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기반한 심근경색증 상황 교육 적용에 따른 임상판단력과 간호수행자신감
Clinical Judgment Force and Nursing Performance Satisfaction by Application of Simulation-based Myocardial Infarction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22 no.6, 2019년, pp.721 - 727  

신승옥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judgment and nursing performance based on myocardial infarction simulation applied to nursing students. Method: 39 fourth grad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lanatory study with sampling of accommodations. The L...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심근경색증 환자 상황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수업 전과 후의 임상판단력을 비교하고 간호수행자신감이 향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 실습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실습은 시뮬레이터라는 기계를 가지고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교육방법 중 하나이다[5]. 가상의 임상상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충실도(Low-fidelity), 중충실도(Medium-fidelity) 고충실도(High-fidelity)로[6] 구분되어 환자의 호흡, 심음, 폐음, 기침, 수액 적용 시 변화 등 다양한 시뮬레이터 설계를 통해 환자와 같은 유사 반응을 보일 수 있다.
간호사의 실습교육이 관찰위주로 대체되고 있는 이유는? 간호사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습교육의 교육과정을 이수해야하며 그중 실습교육은 간호교육평가원에서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이수시간을 요구하고 있다[1]. 그러나 최근 환자의 권리요구와 환자안전을 이유로 간호대학생의 실습은 직접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없어 관찰위주의 실습으로 대체되고 있다[2,3]. 간호사는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간호업무를 수행해야한다.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교육의 추세는? 가상의 임상상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충실도(Low-fidelity), 중충실도(Medium-fidelity) 고충실도(High-fidelity)로[6] 구분되어 환자의 호흡, 심음, 폐음, 기침, 수액 적용 시 변화 등 다양한 시뮬레이터 설계를 통해 환자와 같은 유사 반응을 보일 수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교육에는 현장성에 중점을두고 재현성을 강조하고 있고[7], 현재 의학, 간호학, 응급구조학을 비롯한 임상응용학문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8].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방법 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임상판단력을 증진시키고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A report on evaluation of nursing schools, 2006,"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8). 

  2. J. H. Ahn, J. Y. Kim, and E. S. Hwang,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skills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in college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9, No.7, July, (2019). 

  3. E. J. Kim, and K. A. Nam, "Development and preliminary testing of the nursing competency scale in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 No.4, pp. 549-558. (2016), 

  4. Tanner, Christine A.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2006). 

  5. Cooper, J. B. and Taqueti, V. R.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2004). 

  6. J. H, Kim., I. H. Park, and S. Shin,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3), pp. 307-319, (2013). 

  7. L. K. Choon,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 Korean Acad Soc Nurs Edu Vol.17 No.2, pp.246-256, (2011). 

  8. Y. K. Ha, and C. K. Koh, "The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Simul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9, No.2, pp.119-126. (2012). 

  9. Lasater, K.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 an assessment rubri,"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11), pp. 496-503, (2007a). 

  10. K. K. Shi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2). 

  11. Jeffries, P. R.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alization to evaluation".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07). 

  12. S. Sideras, "An examin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a clinical judgement evaluation tool in the setting of high-fidelity simulation" (Unpublished dissertation).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Portland, OR, (2007). 

  13. Ha, E. H., and Song, H. S. "The effects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4), pp. 445-454, (2015). 

  14. Fanning, R. M. & Gaba, D. M.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 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2(2), pp. 115-125, (2007). 

  15. R. A. Kuiper, C. Heinrich, A. Matthias, M. J. Graham, L. Bell-Kotwall, "Debriefing with the OPT model of clinical reasoning during high 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5, No.1, pp.1-14, (2008). 

  16. S. M. Park, and I. G. Kwon,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7, No.6, pp.863-871, Mar. (2007). 

  17. Owen, A. M., & Ward-Smith, P. "Collaborative learning in nursing simulation: Near-peer teaching usi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3(3), pp. 170-173. (2014). 

  18. Jung, K. E., Y. J, K., and Seongmi, M.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Meaning, Response, and Effective Methods for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4(1), pp.51-59.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