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행복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A Study of Subjectivity about Happines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Q methodological approach -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3, 2017년, pp.268 - 278  

심형화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about happiness. Methods: Q methodology, which scientifically measures individual subjectivity, was used. Thirty-four Q-statements selected from 40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행복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그유형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출발하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행복에 관한 주관적인 인식유형과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 따라서, 행복에 관한 대학생의 고유한 경험을 이해하기 위하여 계량적인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논리 실증주의적 연구방법으로는 한계가 있고, 그들이 처한 사회문화적 배경과 종교, 철학, 가치관과 생활경험에 따라 그 반응양상이 다양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에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역설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행복’ 개념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성의 구조를 밝혀냄으로서 현대를 살아가는 대학생에게 맞는 보다 개별화된 전인적 간호를 강조하고, 나아가 대학생의 행복증진을 위한 통합적 접근과 행복교육에 관한 한국적 간호이론 정립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 StatExtracts에서 발표한 2015년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어떠했는가? 그러나 이러한 외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최근 한국인이 전반적인 삶에서 느끼는 불행 체감도는 부쩍 높아지고 있다(Kim, 2012). 2015년 한국인의 행복지수(BetterLife Index)는 10점 만점에 5.8점으로 OECD 36개 회원국 중 29위인 것으로 나타났고(OECD StatExtracts, 2015),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9.1명으로 2000년 이래 계속 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다(OECD StatExtracts, 2016).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이란 주위의 환경과 여건 속에서 자신이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을 일컫는다(Nahm, 2007).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염원하고 있지만 많은 경우 사회적으로 성공하거나 원하던 성취를 이루면 자동적으로 행복이 따라올 것이라고 믿는다.
행복에 대한 생각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실적, 즐거움추구형은 행복을 정의할 때, 어떤 욕구와 성향을 가지고 있었는가? 행복정의에 대한 분류로 볼 때, 유형Ⅰ은 대인적 관계욕구를 가진 개인적인 목표 추구적 성향을, 유형 Ⅱ는 생존과 관계욕구를 중시하는 동양적인 자기중심적 성향을, 유형Ⅲ은 현실적으로 생존, 관계, 성장 욕구를 고루 가지면서 즐거움을 추구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고, 유형Ⅳ는 생존욕구보다 자신이외의 이웃과 타인, 보다 상위의 절대자와의 관계성을 중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derfer, C. P. (1972).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s is organizational settings. NewYork: The Free Press. 

  2.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3. Hwang, J. W., & Kim, K.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57-71. 

  4. Jang, J. J. (2016, January 18). Happiness report in an age of austerity. Hankookilbo, p. E5. 

  5. Jang, J. W., & Lee, Y. J. (2009).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happiness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7(2), 121-138. 

  6. Jo, K. H. (2011). Percep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ward happiness: A Q methodological 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178-189. 

  7. Jun, W. H., Cha, K. S., & Lee, K. L. (2015).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76-284. http://dx.doi.org/10.5932/10.5977/jkasne.2015.21.2.276 

  8. Kasser, V. G., & Ryan, R. M. (1999).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needs for autonomy and relatedness to vitality, well-being, and morality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9(5), 935-954. 

  9. Kim, M. S., & Han, Y. S. (2006).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for Korean. Survey Research, 7(2), 1-38. 

  10. Kim, M. S., Kim, H. W., Han, Y. S., & Lim, J. Y. (2003). Explorations on the happy life of koreans on the bases of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2(2), 1-33. 

  11. Kim, M. S., & Lim, J. Y. (2003). The structure of good life and th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8(1), 83-97. 

  12. Kim, M. S. (2012).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n happiness and good death.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86, 307-352. 

  13. Kim, M. S. (2013). Contemplation about the application and effects of 'happiness management' program.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72(2), 293-320. 

  14. Kim, S. E. (2007). Q method & sociology. Busan: Goldwell Publishing Inc. 

  15. Kim, S. G., Jang, Y. S., Cho, H. S., & Cha, M. S. (2008). A study of determinants and indicators of happiness among Koreans (KIHASA Report No. 2008-13).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 Ko, S. Y., & Baek, H. G. (2012). A study on design of ontologies for wounded heart heal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1), 641-649. 

  17. Kwon, S. M. (2008).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18. Lee, J. S., Kim, M. Y., & Suh, E. K. (2004). Happiness and the eastern concept of bok: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8(3), 115-125. 

  19. Lee, S. H., Chung, B.Y., & Kim, S. H. (2015).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1), 115-126.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1.115 

  20. Lee, S. Y.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appiness scale for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7(2), 107-122. 

  21. Lee, Y. J. (2011). The efforts for becoming happy of college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2(2), 63-84. 

  22. Ly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12), 111-131. 

  23. Nahm, I. S. (2007). A study of the pursuit of happiness. Social Theory, 31, 217-248. 

  24. OECD StatExtracts, Paris: OECD StatExtracts. (2015). 2015 OECD Better life index. Retrieved May 11, 2016, from the OECD StatExtracts Web site: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topics/life-satisfaction/ 

  25. OECD StatExtracts, Paris: OECD StatExtracts. (2016). Health policy in Korea. Retrieved May 3, 2016, from the OECD StatExtracts Web site: http://www.oecd.org/health/health-systems/Health-Policy-in-Korea-April-2016.pdf 

  26. Sheldon, K. M., & Lyubomirsky, S. (2006). Achieving sustainable gains in happiness: Change your actions, not your circumstance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1), 55-86. http://dx.doi.org/10.1007/s10902-005-0868-8 

  27. Statistics Korea. (2016). Juvenile statistics 2016. Retrieved May 11, 2016, from the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8. Suh, E. M. (2000). Self, the hyphen between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E. Diener & E. M. Suh(Ed.),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pp. 63-86).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29. Won, H. B. (2016). Npo generation(refinement station). Retrieved April 26, 2016, from: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_id201604181808181 

  30. Yu, N. Y., Jeong, Y. J., Kim, B. A., Chong, Y. S., & Shin, H. J. (2015).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happiness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Knowledge, 55, 197-230. http://dx.doi.org/10.15299/jk.2015.5.55.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