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2 no.1, 2018년, pp.33 - 40  

남충모 (제주대학교 대학원) ,  김종우 (제주대학교 초등컴퓨터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 가상현실을 도입하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교육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수업을 진행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반의 수업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A. P. 설문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설문 진행 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콘텐츠 저작도구로는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하였다. 블록리(blockly) 기반 프로그램으로 코딩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이 기능을 익히기에 어렵지 않았다. 현장 분석 결과 실천 영역에서 성과가 나타났다. 이 수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ighlights the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We analys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contents production education using the data from the K.A.P survey, as well as the results from the class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다루기 어렵지 않으며, 학생이 만든 가상현실 콘텐츠를 쉽게 확인하고 수정이 가능한 저작도구를 선정하여 학생들과 함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해보고, 수업 적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학업적용 판별 설문으로 널리 사용되는[1][4] 가상현실에 대한 지식(K:Knowledge), 태도(A:Attitude), 실천(P:Practice) 영역에서 설문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저작도구인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통계분석을 통해 나타난 가상현실 교육의 효과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 프로그램에서 실제 장비의 사용과 제작을 통한 효과로서 K.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란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여 인간의 시각, 청각 등 감각을 통하여 컴퓨터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내부에서 가능한 것을 현실인 것처럼 유사 체험하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의 하나로 말 그래도 현실이 아닌 세계를 말하는 총칭이다[5][6][9][17].
2017대한민국 미래교육박람회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주제관은 무엇인가? 미래의 교육을 짐작하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2017대한민국 미래교육박람회’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막을 내렸다. 이번 박람회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주제관은‘함께 꿈꾸는 미래교실관’이었다. 그곳에서는 디지털교과서와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미래형 교수학습을 체험할 수 있었다.
가상현실 콘텐츠 저작도구로 활용한 것은? 설문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설문 진행 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콘텐츠 저작도구로는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하였다. 블록리(blockly) 기반 프로그램으로 코딩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이 기능을 익히기에 어렵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ongMo Nam, ChongWoo Kim (2011).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Science and Research in JNU, 13(2), 325-334. 

  2. ChoongMo Nam, ChongWoo Kim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Production for Elementary Students.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8(2), 113-119. 

  3. ChoongMo Nam, ChongWoo Kim (2017).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Project for Students with Information Gifted students.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8(3), 71-80. 

  4. HyeongCheol Ko, ChongWoo Kim (2016). Development of finite state automata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4), 401-408. 

  5. JaeGeol Jeong (2017). Virtual reality and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thought and cultural journals, 20(1), 197-217. 

  6. JinHo Park, SangHeon Kim (2017). Development of Koguryo tomb murals VR Contents by Virtual Reality.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Spring, 11-12. 

  7. YoungSu Lee (2017). A Study about the Storytelling of Documentary on Virtual Reality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523-531. 

  8. ByungSeok Yang, YoungMo Lim (2017). Development direction of VR / AR and domestic industrial activation plan. Software Policy Institute. 

  9. Donghoon Jeing (2017). Virtual Reality Concept Dictionary. 21arte publishing co. 

  10. Jonathan Linowes, Matt Scheon (2017). Android card board VR project. Acorn publishing co. 

  11. KAIE (2015). Elementary Curriculum Information Systems.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 MinHwa Lee and seven others (2017). Speak a virtual reality. Cloudbooks publish co. 

  13. SeungJun Lee, SeonMin Kim, WooJang Woo, Kwang Kim (2017). Virtual Reality. Miraebook publish co. 

  14. Blockly. Retrieved August 5, 2017, from https://developers.google.com/blockly/ 

  15. Cospaces. Retrieved July 20, from https://cospaces.io 

  16. Cospaces. Retrieved July 20, from https://www.facebook.com/cospaces 

  17. Virtual Reality. Retrieved August 5, 2017, from https://www.facebook.com/groups/VR4ed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