15(4), 345-368. 

  19. 배선아, 금영충(2010).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1), 44-67. 

  20.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21. 변순학(2010).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2. 송정범, 신수범, 이태욱(2010).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의 효과성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집, 15(6), 81-89. 

  23.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 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4), 514-523. 

  24. 양지나(2009). 3D CAD를 이용한 STEM 기반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5. 이동윤(2011).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소이, 노태천(2011).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3), 1-20. 

  27. 이철현, 한선관(2011).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4), 139-161. 

  28.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29. 이효녕, 오영재,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손동일, 서보현, 안혜령(2011). 통합 교육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교원교육지, 27(4), 117-139. 

  30. 장기영(2009). 교과 통합기반의 발명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1. 장신호(2008). STEM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발명문제 해결하기. 특허청, 발명교육센터 정책연구 용역과제 최종결과보고서. 

  32. 정미정, 채정현(2004). 기술.가정과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실태 및 관련변수. 한국가정교육학회지, 16(1), 79-91. 

  33. 채정현, 황선경(2002). CBAM 모형에 근거한 가정과 교사의 ICT 활용수업 평가: 관심도와 실행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교육학회지, 14(2), 37-52. 

  34. 최유현, 문대영, 강경균, 이진우, 이주호(2008).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8(2), 143-165. 

  35. 한국과학창의재단(2012). 융합인재교육의 정책 소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6. Hall, G. & Hord, S. (2006).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37. Hall, G. E. (1979). The concern-based approach to facilitating change. Educational Harizons, 57(4), 202-208. 

  38.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L.(1979). Measuring stage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he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9. Hall, G. E., & Hord, S. M. (1987). Change in schools: Facilitating the proces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0. Hall, G. E., & Loucks, S. F. (1978). Teacher concerns as a basis for facilitating and personalizing staff development. Teachers College Record, 80(1), 36-53. 

  41. Hall, G. E., & Loucks, S. F. (1979). Implementing innovations in schools: A concerns-based approach.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42.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A. (1986). Measuring the stages of concern about an innovation: A manual for use of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43. Hall, G. E., Wallace, R. C., & Dossett, W. A. (1973).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of the adoption proces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44. Hord, S. M., Rutherford, W. L., Huling-Austin, L., & Hall, G. E. (1993). 교육과정 혁신 :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김경자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는 1987에 출판). 

  45. Kuenzi, J. J. (2008).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Background, federal policy, and legislative action.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for Congress (RL33434). 

  46. Kwon, H., & Park, K. (2009). Engineering design: A facilitator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33, 207-219. 

  47. Kwon, H., Sanders, M., & Sherman, T. (2011).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 Transitions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한국기술교육학회, 11(1), 228-244. 

  48. Lewis, T. (2006). Design and inquiry: Bases for an accommodat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3), 255-2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