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3, 2017년, pp.193 - 204
본 연구는 문제 만들기 활동과 수학 수업을 통합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을 실행하고, 학생들이 만든 문제를 체계적인 절차와 준거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만든 540문제 중 수학적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는 81%, 오류가 있는 문제는 18%로 나타났다. 이어서 수학적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를 복잡성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상-수준 13%, 중-수준 30%, 하-수준 57%였다. 마지막으로 오류 유형으로 분류된 비-수학적 문제, 단순한 진술, 해결 불가능 문제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과 학습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생성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와 준거를 제시하고 수학 수업과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develop a practical approach to integrating student-driven mathematical problems posing in mathematics instruction. A problem posing activity was performed during regular mathematics instruction. A total of 540 mathematical problems generated by stud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문제 만들기란? | 문제 만들기란 주어진 상황을 탐구하기 위해 새로운 문제나 질문을 생성하는 것 또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중에 어떤 문제를 재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교육 연구 커뮤니티에서 문제 만들기 관련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오고 있다. | |
학생들이 질적으로 수준 높은 문제를 생성하기 위해 수학 교과서에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수록되어야 하는 근거는? | 넷째, 학생들이 생성한 문제의 질은 학습한 개념이나 지식의 이해 수준과 관련이 있다는 점과 더불어 교과서나 익힘책 등 수학 교재에 제시된 수학적 과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학생들이 학교에서 접하는 문제의 질은 학생들의 문제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학생들이 생성한 해결 가능한 문제 중 절반 이상이 복잡성 하-수준이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 또는 수학 시간에 접하는 대부분의 문제가 복잡성 하-수준임을 반증해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보다 질적으로 수준 높은 문제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요구하는(cognitive demand) 문제가 수학 교과용 도서에 수록될 필요가 있다. | |
문제해결 중에 이루어지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어떻게 수행되는가? | 먼저, 문제해결 전에 수행되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주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활동으로 문제에 제시된 상황 즉 이야기, 그림, 표, 다이어그램 등에 대해 자유롭게 문제를 만드는 것이다. 문제해결 중에 이루어지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문제 해결자가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문제를 재구성하거나, 문제의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후 행해지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이미 해결한 문제해결 해법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거나 조건을 달리하여 문제를 만드는 것이다.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주)(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teachers' guide 5-2. Seoul: Dong-A Publishing Co.)
김경옥.류성림 (2009). 상황 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1(4), 665-683.(Kim, K. O., & Ryu, S. R(2009). The effects of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School Mathematics, 11(4), 665-683.)
김준겸.임문규 (2001). 문제 상황 제시에 따른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77-98.(Kim, J. K., & Lim, M, K.(2001). An effect coming to the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the problem posing activity by presenting the problem situ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5, 77-98.)
김판수 (2012).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 요소에 대한 소고. 영재교육연구, 24(6), 1052-1071.(Kim, P. S.(2012). A note on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ssessment through problem pos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6), 1052-1071.)
배준환.박만구 (2016).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11-331.(Bae, J. H., & Park, M. G(2016). The effects of feflective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 20(2), 311-331.)
윤미란.박종서 (2008).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통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01-124.(Yun, M. R., & Park, J. S(2008).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mathematics achievement, problem posing, mathematical disposi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 12(2), 101-124.)
이강성.활동주 (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의 상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 46(4), 503-519.(Lee, G. S., & Hwang D. J. (2007). Correlation betwee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503-519.)
이대현 (2012).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한국학교수학논문집, 15(3), 411-428.(Lee, D. H. (2012) An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problem posing activities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5(3), 411-428.)
주홍연.한혜숙 (2016). 중학생들의 수학적 문제제기 유형과 전략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5(1), 73-89.(Joo, H. Y., & Han, H. S. (2016).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 posing types and strategi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1), 73-89.)
Cai, J., & & Hwang, S. (2002). Generalized and generative thinking in U.S and Chines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4), 402-421.
Cai, J.(1998). An investigation of U.S and Chines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10, 37-50.
Cai, J., Moyer, J. C., Wang, N., Hwang, S., Nie, B., & Garber, T. (2013).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s a measure of curricular effect on students'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3(1), 57-69.
Chua, P. H. (2011). Characteristics of problem posing of grade 9 students on geometric tas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English, L. D. (1997). Promoting a problem posing in classroom.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3, 172-179.
English, L. D., Fox, J. L., & Watters, J. J(2005). Problem posing and solving with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2(3), 156-163.
Kilpatrick, J. (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f problem come from?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pp. 123-147). Hinsdale NJ: Lawrence Erlbaum.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in, K. M., & Leng, L. W.(2008). Using problem posing as an assessment tool. Paper presented an the 10th Asia Pacific Conference on Giftedness, Singapore.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Pien, C. L. (2013). Posing problems to understand chilren's learning of fractions. Paper presented at the 36th annual conference of MERGA(2013) on "Mathematics education: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Melbourne, Australia, 7-11 July 2013.
Quek, K. H. (2001).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influence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Silver, E. A., & Cai, J. (1993).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tlanta, GA.
Silver, E. A., & Cai, J. (1996). An analysis of arithmetic problem pos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5), 521-539).
Silver, E. A., & Cai, J. (2005). Assessing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2(3), 129-135.
Van Harpen, X. Y., & Sriraman, B. (2013). Creativity an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Educational Study in Mathematics, 82(2), 201-22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