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임 경찰공무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간의 관계
The Correlation of Safety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Safety Behavior in A New Police Offic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400 - 409  

이인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임 경찰공무원으로서 교육기간 중인 신임 경찰공무원 81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으며, 90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8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안전의식은 4.29점으로 높은데 반해 안전행동 실천은 48.71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화재안전의식은 나이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재난안전행동 실천은 성별과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의식은 안전행동 실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담당하는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파악해 보았으므로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찰공무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기술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의 지원과 더불어 이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관련 교육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afety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safety behaviors in new police officer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ubjects were 81 new police officer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경찰공무원은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교통의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그 임무로 하고 있으며, 경찰공무원은 국민의 봉사자로서 개인의 안전보다는 국가와 시민의 안전을 위해 일한다. 이렇듯 경찰공무원 직무가 안전과 관련된 직무수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26] 경찰공무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 등 안전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는 신임 경찰공무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향후 안전교육을 통한 안전행동 실천 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적으로 규정된 경찰의 고유 업무는?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주요한 업무인 경찰관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 실천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경찰의 경찰관직무집행법에 규정된 경찰의 고유 업무는 공공질서를 유지하고 각종 위해와 범죄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9], 특히 천재지변, 폭풍우, 지진, 풍수해, 해일 등과 같은 자연적 재난과 폭발사고, 대형구조물의 붕괴 등의 인위적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위기를 관리하는 것이다[9]. 특히 재난 등 안전사고 발생시 경찰의 활동은 피해의 발생을 예방ㆍ경감시키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등 적극적인 위기관리가 경찰의 주요 임무로[10] 재난발생이나 안전사고 발생시 사건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하여 관리하므로[9] 경찰관들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및 안전행동 실천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안전의식 척도 측정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 도구는 가정안전 의식 13문항, 교통안전 의식 12문항, 응급처치 의식 10문항, 그리고 화재안전 의식 8문항의 총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혜원[15]의 도구개발 당시 3점 척도이었으나 이후 이희택[24]의 연구에서 5점 등간척도로 수정되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5점 척도로 구성된 Likert 척도로 ‘매우 그렇다’(5점), ‘전혀 그렇지 않다’(1점)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안전의식이 높은 것이다.
안전의식이란? 안전의식이란 일상생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또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가지는 안전에 대한 인지도를 말하며[15], 본 연구에서 안전의식은 김혜원[15]이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안전의식 척도 중 가정안전, 교통안전, 응급처치, 화재 안전의 4개 분야에 대한 의식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Y. Kim,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y, vol. 13, no. 2, pp. 279-89,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79 

  2. S. H. Kim, C. T. Kim,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fter the Sewol ferry incident",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20, no. 2, pp. 51-64, 2016. DOI: https://doi.org/10.14408/KJEMS.2016.20.2.051 

  3. Y. S. Park, Y. S. Eo, "A study on th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adult learners: Focusing on civic safety culture college in Changwon city",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7, no. 6, pp. 1619-1627, 2015.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6.1619 

  4. O. Lee, "Effects of safety education on the Public Safety Consciousness Index(PSCI) and self-efficacy of the emergency response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10, no. 10, pp. 1-18, 2014. 

  5. B. J. Yi, J. H. Park, "An exploratory study on cultural cognition structure of korean traffic cultur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vol. 9, no. 3, pp. 45-61, 2014. DOI: https://doi.org/10.15815/kjcaes.2014.9.3.45 

  6. Y. H. Hong, "A study on the safety consciousness of fire-fighting sector worker: Based on fire-fighting sector workers in Chung-nam",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2, pp. 64-72, 2015. DOI: https://doi.org/10.7731/KIFSE.2015.29.2.064 

  7. J. H. Lee, S. I. Ryu, "Curriculums issues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Focused on AHP analysis of national fire service ccademy",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10, no. 7, pp. 99-118, 2014. 

  8. K. Kim, D. H. Lee, "Status of researchers' safety consciousnes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i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vol. 14, no. 1, pp. 15-22, 2012. DOI: https://doi.org/10.12812/ksms.2012.14.1.015 

  9. D. K. Park, "The empirical study on policeman' consciousness of the emergency management",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19, pp. 1-24, 2005. 

  10. Police General School, "Life safety practice", 2004. 

  11. Hyundai Research Institute, "Safety awareness status and policy, executive summary", Issue Report, pp. 14-40, 2014. 

  12. Statistics Korea, "Death statistics 2014", http://kostat.go.kr/, 2014. 

  13. OECD, "Health at a glance 2013",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at-a-Glanc e-2013.pdf. 

  14.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mergency resources management act", Act No.11994, 06. Aug, 2013. http://www.law.go.kr/main.html. 

  15. H. W.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cale of safety conscious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2. 

  1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Development of index of change model and the safety awareness of action", pp. 1-75, 2007. 

  17. 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Center, "2014 disaster anniversary", http://www.safekorea.go.kr/ 

  18. S. Lim, "A consensus approach on disaster safety education", Disaster and Safety, vol. 16, no. 3, pp. 2-3, 2014. 

  19. M. S. Le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safety concerns affecting students' safet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2, no. 4, pp. 41-56, 2005. 

  20. S. Y. Kim,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79-289,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2.279 

  21. H. C. Lee, Y. S. Jang, E. Y. Choi, "Actual survey on the safety conscious practice and first aid knowledge of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female college students (oriented to Gwangju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Clinical Electrophysiology, vol. 10, no. 2, pp. 43-50, 2012. DOI: https://doi.org/10.5627/KACE.2012.10.2.043 

  22. Y. M. Yoon, K. S. Sung, E. J. Kim,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practicing behavior and perception about safety management service system of university campu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1, no. 6, pp. 1033-1042, 2014. DOI: https://doi.org/10.21086/ksles.2014.12.21.6.1033 

  23. Y. M. Lee, "Safety-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a rural area",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5, pp. 1115-1125, 2009. 

  24. H. T. Lee, "The effects on safety life practicing behavior by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awareness", Unpublishe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y, Daegu, 2010. 

  25. J. Y. Bae, S. T. Chung, H. S. Sohn, S. R. Yeom, H. J. Park, S. I. Cho, "A study on the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 of the citizens of Busa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vol. 8, no. 1, pp. 197-214, 2012. 

  26. W. S. Lim, "Social exchange and police officers' safety behavior",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29, pp. 255-303, 2007. 

  27. H. S. Kim, "The parents consciousness and performance about the infants safety and home safety circumst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06. 

  28. H. J. Im, "Safety awareness and safe practices related to the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2005. 

  29. C. S. Bae,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for training newly recruited korean police officer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e and Security Studies, vol. 12, no. 2, pp. 115-138, 2015. DOI: https://doi.org/10.25023/kapsa.12.2.201508.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