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 단위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분만 후 시기별 모유수유 실천 및 모성적응
Breast Feeding Practice and Maternal Adapt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3, 2018년, pp.376 - 387  

김미옥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  송경수 (화성시 보건소 치매관리팀) ,  조윤희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breast feeding rate and maternal adaptation of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a community.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and included a total of 283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유수유 실천과 모성적응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유아를 둔 여성의 분만 후 시기별 모유수유 실태 및 모성적응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모유수유 실천율은 분만 후 시기가 지남에 따라 감소하여 최소 산후 6개월 시점까지 완전모유수유 권장하는 WHO(2017)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일개 면 지역의 모유수유 실태 및 모성적응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면 지역의 모유수유 실태 및 모성적응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신과정과 출산, 출산 이후에 이르기까지 병원기관과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모유수유율 향상과 모성적응에의 수준을 향상시켜 건강한 출산과 양육을 지지하기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영유아를 둔 여성의 분만 후 시기별 모유수유 실태 및 모성적응 수준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모유수유율 향상과 모성적응 수준을 향상시켜 건강한 출산과 양육을 지지하기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생후 24개월 미만의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을 대상으로 분만 후시기별 모유수유 실태 및 모성적응 수준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성적응이란 무엇인가? 모성적응은 어머니로서 책임과 과업을 수용하고 인지하는 능력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관계적 영역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상호작용하여 생의 변화과정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으로(Kiehl & White, 2003), 많은 선행연구에서 직접적으로 정의되고 측정되기 보다는 모성정체감, 모성역할자신감, 모성역할만족감, 부모양육스트레스, 모아상호작용 등의 다양한 지표 개념으로 조작적으로 정의되어 연구되어 왔다(Song, & Ahn,2013). Mercer (2006)는 사회적으로 어머니에게 기대되는 활동인 양육행동을 통한 모성적응을 강조하였고, Nelson (2003)은 자신을 어머니로서 인식하여 모성정체감을 형성하고, 어머니 역할을 수행함으로 모성역할에 적응해 나가는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을 모성적응의 주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모유수유가 여성에게 주는 긍정적인 영향에는 어떠한 점이있는가? ,2016). 더불어 여성에게도 임신 전 체중 수준으로 빨리 회복하는 데에 도움을 주며, 유방암과 난소암, 제2형 당뇨병 발생을 감소시키는 등 출생아와 모성 건강은 물론 장기적으로 성인기 비만과 성인병 예방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rta, Loret de Mola,& Victyora, 2015).
WHO에서 권장하는 모유수유 권장 및 권고 기간은? WHO (2017)는 생후 6개월까지 모유수유(exclusive breast feeding)를 영아 영양의 기본으로 권장하고, 12~24개월까지 모유수유를 지속하면서 적절하고 안전한 보충식을 먹이도록 권고하고 있다. 전국표본조사에 의한 국내 모유수유 현황은 과거에 비해 산업화 및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 부족과 모유수유 지지 정책 부재로 인해 200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Kim,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 H., & Kim, Y. M. (2015). Association of parenting stresses, maternal role adjustment, and types of feeding during hospital stays at birth to breastfeeding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1(4), 262-271. http://dx.doi.org/10.4069/kjwhn.2015.21.4.262 

  2. Belfort, M. B., Anderson, P. J., Nowak, V. A., Lee, K. J., Molesworth, C., Thompson, D. K., Doyle, L. W., & Inder, T. E. (2016). Breast milk feeding, brain development, and neurocognitive outcomes: a 7-year longitudinal study in infants born at less than 30 weeks' gestation. The Journal of Pediatrics, 177, 133-139. http://dx.doi.org/10.1016/j.jpeds.2016.06.045 

  3. Chae, Y. S. (2005). Adaptation of maternal roles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primiparasduring early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8, 113-124. 

  4. Choi, E. J. (2017). Breastfeeding-relate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9, 72-81. 

  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6. Groer, M. W., Davis, M. K., & Hemphill, J. (2002). Postpartum stress: current concepts and the possible protective role of breastfeeding.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4), 411-417. 

  7. Horta, B. L., Loret de Mola, C., & Victora, C. G. (2015). Long-term consequences of breastfeeding on cholesterol, obesity, systolic blood pressure and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ta Paediatrica, 104(467), 30-37. http://dx.doi.org/10.1111/apa.13133 

  8. Kiehl, E. M., & White, M. A. (2003). Maternal adaptation during childbearing in Norway,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7(2), 96-103. 

  9. Kim, B. Y., & Kim, J. H. (2013) Influence of an early latching-on program on the breastfeeding rat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3), 97-110. 

  10. Kim, H. R. (2011). Internal and international breastfeeding trends and policies to promote breastfeeding. Health Welfare Issue & Focus, 86, 1-8. 

  11. Kim, S. H. (2015). Health care experienc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period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325-343.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2.325 

  12. Kim, S. K., Kim, Y. K., Cho, A., Kim, H. R., & Lim, S. E. (2009, December). The 2009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Research Report 2009-33).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3. Ko, J. M. (2017). Development of maternal adaptation scale for the primipara wome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Aju university, Suwon. 

  14. Lee, G. M., & Choi, Y. H. (2012). Effects of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child--rearing knowledge,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rearing self-efficacy of immigrant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561-571.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561 

  15. Marquis, G. S., Diaz, J., Bartolini, R., Creed de Kanashiro, H., & Rasmussen, K. M. (1998). Recognizing the reversible nature of child-feeding decisions: breastfeeding, weaning, and relactation patterns is a shanty town community of Lima, Peru. Social Science & Medicine, 47(5), 645-656. 

  16. Mercer, R. T. (2006). Nursing support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5), 649-651. 

  17. Nelson, A. M. (2003). Transition to motherhoo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and Neonatal Nursing, 32(4), 465-477. 

  18. Oddy, W. H. (2017). Breastfeeding,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70(2), 26-36. http://dx.doi.org/10.1159/000457920 

  19. Oddy, W. H., Mori, T. A., Huang, R. C., Marsh, J. A., Pennell, C. E., Chivers, P. T., Hands, B. P., Jacoby, P., Rzehak, P., Koletzko, B. V., & Beilin, L. J. (2014). Early infant feeding and adiposity risk: from infancy to adulthood.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64(3-4), 262-270. http://dx.doi.org/10.1159/000365031 

  20. Park, J.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breastfeed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322-330.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2.322 

  21. Penn, A. H., Carver, L. J., Herbert, C. A., Lai, T. S., McIntire, M. J., Howard, J. T., Taylor, S. F., Schmid-Schonbein, G. W., & Dobkins, K. R. (2016). Breast milk protects against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infants at high risk for autism during early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62(2), 317-327. http://dx.doi.org/10.1097/MPG.0000000000000907 

  22. Save the Children. (2012). State of the world's mothers 2012: nutrition in the first 1,000 days. p.43. Retrieved April 29, 2018, from https://www.savethechildren.org/content/dam/usa/reports/advocacy/sowm/sowm-2012.pdf 

  23. Seo, Y. M. (2011). A phenomenological study on women's experience of motherhood through pregnancy to early rearing of their first baby -focused on the second birth pl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of University of Seoul. Seoul. 

  24. Sheehan, F. (1981). Assessing postpartum adjustment. a pilot stud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y, and Neonatal Nursing, 10(1), 19-22. 

  25. Sim, K. S., Kho, H. J., & Lim, K. H. (2002).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2), 287-297. 

  26. Singh, V., Ahmed, S., Dreyfuss, M. L., Kiran, U., Chaudhery, D. N., Srivastava, V. K., Ahuja, R. C., Baqui, A. H., Darmstadt, G. L., Santosham, M., & West, K. P. (2017).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acilitation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 and health program: effect on program exposure and associated infant feeding practices in rural India. PLoS One, 12(9), e0183316.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83316 

  27. Song, J. E., & Ahn, J. A. (2013).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29-141. 

  28. Word Health Organization. (2017, August). 10 facts on breastfeeding. Retrieved April 25, 2018, from http://www.who.int/features/factfiles/breastfeeding/en/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Indicators for assessing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practices (ISBN 978 92 4 159666 4). Geneva: Author. http://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3895/9789241596664_eng.pdf?sequence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