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부간호교육에서 성찰일지를 이용한 팀 기반학습의 효과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on Pregnancy Nursing Cours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4, 2018년, pp.404 - 413  

김진영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in Women's Health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ha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140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교과목에 팀 기반학습에 성찰일지를 적용한 경우와 성찰일지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로 유사실험연구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성찰일지를 적용하여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성찰일지를 적용하지 않는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대조군 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성찰일지를 적용하여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성찰일지를 적용하지 않는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대조군 간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성찰일지를 적용하여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성찰일지를 적용하지 않는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대조군 간의 셀프리더십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성찰일지를 적용하여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성찰일지를 적용하지 않는 팀 기반학습에 참여한 대조군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신의 학습과정을 성찰하는 과정은 어떤 도움이 되는가? 팀 기반의 학습활동은 팀원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는데[11] 이때 팀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과정을 성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12]. 성찰은 기존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연결시켜주고 문제가 발생하면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 해결할 수 있게 한다[13]. 이와 같은 활동을 객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학습자에게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는 것이며 이는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개념이고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14]. 선행연구에 따르면 성찰일지 작성은 학습동기를 고취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15] 간호학에서 적용한 팀 기반학습에서 조별성찰일지 작성이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향후 개별성찰일지를 적용하여 팀 기반학습의 효과를 알아 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16].
팀 기반학 습을 강의식 수업과 병행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최근 국내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을 교과목에 적용한 연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며[8] Brich는 팀 기반학습을 교과목에 단독으로 적용하기보다 보조 프로그램(supplemental program)으로 운영하는 것이 교육효과가 더 크다고 하였다[9]. 팀 기반학 습을 강의식 수업과 병행하여 적용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국 의학교육의 신경과학 이론 및 실습교과목에서 2주 동안 강의식 수업과 팀 기반학습을 병행했을 때 단독으로 적용하는 것보다 지식 및 술기점수가 높았고 학습자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10]. 국내의 경우 기본간호학 이론 교과목에서 6주 동안 팀 기반학습과 강의식 수업을 병행했을 때 문제해결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향상 되었다고 보고했으며 다양한 전공교과목에서 적용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8].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양성과정은 어떻다고 보여지는가? 간호대학생은 대상자와 그 가족의 개별화된 삶의 경험을 이해하면서 그들의 건강을 증진하고 잠재적인 건강문제를 사정하여 해결하며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 있는 간호사로 양성되어야 한다. 이에 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졸업하는 간호대학생들이 보건의료현장에서 직무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갖추어야 하는 12가지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며[1] 대부분의 간호학과들은 이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7 [cited 2018 September 17].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 

  2.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Conway L.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38(11):468-474. https://doi.org/10.1097/01.NNA.0000339477.50219.06 

  3. Kim SH, Nam HA, Kim MO.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imulation based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4):294-303. https://doi.org/10.4094/chnr.2014.20.4.294 

  4. Michaelsen LK, Knight AB, Fink LD.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Santa Barbara, CA: Praeger; 2002. 304 p. 

  5. Fujikura T, Takeshita T, Homma H, Adachi K, Miyake K, Kudo M, et al. Team-based learning using an audience response system: A Possible new strategy for interactive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Nippon Medical School. 2013;80(1):63-69. https://doi.org/10.1272/jnms.80.63 

  6. Oh H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9): 409-418. https://doi.org/10.14400/JDC.2015.13.9.409 

  7. Kelly PA, Haidet P, Schneider V, Searle N, Seidel CL, Richards BF. A Comparison of in-class learner engagement across lecture, problem-based learning, and team learning using the STROBE classroom observation tool.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2005;17(2):112-118. https://doi.org/10.1207/s15328015tlm1702_4 

  8. Kim SO, Kim M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fundamentals of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2):107-119.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107 

  9. Brich J. Feasibility, acceptance and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in neurology: a pilot study. GMS Zeitschrift fur Medizinische Ausbildung. 2013;30(2):1-16. https://doi.org/10.3205/zma000863 

  10. Yang LH, Jiang LY, Xu B, Liu SQ, Lian YR. Evaluating teambased, lecture-based, and hybrid learning methods for neurology clerkship in China: a method-comparison study. BMC Medical Education. 2014;14(98):1-7. https://doi.org/10.1186/1472-6920-14-98 

  11. Roh YS, Ryoo EN, Choi DW, Baek SS, Kim SS.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e Education. 2012;18(2):239-247.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39 

  12. Hwang SY, Jang KS. Percep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 in reflective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65-76. https://doi.org/10.4040/jkan.2005.35.1.65 

  13. Jho MY. Effects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aking a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2016;(23)4:430-439.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430 

  14. Reis SP, Wald HS, Monroe AD, Borkan JM. Begin the BEGAN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 a framework for enhancing educational impact of faculty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Patient Education Counseling. 2010;80(2):253-259. https://doi.org/10.1016/j.pec.2009.11.014 

  15. Park IS, Kim MJ. Effect of reflective journaling in team learning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Journal of Society Dental Hygiene. 2012;12(5):849-859.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5.849 

  16. Lim SH.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natomy subject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0):7098-7108.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7098 

  17. Michaelsen LK, Parmelee DX, McMhon K, Levin RE.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2007. 256 p. 

  18. Chang SO, Kong ES, Kim CG, Kim HK, Song MS, Ahn SY, et al. Exploring nursing education modality for facilitating undergraduate students critical thinking: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2):125-135. 

  19. Kim JI, Kang HS, Park SM, Ahn SH. Current status of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and direc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2):173-183. https://doi.org/10.4069/kjwhn.2014.20.2.173 

  20. Park HS, Kim YJ, Choi D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9):599-611. 

  21. Kwon IS, Lee GE, Kim GD, Kim YH, Park KM, Park HS, et al.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6):950-958. https://doi.org/10.4040/jkan.2006.36.6.950 

  22. Lee SJ, Jang YK, Lee HN, Park K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3. 145 p. 

  23. Houghton JD, Neck CP.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2;17(8):672-691.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24. Shin YG, Kim MS, Han YS.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09;6(3):313-340. https://doi.org/10.16983/kjsp.2009.6.3.377 

  25. Kim AY, Park IY.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1;39:95-123. 

  26. Koles PG, Stolfi A, Borges NJ, Nelson S, Parmelee DX.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Medicine. 2010;85:1739-1745.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f52bed 

  27. Jao JC. Effectiveness of team-based learning on academic performance in an electric circuit theory course for health sciences students. World Transactions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2016;14(2):277-281. 

  28. Brown SP, Ganesan S, Challagalla G. Self-efficacy as a moderator of information seek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1;86(5):1043-1051. https://doi.org/10.1037/0021-9010.86.5.1043 

  29. Kim HK, Choi WY.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of both recording reflective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in technical writ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7;20(3);42-49. https://doi.org/10.18108/jeer.2017.20.3.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