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근거중심 혈액투석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Knowledge and Adherence to Evidence Based Practice Guidelines for Hemodialysis among Nurses in Dialysis Uni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277 - 288  

주혜숙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투석실에서 간호사들 사이의 혈액 투석에 대한 실무 지침에 근거한 지식 수준과 수행도를 조사하는 서술연구로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다. 표본은 한국의 3개 지역에 위치한 혈액 투석실의 간호사 173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SPSS / WIN 20.0 으로 t-test, ANOVA 및 Scheff's 분석을 수행했다. 투석실 간호사의 약 98.8 %는 주로 투석회의나 심포지움에서 교육을 받았다. 근거중심실무에 대한 지식 점수는 평균 15.77 (23 개 중)로 나타났으며, 8년 이상의 경력자, 석사 학위 및 3차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혈액 투석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근거중심실무지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침에 대한 실제 준수는 경험, 교육 수준 및 병원 유형에 따라 다르게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혈액 투석 간호사에 대한 지식 향상 및 근거중심실무지침 활용을 위한 전략 개발에 대한 추가 연구를 위한 기본 데이터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and adherence to EBP guidelines for hemodialysis among nurses in dialysis unit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hat data were collected. The sample consisted of 173 nurses who worked in hemodialysis units located in three different d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근거중심 혈액투석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근거중심 혈액투석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를 파악하여 혈액투석환자관리에 대한 과학적인 최신의 근거와 실무의 격차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근거중심 혈액투석간호에 대한 지식 평균 점수는 총 23점 만점에 15.
  • 이에 본 연구는 혈액투석과 관련하여 국제 관련 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근거중심 만성신부전관리 지침의 공통 권고사항에 대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도를 파악하여, 혈액투석환자 간호에 대한 최신의 과학적인 근거와 실무의 격차를 확인하여 근거중심 혈액투석간호의 실무적용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기적으로 평생을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는 환자의 합병증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만성신부전 환자는 신장 기능의 비가역적인 손상으로 신장이식 또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등의 수명연장을 위해 장기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3]. 또한 정기적으로 평생을 정해진 투석 일정에 맞추어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은 많은 합병증을 동반하는데 투석 시행에 대한 불안, 두려움, 불면증 등 신경병증과 같은 정신적 문제와 함께 영양결핍 및 전신쇠약으로 인한 만성 가려움증, 신체 활동의 감소, 근육경련, 뼈와 관절통증 등이 있다[4]. 그러므로 환자 스스로 자가관리를 위해 엄격한 수분제한, 혈관통로 관리, 약물복용, 식이요법, 운동 등을 꾸준히 수행하여 합병증을 최소화하여야 한다[5].
말기 신부전 환자의 원인질환은 어떤것들이 있으며 그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에서 말기신질환 환자는 급격히 증가하여 신 대체 요법을 받는 환자수가 2014년 말 기준으로 인구 백만 명당 1,571명의 높은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 말기 신부전 환자의 원인 질환을 보면 당뇨병성 신증 48.0%, 고혈압성 사구체 경화증 21.2%, 만성 사구체 신염이 8.2%의 순으로, 신대체 요법을 받는 환자 80,674명 중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수는 57,256명으로 71.0%를 차지하고 있다[1].
평생 투석을 받아야하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환자 스스로 자가관리를 위해 엄격한 수분제한, 혈관통로 관리, 약물복용, 식이요법, 운동 등을 꾸준히 수행하여 합병증을 최소화하여야 한다[5]. 또한 혈액투석실 간호사는 혈액투석과정동안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문제및 진단과 치료방법, 예후에 대한 최신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 양질의 적합한 간호를 제공함으로서 환자 스스로 건강문제에 잘 대처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혈액투석 으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ociety of Nephroloy. (2014).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y; 2015 [cited 2016 June 2]. Available from http://ksn.or.kr/journal/2015/index.html 

  2. Kore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n. (2014). Register status[Internet]. Seoul: Kore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n; 2015 [cited 2016 March 28]. Available from http://www.knna.or.kr/ 

  3. C. S. Song, J. H. Kim, E. J. Choi, S. Y. Cho & J. H. Lee. (2009). Physical condition and fatigue of hemodialysis patients on the day of dialysis and on the day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16(2), 123-134. 

  4. L. C. Dinwiddie, S. Burrows-Hudson & E. J. Peacock. (2006). Stage 4 chronic kidney disease: preserving kidney function and preparing patients for stage 5 kidne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6(9), 40-51. DOI : 10.1097/00000446-200609000-00024 

  5. S. Letchmi. et al. (2011). Fatigue experienced by patients receiving maintenance dialysis in hemodialysis units. Nursing & Health Sciences, 13(1), 60-64. DOI : 10.1111/j.1442-2018.2011.00579.x 

  6. J. E. Bae.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 educa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J. E. Yi & M. H. Park. (2011). Nurses' access &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3(3), 255-266. 

  8. E. G. Oh, H. J. Oh & Y. J. Lee. (2004). Nurse' research activities and barriers of research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838-848. 

  9. S. M. Kim. (2009).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base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hemodialysis in the patients with risk of bleed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50-155. DOI : 10.5977/jkasne.2010.16.1.150 

  10. S. M. Kim.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water treatment system in hemodialysi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463-471. 

  11. C. Szromba, M. A. Thies & S. S. Ossman. (2002). Advancing chronic kidney disease care: new imperatives for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Journal of the Americ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n, 29(6), 547-549. 

  12. L. H. Eaton & J. M. Tipton. (2009).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improving oncology patient outcomes. Pittsburgh, PA: Oncology Nursing Society. 

  13. H. C. Park, S. U. Han, S. Y. Han & B. S. Kim. (2006). Handbook of dialysis. Seoul: Koonja. 

  14.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15).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emodialysis adequacy: 2015 updat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66(5), 884-930. DOI : 10.1053/j.ajkd.. 2015.07.015 

  15.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09). ESRD guidelines.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1(1), 75-85. 

  16. J. T. Daugirdas, P. G. Blake & T. S. Ing. (2012). Handbook of dialysis.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 & Wilkins. 

  17. S. J. Kim & H. S. Kim. (2011). Difference between nursing demand and perceived nursing perform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3), 310-316. 

  18. A. L. Im. (2013). The way of the first needle insertion. Clinical Topics on Hemodialysis Vascular Access, 16, 121-146. 

  19. D. C. Jin. (2013). Hemodialysis catheter types and features. Clinical Topics on Hemodialysis Vascular Access, 16, 1-20. 

  20. Y. S. Kim. (2013). For vascular access problems questions and answers. Clinical Topics on Hemodialysis Vascular Access, 16, 235-258. 

  21. J. Cutter & S. Jordan. (2004). Uptake of guidelines to avoid and report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4), 441-452. DOI : 10.1111/j.1365-2648.2004.03010.x 

  22. S. Y. Han. (2007). The knowledge, perception and performance for the prevention of blood borne disease of nurses in hemodialysis center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3. S. M. Go. (2013). Of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exit management practices to reduce skin problems(EBP). Kore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n, Dialysis Nursing, 24, 53-90. 

  24. N. Y. Lee. (2006).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Seoul. 

  25. S. Labeau. et al. (2008).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esults of a knowledge test among european intensive care nurses. Th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0(2), 180-185. DOI : 10.1016/j.jhin.2008.06.027 

  26. S. Labeau. et al. (200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ng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results of a knowledge test among 3405 european intensive care nurses. Critical Care Medicine, 37(1), 320-323. DOI : 10.1097/ccm.0b013e3181926489 

  27. D. M. Doran & S. Sidani. (2007). Outcomes-focused knowledge translation: a framework for knowledge translation and patient outcomes improvement. World 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4(1), 3-13. DOI : 10.1111/j.1741-6787.2007.00073.x 

  28. E. J. Park. (2013). A grounded theory-based approach to practice adaptation process of hemodialysis unit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1), 128-137. DOI : 10.11111/jkana.2013.19.1.128 

  29. L. Valerie, G. Alice & J. Marilyn. (2007). The design of a hemodialysis nursing orientation program. CANNT Journal, 17(2), 4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