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nalysis and utilization of emergency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0 no.1, 2016년, pp.41 - 55  

이성연 (광주광역시 남부소방서) ,  권유진 (광주광역시 남부소방서) ,  임동오 (광주광역시 남부소방서) ,  김민규 (광주광역시 남부소방서) ,  박희진 (서영대학교 응급구조과) ,  권혜란 (광주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주영철 (광주광역시 남부소방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ergency statistics for cities and provinces are currently derived using simple results of comparative numerical data, but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to analyze and compare deviations relevant to a specific city and province. This study aims to derive various correlations through statistic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급통계를 소방의 자체 데이터와 타 기관의 데이터까지 연계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교차·상관관계를 도출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현장 활동에 반영하면 선제적, 예방적 대응과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구급분야에 대한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 정책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현재 소방의 각 시·도 구급통계가 단순화된 수치로 일반적 사항만 단순 비교하는 통계로 작성되어 구급 품질 향상 및 각 시·도 실정에 맞는 편차를 반영하거나 분석 및 비교에 한계가 있어 G시 구급통계자료에 기초한 통계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전국에 적용할 분석모형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가설 설정

  • 동별 고혈압, 당뇨 환자는 소득수준에 따라 질환관리 상태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관리상태 불량은 고혈압, 당뇨 이송환자 중 의식상태가 ‘V’이하인 이송환자 수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빅보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빅데이터 산업 발전전략’ 추진으로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당위성과 관심은 높아졌지만 구체적인 서비스나 모범 사례들은 미진한 실정이다. 재난관리 활용사례로 트윗정보나 위성영상 정보 등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빅보드’와 2013년 서울아산병원에서 수행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 사업’ 등이 있고,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 시스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토교통부의 ‘환자의료이용지도(Health map)’ 등이 운영중이나 소방의 구급과 관련된 빅데이터의 연구나 정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타기관 보유 데이터를 활용한 연계분석의 예시는 무엇인가? 예를 들면, 소방의 구급데이터는 환자발생 및 이송에 관한 데이터이기에 환자의 병원이송 후 상태나 그러한 질병 및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인자에 대한 부분을 알기 어렵지만, 병원의무기록지나 기상청 날씨 데이터, 지역사회 건강조사 데이터 등 접목할 수 있는 타기관 데이터와 연계할 경우 더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빅데이터는 위키피디아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빅데이터(Big data)는 위키피디아에서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저장·관리·분석의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세트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로 정의하고 있으며[7],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생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하거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화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ong TM. Efficient utilization of big data on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193:68-76. 

  2. Lee SH, Lee DW. Current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2):229-33. 

  3. Lee EP. Analysis on home accident in Korea. Kerean J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5;19(4):7-17. 

  4. Kang KH. Predictors of emergency medical transforts use based on 2009 Korea health pane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4;28(3):80-6. 

  5. Chol ES, Park HJ, Kwon HR, Song KJ, Tack JY, Yeom DC et al.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EMS activity statistic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1. 

  6. Jeong EK, Shin JH. Effects on recovery of spontaneous circulation that can be defibrillated cardiac arrest patients before being hospitalized.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2014;10(1):125-37. 

  7. Wikipedia. Available at: http://www.wikipedia.org/wiki/Big_data, 2016. 

  8. National Information Strategy Committee. Implement smart government utilization big data. IT & Future Strategy 2012;(3):1-32. 

  9.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Privacy guide utilizing non-identification techniques for leveraging big data. Available at: https://kbig.kr/qclearing/guide, 2015. 

  10. Lee SY.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in fire, emergency, rescue outbreaks using GIS and dispatch system analysis-Case study on Ulsan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Chung-Buk, Korea.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Rescue and Emergency Activities Information System. Emergency statistics, 2015. 

  12. National Weather Service. Ground observation of historical data. Available at: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past_cal.jsp, 2016. 

  13. Kim JH. Health behavior of people who have hypertension or diabetic disease by income class: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ungang University 2013, Seoul, Korea. 

  14. Choi JA.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13, Iksan, Korea. 

  1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edical care assistance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9D%98%EB%A3%8C%EA%B8%89%EC%97%AC%EB%B2%95#undefined, 2016. 

  16. Kang SH, Kim GS. A study on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depression in married women and their FKW drawing caracteristics.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2013;9(1):1-22. 

  17. Korea Informaion Society Agency.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Available at: http://www.nia.or.kr/bbs/board_view.asp?BoardID201111281515144086&id15363&Order020401&search_target&keyword&Flag020000&nowpage1&objpage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