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영화흥행예측 기법의 실험적 평가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Box office Revenue Prediction through Social Big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7 no.3, 2017년, pp.167 - 173  

장재영 (한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전반에 빅데이터머신러닝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예측 시스템 개발로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영화 산업에서는 투자, 마케팅 등에 활용을 위해 흥행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고자하는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예전에는 영화에 대한 정적 데이터만을 고려한 예측이 주류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소셜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하고자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의 정적 데이터와 더불어 기사, 블로그, 영화평 등 다양한 피드백 정보를 활용한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영화만을 대상으로 이들의 흥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creased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t has been very active to utilize bigdata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almost areas of society. Also, such activities have been realized by development of forecasting systems in various appl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표의 정적 데이터 중에서 감독과 배우는 인물명이 아닌 해당 인물이 과거 출연했던 영화에서의 평균관객수로 표현하였다. 감독과 배우의 관객동원 능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다. 최종 관객수는 예측대상이 되므로 모델 생성을 위한 기계학습과정에서는 종속변수로 활용된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유사하게 영화에 대한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고 이들 중에서 어떠한 요소가 흥행에 가장 관련되어 있는지를 탐색하고 예측 정확도를 측정한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이름이 알려진 영화만을 대상으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영화의 흥행성적을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예측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 영화와 관련된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여러 가지 예측 가능한 분야 중에서 영화의 흥행성적을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영화산업은 흔히 도박과 유사한 확률 게임이라고 부른다.
  • 이와 같이 기존이 연구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흥행의 인자가 무엇인지를 탐색해왔다. 본 논문에서도 이와 유사한 인자들을 사용하여 흥행예측 가능여부를 실험하였다. 다만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특정 기간의 흥행 상위 영화만으로 대상으로 하여, 비교적 흥행에 성공한 영화들 사이에 흥행을 판별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적 데이터란 무엇인가? 예전에는 배우, 감독, 제작비 등과 같이 영화의 제작단계부터 개봉직후 까지 해당 영화와 관련된 정적 데이터(static data)만으로 예측이 이루어졌다. 여기서 정적 데이터란 정량적인 변화가 없는 고정된 변수들을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정적 데이터만으로는 만족스러운 예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영화흥행 여부를 예측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는데, 결론이 서로 다르고 정확하지 않은 이유는? 하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결론이 서로 다르고 정확하지 않다. 그 이유는 영화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단기예측의 특성상 영화마다 흥행에 미치는 요소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분류기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예측 기법은 대부분 데이터마이닝의 분류기법을 활용하였다. 대표적인 분류기법에는 결정트리, KNN(KNearest Neighbor), SVM(Support Vector Machine), 나이브베이즈 분류(Naïve Bayes Classification), 신경망(Neural Network) 등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확률모델인 나이브베이즈 분류와 요즘 주목받고 있는 신경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정적 데이터의 조합, 동적 데이터의 조합, 정적/동적 데이터의 조합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Albert, "Movie Stars and the Distribution of Financially Successful Film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22, No.4, pp.249-270, 1998. 

  2. Y. Liu,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3, pp.74-89, 2006. 

  3. G. Mishne and N. S. Glance, "Predicting Movie Sales from Blogger Sentiment," In AAAI Spring Symposium: Computational Approaches to Analyzing Weblogs, pp.155-158, 2006. 

  4. L. Lica and M. Tuta, "Predicting Product Performance with Social Media," Informatica Economica , Vol.15, No.2, pp.46-56, 2011. 

  5. S. Asur and B. A. Huberman, "Predicting the future with social media," Web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Agent Technology (WI-IAT), 2010 IEEE/WIC/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0. p. 492-499. 

  6. J. Yim and B. Hwang, Predicting Movie Suc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Using Twitter,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 3, No. 7, pp.263-270. 2014 

  7. O. Lee et al. Movie Box office Analysis using Social Big Data,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0, 2014 

  8. S. Cho et al. Predicting Movie Sales through Online Review Mining,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2014 

  9. S. Jeon and Y. Son,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variables as Predictors of Box Office, The Korea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 29, No. 4, pp. 657-678, 2016 

  10. Y. Kim and J. Hong,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tion Picture Box-Office Prediction Model, J.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ol. 18, No. 6, pp. 859-869, 2011. 

  11. S. Lee, J. Cho, C. Kang, and S. Choi, Study on Prediction for a Film Success Using Data Mining, J.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6, No. 6, pp.1259-126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