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Knowledge, Skills, Attitud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479 - 488  

박아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자옥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도구(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fety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PS-ASK)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425명을 임의로 표출하였으며,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구성타당도,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도구의 하부척도인 지식과 기술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나 태도 척도는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도구의 지식과 기술척도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환자안전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nd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Knowledge, Skills, Attitudes to assess applicability for nursing student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ample of 425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who enrolled in four univer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Schnall등[15]이 개발한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 도구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맞게 한국어로 번안한 후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한국어판 도구는 향후 한국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확인하여 역량기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전 세계적으로 환자안전역량이 간호대학생의 필수적인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chnall등[15]의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도구가 한국 간호대학생에게 적용이 가능한지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환자안전은 최근에 등장한 개념으로 의료문화 및 교육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한국에서 적용하기 전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본 연구는 Schnall등[15]의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도구(PS-ASK)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Schnall등[15]의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도구인 PS-ASK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추후 한국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평가하는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그 결과 도구의 하부척도인 지식, 기술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나 태도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 설문도구의 타당도와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지식과 기술도구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우수한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측정도구(PS-ASK)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하지 않은 의료의 문제점은? 안전하지 않은 의료는 환자의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재정적 손실 및 의료서비스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국가전체의 경제와 보건의료의 질에 위협이 되고 있다. 1999년 미국의학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적게는 44,000명에서 많게는 98,000명의 미국인들이 의료오류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의료오류에 의한 사망이 자동차 사고,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보다 많다고 하였다[1].
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간호사는 의사소통의 부족, 표준화의 부족, 보복의 두려움으로 인한 보고 회피 등과 같은 안전의 위협이 되는 상황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과정의 단순화 및 표준화, 치료의 가변성을 제거하기 위한 프로토콜 실행 등 시스템을 개선하여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3].
환자안전 개념의 특징은? ‘환자안전’은 최근에 등장한 개념이다. 기존에 사용된‘의료오류’, ‘의료과오’는 행위자인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용어인 반면에 ‘환자안전’은 사건을 환자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 최근의 환자안전은 보다 개념적 확장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hn, L.T., Corrigan, J.M. & Donaldson, M.S. (1999).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 A. Y. Park & K. H. Kim. (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etency Based Qulaity Improvement an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5), 559-571. 

  3. J. H. Lee & S. I Lee. (2009).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5(1), 9-16. 

  4. J. Y. Kim & E. A Hwang. (2016). A Study on Improvement of Consumer Safety in Medical Services: Based on Patient Safety. Korean Consumer Agency. 

  5. M. R. Kim. (2011).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1-8. 

  6. S. I. Lee. (2001). Quality of Care and Clinical Risk Management.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8(1), 96-106. 

  7. Mahajan, R. P. (2010). Critical incident reporting and learn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105(1), 69-75. 

  8. Y. M. Lee. (2009). Patient Safety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Medical Education, 21(.3), 217-228. 

  9. Sammer, C., Lykens, K., Singh, K., Mains, D. & Lackan, N. (2010). What is patient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 156-165. 

  10. Sherwood G. & Barnsteiner J. (2012). Quality and Safety in Nursing: A competency based approach to improving outcomes. New Jersey: Wiley Publications. 

  11. Chenot, T. M. & Daniel, L. G. (2010). Framework for Patient Safety in the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0), 559-568. 

  12. Institute of Medicine. (2010).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3. Djukic, M., Kovner, C. T., Brewer, C. S., Fatehi F. K. & Bernstein, I. (2013).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reparedness for Quality and Safety. Journal of Nursing Regulation, 4(2), 15-21. 

  14. Ginsburg, L., Castel E., Tregunno, D. & Norton, P. G. (2012). The H-PEPSS: an instrument to measure health professional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at entry into practice. BMJ Quality & Safety, 21, 676-684. 

  15. Schnall R, Stone P, Currie L, Desjardins K, John RM & Bakken S. (2008).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fety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4), 391-394. 

  16. Cronenwett, L., Sherwood, G. & Gelmon, S. B. (2009). Improving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The QSEN Learning Collaborative. Nursing Outlook, 57(6), 304-312. 

  1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2017). Quality and Safety Competencies.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online)http://qsen.org/about-qsen. 

  18. Manning ML. & Frisby AJ. (2011). Multimethod teaching strategies to integrate selected QSEN competencies in a doctor of nursing practice distance education program. Nursing Outlook, 59(3), 166-173. 

  19. S. H. Choi & H. Y. Lee. (2015). Factor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2), 184-192. 

  20. J. H. Park & M. H. Park. (2014). Knowledge, Attitudes,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5-14. 

  21. S. S. Huh & H. Y. Kang. (2015). The Attitudes of Patei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c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458-5467. 

  22. Madigosky, W.S., Headrick, L.A., Nelson, K., Cox, K.R. & Anderson, T. (2006).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Academy of Medicine, 81(1), 94-101. 

  23. Nunally, J. C. (1967). Psychometirc Theory. New York: McGraw-Hill. 

  24. World Health Organization(2005).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Geneva(Switzerland): WHO. 

  25. Curran, P. J., West, S. G., Finch, J.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 16-29. 

  26. Polit, D. F. & Beck, C. T. (2007).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8th.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ress. 

  27. J. K. Tak. (2014). Psychological Testing. Seoul: Hakjisa. 

  28.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9. S. H., Choi, M. S. Park & S. J. Lee. (2012). Organizational Behavior. Seoul: Daemyung. 

  30. M. K. Lee, A. R. Kim, S. I. Choi, S. K. Nam & S. M. Lee.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mbivalent Attitudes Toward Seeking Counseling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 465-4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