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교육게임의 장기기억효과
The Long Term Memory Effects of Virtual Reality Edutainment with HMD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8 no.2, 2018년, pp.69 - 76  

이대영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이승제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정의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MD의 대중적 도입으로 인해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상현실에서의 활동은 현실과는 다른 효과들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어 가상현실과 현실 간 비교 효과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가상현실에서의 교육적 효용성은 여러 연구에서 입증하고 있으나, 아직 특수교육의 경험적 맥락에 그치고 있다. 이 연구는 가상현실의 환경 안에서 교육게임콘텐츠의 기억 습득이 이루어 질 때 나타나는 장기기억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상현실이 아닌 e-러닝 조건과 가상현실조건 e-러닝 두 조건 내에서 학습기억실험을 실시하여 장기기억 감소율의 차이에 대한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상현실그룹에서 보다 낮은 기억감소율이 나타났다. 또한 배경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가상환경배경이 제시된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이 장기기억의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MD makes big issues about virtual reality in these days.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may cause different effects with experience of real world, so this is the reason why comparison studies are needed. There are many works about usefulnes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but most of studies were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국 본 연구는 가상현실의 환경적 요인이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으로 의의가 있으며 비교실험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가상현실이 현실에서의 교육대비 가지는 장점에 대해 실험적 증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 본고에서 입증하고자 하는 가상현실의 요인으로 가상현실연구사례에서 구분된 가상현실의 사물/공간특성을 특정하였으며 특히 가상환경시스템이 일반 멀티미디어 환경제시에 비해 학습기억에 미치는영향의 차이를 확인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의 기능적 요인이 학습기억향상에 긍정적 기능을할 수 있다는 전망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가상현실학습콘텐츠의 학습기억은 비가상현실학습콘텐츠와 비교하여 높은 장기기억유지율을 보일 것이다.
  • 가설 2-1: 배경이 있는 가상현실학습콘텐츠의 학습기억은 배경이 있는 비가상현실학습콘텐츠와 비교하여 높은 장기기억유지율을 보일 것이다.
  • 가설 2-2: 배경이 없는 가상현실학습콘텐츠의 학습기억은 배경이 없는 비가상현실학습콘텐츠와 비교하여 장기기억유지율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것이다.
  • 이러한 요인들을 통해 세운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가상현실학습콘텐츠의 효용성 유무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혹은 VR)은 데이터를 시각화함과 조작, 그리고 데이터와의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상태와 방법을 의미한다[1]. 이는 주로 컴퓨터를 통하여 구현되며 인간의 오감에 설정된 자극을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시각에 가상의 이미지를 전달하여 하나의 가정된 상황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HMD의 발달과 대중화가 가까워져 많은 이들이 가상현실의 활용을 다시금 고민하게 하고 있다.
가상현실이란 무엇인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혹은 VR)은 데이터를 시각화함과 조작, 그리고 데이터와의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상태와 방법을 의미한다[1]. 이는 주로 컴퓨터를 통하여 구현되며 인간의 오감에 설정된 자극을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시각에 가상의 이미지를 전달하여 하나의 가정된 상황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VR연구로는 어떠한 연구가 많았는가? 기존 VR연구의 경우 VR의 특징적 연구보다는 현실학습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둔 연구가 많았다. 또한 가상현실교육의 용도는 주로 의료, 군사, 건강, 건축, 심리치료, 응급훈련 등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ukstakalnis, S. and D. Blatner, "Silicon Mirage - The Art and Science of Virtual Reality". Berkeley, CA, Peachpit Press, 1992. 

  2. Mills, S. and Noyes, J. "Virtual Reality: An Overview of User-Related Design Issues: Revised Paper for Special Issue on Virtual Reality", User Issues in Interacting with Computers, May 1998. Interacting with Computers, 11, 375-386, 1999. 

  3. Sauzeon, Helene et al. "Everyday-like Memory for Objects in Ageing and Alzheimer's Disease Assessed in a Visually Complex Environment: The Role of Executive Functioning and Episodic Memory." Journal of neuropsychology 10(1): 33-58, 2016. 

  4. Huang, Hsiu-Mei, Shu-Sheng Liaw, and Chung-Min Lai. "Exploring Learner Acceptance of the Use of Virtual Reality in Medical Education: A Case Study of Desktop and Projection-Based Display Systems.", 2016. 

  5. Alhalabi, Wadee S. "Virtual Reality Systems Enhance Students' Achievements in Engineering Education."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1-7, 2016. 

  6. Carlin, Albert S., Hunter G. Hoffman, and Suzanne Weghors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irtual Reality and Tactile Augmentation in the Treatment of Spider Phobia" A Case Report, 1997. 

  7. Rothbaum, B. O., Hodges, L. F., Kooper, R., Opdyke, D., Williford, J. S., & North, M. "Effectiveness of computer-generated (virtual reality) graded exposure in the treatment of acrophob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2(4), 626-628, 1995. 

  8. Schank, R. C., "Dynamic Memory Revisit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9. Ertmer, P.A., & Newby, T.J. " Behaviorism, cognitivism, constructivism: Comparing critical features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6(4), 50-72, 1993. 

  10. Ormrod, J. E. "Human Learning". Pearson; 5 edition , 2007. 

  11.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In B. B. Wolman & L. R. Pomroy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sychiatry, psychology, psychoanalysis, and neurology (Vol. 10).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77. 

  12. Squire, L. R. "Mechanisms of memory". Science (New York, N.Y.), 232(4758), 1612- 1619, 1986. 

  13. Richard E. Mayer. "The promise of multimedia learning: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cross different media." Learning and Instruction Vol. 13, pp. 125-13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