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forming Leader's Rol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in Virtual Rea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67 - 76  

김미화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첨단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적용한 연구를 행하고자 고등학교 국사수업에 세컨드라이프라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협력학습 활동에서 팀 구성원으로서의 역할(리더, 팀원) 수행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습을 선정 후, 무선적으로 20개 팀으로 구성하고 이를 또 팀별 리더 집단(20명)과 팀원집단(40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학업성취도와 학업활동 만족도를 측정도구로 활용하여 양적자료를 수집하고,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협력학습 활동에서의 리더 역할 수행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활동 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가상현실을 활용하는 소집단 협력학습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및 개선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nduct research using small group learning with advanced technology in school,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in virtual reality called Second Life for high school history clas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ole of group members (leader, group member) in collaborative learn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는 교육의 패러다임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인 의사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소규모 협력학습을 실제적인 교실 맥락 속에서 다양한 시도를 실행하고 성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주는 가상현실 속에서 실시하여 팀 구성원으로서의 역할(리더, 팀원) 수행에 따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들의 국사 시간에 세컨드라이프라는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소집단 협력학습을 실시하였다.
  • 가상현실은 위와 같이 차시별 주제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이 가상환경을 학습자들이 자유로이 탐색할 수 있도록 각자의 학습자들에게 주어질 아바타들이 연구진에 의해 미리 준비되었다. 아바타의 외양은 동일하나, 같은 팀에 배정된 학습자들의 아바타들에게는 같은 색의 티셔츠를 입혀, 다른 팀원들과의 혼동을 줄여주고자 하였다. 가상현실인 세컨드라이프 속에서 타이핑을 통한 채팅 및 헤드셋을 사용한 보이스 채팅이 가능하였다.
  • 소집단 협력학습은 학습자들이 주도적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면대면 상호 교류 및 의미 있는 협상 연습 등의 기회를 제공하며[10] 소집단 협력학습의 논의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서로 다른 추론과정을 거쳐 각자의 아이디어를 주장하거나 다른 이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 상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29]. 이러한 소집단 협력학습의 특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에게 각 차시별 주제에 따라 그와 관련하여 서로 협력하여 풀어야 할 문제들을 가상현실 안 학습자들의 아바타들에게 제공되는 노트 속에 적혀져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 때 제공된 문제들의 내용을 참고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문항들이 구성되었다.
  • 또한 실제적이며 안전한 환경 속에서 학습자들이 주어진 문제에 대한 적합한 해결책을 협력적으로 찾아가고 이를 적용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면, 유의미한 소집단 협력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가능성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소집단 협력 학습에 참여한 팀 구성원(리더와 팀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 및 협력 학습 활동 및 가상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실제적이며 안전한 교실 맥락을 제공하는 첨단 테크놀로지인 가상세계를 학교에서 소집단 협력 학습에 활용해보고, 나아가 소집단 내에서 팀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수행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기반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환경에서 소집단 학습의 한계점은? 소집단 학습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동 학습 목표를 성취하고 함께 노력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형태이다[9,11]. 소집단 학습은 학습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12,13], 기존수업에 비해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고[14], 과제 설계가 정교하지 못할 경우 무임승차자가 발생하는 등 한계점도 나타냈다[9]. 또한 우수한 학생이 다른 학생과 지식을 공유하지 않으려는 경향도 보고되었다[17].
변화된 교육의 패러다임에서 강조하는 역량과 학습법은? 또한 다가오는 4차산업 혁명으로 인해 야기되는 여러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 계발을 위해서는[2] 여러 발전된 테크놀로지들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실제적인 맥락을 제공하여야 한다[3]. 이렇게 변화된 교육의 패러다임에서는 의사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이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학습 방법으로는 팀워크 중심의 학습이 제시되고 있다[4].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소집단 협력 학습 활동이 강조되기도 하였다[5].
소집단 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과 구성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한 이유는? 소집단 학습은 학습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12,13], 기존수업에 비해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고[14], 과제 설계가 정교하지 못할 경우 무임승차자가 발생하는 등 한계점도 나타냈다[9]. 또한 우수한 학생이 다른 학생과 지식을 공유하지 않으려는 경향도 보고되었다[17]. 그 이유로 학습자 중심의 학습에서 자율적으로 과제를 수행해야하는 상황이 학생들에게 생소하고 전통적인 환경에 비해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18]. 즉, 교육 환경에서 소집단 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지원하고 구성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National Research Council. "Education for life and work: Developing transferabl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21st century", National Academies Press, 2013. 

  2. K. Kim & H. Kim, "A Study on customized software education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n the digital 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7, pp. 55-64, 2017. 

  3. D. Cho. "Reinforcing the educational capacities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3, No. 2, pp. 399-419, 2005. 

  4. H. J. Griffin, R. Greenlaw, P. Limousin, K. Bhatia, N. P. Quinn, & M. Jahanshahi, M. "The effect of real and virtual visual cues on walking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Neurology, Vol. 258, No. 6, pp.991-1000, 2011. 

  5. Department of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5. 

  6. K. Lim, "A case study on a learning with social network services on smartphones: Communicatio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nalyses of the ap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2, No. 4, pp. 91-114, 2010. 

  7. Y. H. Cho, S. Y. Hong, & J. E. Lee, "An Exploratory study on learner-to-learner interaction in a 3d virtual role-play for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 20, No. 1, pp. 27-50, 2014. 

  8. Y. H. Cho, Y. K. Kim, & M. H. Hwang, "A case study on 3d virtual role play for improving problem solv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0, No. 1, pp. 45-75, 2014. 

  9. S. M. Yun, & H. B. Ki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inquiry tasks for small group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 31, No. 5, pp. 694-708, 2011. 

  10. H.D. Brown,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Regents, 1994. 

  11. R. E. Slavin, "Cooperative learning: Where behavioral and humanistic approaches to classroom motivation meet", Elementary School Journal , Vol. 88 No. 1, pp. 29-37, 1987. 

  12. S. S. Kim, " The Effects of scientific experimental classes emphasized small group argument activiti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Korean Earth Science Studies, Vol. 5, No. 1, pp. 51-104, 2012. 

  13. J. Yun, S. Kang, & T. Noh, "The effects of small group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 36, No. 4, pp. 519-524, 2016. 

  14. H. J. Kim, & J, H. Leem, "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model based on smart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17, No. 2, pp. 67-72, 2013. 

  15. J.Y.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leader selection method i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Focusing on experimental learning in science class of 5th grad",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2007. 

  16. Y. Y. Choi, "The effect of presence or absence of leader on science inquiry ability and attitude", Master Thesis, Gyeo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17. E. Thomchick, "The use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logistic classes",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Vol. 18, No.2, pp.191-205, 1997. 

  18. N. Rummel, & H. Spada, H. "Learning to collaborate: An instructional approach to promo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computer-mediated setting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Vol. 14, No.2, pp.201-224, 2005. 

  19. S. Jarvela, P. Naykki, P., J. Laru., & T. Luokkanen, "Structuring and regulating collabora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ith wireless networks and mobile tool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 10, No.4, pp. 71-79, 2007. 

  20. M. Reilly, & H. Shen, "Shared note-taking: A smartphone-based approach to increased student engagement in lectures", The 11th International Workshop on Collaborative Editing Systems in conjunction wi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2011. 

  21. Y.T. Lin, C. H. Chang, H. T. Hou, & K. C. Wu, "Exploring the effects of employing Google Docs in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on achievement, concept representation, and attitude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Vol. 23, No. 3, pp. 1-20, 2015. 

  22. E. Walsh, & I. Cho, "Using evernote as an electronic lab notebook in a translational science laboratory", Journal of Laboratory Automation, Vol. 20, No. 10, pp. 1-6, 2012. 

  23. B. Dalgarno, & J. W. Lee, M, "What are the learning affordances of 3-d virtual environm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41, No. 1, pp. 10-32, 2010. 

  24. I. Duncan, A. Miller, & S. Jiang, "A taxonomy of virtual worlds usage in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43, No. 6, pp. 949-964, 2012. 

  25. A. Alrayes, & A. Sutcliffe, "Students' attitudes in a virtual environment (SecondLife)", Journal of Virtual Worlds Research, Vol. 4, No.1, pp. 71-79, 2011. 

  26. V. Chang, C. Gutl, S. Kopeinik, & R. Williams, "Evalu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Settings in 3D Virtual World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iJET), Vol. 4, No. 1, pp. 12-19, 2009. 

  27. H. Huang, U. Rauch, & S. Liaw, S, "Investigating learners' attitudes toward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a constructivist approach", Computers & Education, Vol. 55, No. 3, pp. 1171-1182, 2010. 

  28. M. Wrzesien, & M. A. Raya, "Learning in serious virtual worlds: Evaluation of learning effectiveness and appeal to students in the e-junior project", Computers and Education, Vol. 55, No. 1, pp. 178-187, 2010. 

  29. R. Driver, P. Newton, P. & J. Osborne, J,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Vol. 84, No. 3, pp. 287-312, 2000. 

  30. H. Cho,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nglish learning beliefs and their English achievement in e-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53-61, 2016. 

  31. B. Jun, "A Study on the Effect of Affecting Factors of SNS on Learner's Attitude and Performance: Focused on University Cla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5, pp. 27-36, 2017. 

  32. J. Kim,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merging Leadership Researches and the Team Effectiveness of Shared Leadershi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6, pp. 207-217, 2017. 

  33. H. Wang & J.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ternalis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2, pp. 145-154, 2017. 

  34. C. Kim, "Study of Theme Park Attractions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9, pp. 443-452, 2017. 

  35. J. Han,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Commitment of Team-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2, pp. 303-31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