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과 만족도 연구 -중국의 패션 소비자를 중심으로
Us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Focused on Chinese Fashion Consum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159 - 167  

진천천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  대명월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  박현정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증강현실 패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증강현실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본 중국 사용자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사용자 경험이 현존감, 몰입, 만족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개인화 수준도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존감의 경우 몰입을 높이고 몰입이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존감이 몰입을 경유하여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증강현실 기술에 주목하고 있는 다양한 산업에서 소비자들의 제품을 체험을 돕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파악하여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augmented reality (AR) fashion application focusing on user experi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80 Chinese users who had used AR fashion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User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AR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맞춤화된 제품, 서비스, 메시지를 제공할수 있는 기회를 활용하여 소비자 만족을 강화할 수 있을것이다. 모바일 쇼핑의 특성이 위치 확인, 즉시 연결, 개인화로 발전하고 있는 만큼 개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위해서 맞춤화된 제품, 서비스,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AR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다. AR 패션 어플리케이션은 개인화 서비스를 통해서 한층 더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된다.
  • 본 논문은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증강현실어플리케이션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 최초의 시도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혁신의 수용을 넘어 수용이후 단계의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AR 패션 어플리케이션을 체험한 이용자의 경험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태도에 어떤 메커니즘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Jun(2015)은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인화된 서비스, 시스템 품질이 AR 관광 어플리케이션의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2]. 이에 패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개인화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증강현실의 사용자 경험은 현존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현존감은 사용자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몰입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증강현실의 사용자 경험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증강현실의 사용자 경험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개인화 서비스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TPO 기반 실시간 개인화 대응의 예는 무엇인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은 소비자의 TPO(time, place, occasion)를 기반으로 실시간 개인화 대응이 가능하다[4].예를 들어, 여러 패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다양한 정보를부가하여 패션분야에서 소비자에게 색다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면서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매장에서 제품을 착용해보는 것과 비슷한 경험을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5]. 소비자는 의류나 메이크업 제품을자신의 사진에 겹쳐서 적용해보고 제품이 자신에게 잘어울리는지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은 패션의류 및 화장품 업계, 명품브랜드 및 온라인 쇼핑몰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AR)이란 무엇인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AR)은 가상물체를 현실세계에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실제와 가상의 세계가 융합된 세계를 말한다[1]. 증강현실의 특성은 현존감, 몰입, 상호작용 등의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증강현실이 가상현실에 비해 더욱 현실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겹쳐서 보여주어 몰입감과 현실감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다[2]. 이러한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를 정밀하게 흉내 내는 그래픽 위주의 가상현실과는 달리 현실 세계위에 가상의 물체(이미지)를 겹쳐놓음으로써 증강된 현실 세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가상현실에 비해 더욱 현실적으로 느껴진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 Y. Shim & J. H. Lee. (2012). A study of media adaptation and the user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2), 265-277. DOI : 10.12925/JKOCS.2008.25.2.19 

  2. R. T. Azuma.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6(4), 355-385. DOI : 10.1162/pres.1997.6.4.355 

  3. J. Y. Sung & J. W. Jo.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user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advertis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8), 177-183. DOI : 10.14400/JDC.2016.14.8.177 

  4. J. Y. So & S. H. Kim. (2013).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fashion application on pleasur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6), 810-826. DOI : 10.7741/rjcc.2013.21.6.810 

  5. Y. S. Choi & M. Y. Kim. (2011). An analysis of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5), 129-143. 

  6. N. H. Chung, H. A. Lee & J. M. Kim. (2014).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 on cultural heritage tourism.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6(8), 55-72. 

  7. K. S. Lee & H. R. Lee.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th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role of tour experience to the cultural heritag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2), 1061-1079. 

  8. J. Haworth & S. Evans. (1995). Challenge, skill and positive subjective states in the daily life of a sample of YTS stud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8(2), 109-121. DOI : 10.1111/j.2044-8325.1995.tb00576.x 

  9. J. Steuer. (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DOI : 10.1111/j.1460-2466.1992.tb00812.x 

  10. D. A. Norman. (2004). Introduction to this special section on beauty, goodness, and usabil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19(4), 311-318. DOI : 10.1207/s15327051hci1904_1 

  11. N. Shedroff. (1999). Information interaction design: A unified field theory of design. Information design, 267-292. 

  12. C. Hodge. (2003). Semiotics: A Primer for Designers. Retrieved March, 1, 2003. 

  13. S. C. Kim & S. B. Park. (2011). A case study on the mobile application designs applied with augmented reality -around the product promotion applic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17, 27-36. 

  14. L. K. Trevino & J. Webster. (1992). Flow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lectronic mail and voice mail evaluation and impacts. Communication research, 19(5), 539-573. DOI : 10.1177/009365092019005001 

  15. Y. J. Han. (2017).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presence, emotional attachment, and focus of attention for augmented reality immersion. Jourm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2(4), 27-35. 

  16. B. Y. Su. (2011). Users' cognitive absorption and satisfaction on intention to system use in travel agency web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6(2), 163-179. 

  17. Y. J. Joo, N. Y. Kim & K. Y. Kim.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internal locus of control, school support,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25-55. 

  18. J. Y. Kim.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forming flow with smartpho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26(2), 169-178. 

  19. K. J. Bahn & H. H. Kim.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experience based physical interface on game flow.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1(3), 201-210. 

  20. S. B. Chang. (2018). The effect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 by brand experience's mediator role on user satisfaction and attitude.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5, 125-136. 

  21. A. Poushneh & A. Z. Vasquez-Parraga. (2017). Discernible impact of augmented reality on retail customer's experience,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buy.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34, 229-234. DOI : 10.1016/j.jretconser.2016.10.005 

  22. T. Jung, N. Chung & M. C. Leue. (2015). The determinants of recommendations to use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he case of a Korean theme park. Tourism management, 49, 75-86. DOI : 10.1016/j.tourman.2015.02.013 

  23. A. Ghose & K. W. Huang. (2009). Personalized pricing and quality customization.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Strategy, 18(4), 1095-1135. DOI : 10.1111/j.1530-9134.2009.00239.x 

  24. J. Y. Sung & K. H. Park. (2011). A study on influence of smart-phone user interface upon brand loyalty: with a focus on coordinating role of perceived skills on the devic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2(1), 313-321. 

  25. D. S. Youm & S. Y. Yu. (2013). The effects of UI (user interface) experience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smartphon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129-137. DOI : 10.14400/JDPM.2013.11.4.129 

  26. D. Youm & K. H. Park (2014). A comparative study on user interface experience, product attitudes and intention to repurchase for each smartphone manufactur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9), 359-367. DOI : 10.14400/JDC.2014.12.9.359 

  27. T. Schubert, F. Friedmann & H. Regenbrecht. (2001). The experience of presence: Factor analytic insights.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10(3), 266-281. DOI : 10.1162/105474601300343603 

  28. D. W. Lee, M. R. Lee, J. G. Choi & H. W. Lee. (2011). The role of mobile application user's cognitive absorption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he e-Business Studies, 12(4), 227-250. 

  29. T. P. Novak & D. L. Hoffman. (1997). Measuring the flow experience among web users.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31(1),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