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과 간호기록 수행간의 관계
The Association between Safety Care Activity and Documentation of Nursing Record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3, 2018년, pp.85 - 94  

강행선 (제주한라병원) ,  송효정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afety care activity and documentation of nursing records among nurses working in hospit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ospital policy for the documentation of nursing records. Methods : By using a self-repor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 지역 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환자에게 제공한 안전간호활동이 간호기록으로 반영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안전간호활동과 간호기록 수행 정도를 파악하였고, 안전간호활동과 간호기록 수행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간호기록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안전간호활동은 간호사의 모든 영역의 간호업무에 속하는 것으로 간호 중 발생하거나 혹은 발생 가능한 문제를 찾아내어 개선과 예방을 하는 체계적인 활동을 말한다(Jang, 2013).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하여 실무에서는 지침서 마련, 교육, 철저한 환자확인, 의료진 간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규칙 등을 마련하여 개선해 나가고 있으나, 여전히 의료인간 의사소통의 불량, 안전간호 절차의 생략과 같은 환자안전에 위협이 되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Son, 2016). 간호사는 환자와 지속적으로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어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오류를 확인하고 걸러낼 수 있는 중요한 의료전달자 입장에 있기 때문에(Hwang & Lee, 2017;Park et al.
환자안전이란? 환자안전은 발생 가능한 오류의 사전 예방과 상해 제거를 위한 건강간호의 기본 원칙으로, 안전에 대한 환자의 기본적 욕구와 권리 확보 및 의료인의 의무와 법적 규제와 같은 환자안전문화 형성으로부터 나타난 환자중심의 의료와 간호를 말한다(Kim, 2011).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은 2004년 의료기관 평가로부터 시작되어 점차 환자안전에 위협이 되는 사고예방과 관리를 위한 환자 안전간호활동으로 확대되었다(Park, Kang, & Lee,2012).
간호사들이 수행된 간호활동에 대해 기록으로 잘 남기지 않는 경향이 있는 이유는? 간호기록은 이렇게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간호사들이 환자의 문제를 확인하고 수행된 간호활동에 대해 기록으로 잘 남기지 않는 경향이 있다(Gomes, Cubas, Pleis, Shmeil,& Peluci, 2016). 이것은 간호사들이 실무현장에서 바쁘게 뛰어 다니고 열심히 업무를 수행하지만 기록을 누락하거나, 또는 주어진 간호를 수행하는데 급급하여 간호기록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Kim & Park,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 B. K., & Choi, J. (2015).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 (4), 405-416. 

  2. Cho, I., Choi, W. J., Choi, W. H., & Kim, M. K. (2013). The adoptions and use of electronic nursing records in Korean hospitals: Findings of a nationwide surve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3), 345-356. 

  3. Choi, E. H., & Seo, J. Y. (2009). Comparison among with nursing records, nursing intervention priority perceived by nurse and nursing intervention frequency of general surger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 (3), 349-354. 

  4. Han, M. Y., & Jung, M. S. (2017). Effects of hospital nurs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 (2), 127-138. 

  5. Hwang, H. J., & Lee, Y. M. (2017).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0 (1), 63-74. 

  6. Inan, N. K., & Dinc, L. (2013). Evaluation of nursing documentation on patient hygienic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9(1), 81-87. 

  7. Gomes, D. C., Cubas, M. R., Pleis, L. E., Shmeil, M. A., & Peluci, A. P. (2016). Terms used by nurses in the documentation of patient progress. Revista Gaucha de Enfermagem, 37 (1), 1-9. 

  8. Jang, H. E. (2013). Impact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ontrol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9. Kang, Y. M., Yu, J. H., Cho, Y. A., Ryoo, S. S., Cho, J. K., & Sung, Y. H. (2008). An analysis of nursing focuses for standardization of ICU nursing record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 (1), 73-83. 

  10. Kim, M. R. (2011).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1), 1-8. 

  11. Kim, Y. M.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egal issue-focused nurse chart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3), 369-382. 

  12. Kim, Y. M., & Park, S. A. (2007). A nurse charting knowledge scale: Focusing on legal aspect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2), 27-38.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 Seoul: Korea Hea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4. Lim, E. A. (2009). Correlation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e in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 versity, Kongju, Korea. 

  15. Nam, M. H., & Lim, J. H. (2013).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 (1), 349-359. 

  16. Park, E. J., & Lee, E. J. (2018).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 (2), 63-74. 

  17. Park, S, J., Kang, J. Y., & Lee, Y. O. (2012).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5 (1), 44-55. 

  18. Ryu, D. H., & Park, H. A. (2002). Crossmapping of nursing problem and action statements in nursing records wit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 (2), 165-173. 

  19. Son, Y. L. (2016). The impa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3), 509-517. 

  20. Vafaei, S. M., Manzari, Z. S., Heydari, A., Froutan, R., & Farahani, L. A. (2018). Improving nursing care document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udy in Iran. Open access Macedoni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6 (8), 1527-1532. 

  21. Whittenburg, L., & Meetim, A. (2016). Electronic nursing documentation: Patient care continuity using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CCC).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225, 13-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