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R 기반의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경험 평가 -IKEA Place와 Amazon AR View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 in AR-based shopping Applications -Focused on Ikea Place and Amazon AR View-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411 - 416  

이준혁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케아(IKEA)의 IKEA Place와 아마존(Amazon)의 Amazon AR View를 중심으로 AR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관하여 분석하고 고찰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AR 시장의 전망 및 현황 등을 고찰하였고 AR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사례조사를 하였다. 2차로 AR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위주로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 모형(Honeycomb Model)을 6가지 요소로 재구성하여 태스크를 기반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AR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기능을 사용하면서 거치는 행위들이 간소하고,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검색하기 수월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호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R 기반 쇼핑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IKEA Place in IKEA and Amazon AR View in Amazon to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AR shopping applications. The first literature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prospects of the AR market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AR shopping applications. In the second phase, 'Honeycomb Model...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경쟁사의 AR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중심으로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쇼핑 프로세스의 과정, 제품의 검색 결과, 애플리케이션 UI에 대한 사용자 경험 만족도 등을 비교하여 AR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필요사항 등을 도출하고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AR 쇼핑 애플리케이션 중 이케아의 이케아 플레이스와 아마존의 아마존 AR VIEW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AR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경험의 개선을 위한 필요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AR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함께 진행하지 못한 점과 구체적인 방안을 설계하지 못하였다는 연구의 한계가 있지만, 초기 단계에 진입한 AR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조사·분석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국내 AR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기점으로 더 심도있는 AR 애플리케이션의 UI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AR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개선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문헌연구를 통해 AR 시장의 전망 및 현황 등을 고찰하였고, AR 쇼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사례조사를 하였다. 2차로 AR 쇼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선두하고 있는 IKEA의 IKEA Place와 Amazon의 Amazon View를 중심으로 AR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두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가구를 구매할 가능성이 있는 결혼 예정자 혹은 이사 예정자를 대상으로 태스크를 진행하고, 태스크를 기반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KEA와 Amazon 에서 도입한 AR 쇼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무엇인가? 최근 AR 기술이 상용화되어 모바일 기기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은 물론[1] 누구나 쉽게 개발도 가능 해졌다[2]. 이에 따라 기업들도 AR 기술을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3] 2017년 10월 이케아가 IKEA Place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도입하였고 이어 2017년 11월 아마존에서 자사 쇼핑몰 앱에서 자신의 방에 사려는 물품을 미리 배치해 볼 수 있는 Amazon AR View 서비스를 도입하였다. 이처럼, 가구 및 생활용품 유통 부문에서 세계적인 두 기업인 IKEA와 Amazon이 AR 쇼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끌어가고 있으며 국내 기업인 한샘 또한 AR 서비스를 시작하여 국내에선 최초로 가구를 미리 배치해본 후 쇼핑하는 시대를 이끌어가고 있다[4].
AR(증강현실)이란? 폴 밀그램(Milgram)과 푸미오 키쉬노(Pumio Kishino) 에 의하면 AR(증강현실)은 컴퓨터로 구현된 가상의 객체를 통해 보이는 이미지에 부가정보를 실시간으로 덧붙여 현실을 보여주는 기술이라[7]고 정의하였고, 로널드 아즈마 (Ronald T. Azuma)는 1997년 AR 시스템을 가상의 이미지와 현실의 이미지가 합쳐지고,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3차원의 공간 속에 놓인 것으로 정의하였다[8].
과거 AR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 제한점이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AR 기술은 구현하는 기술과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해 특수한 장치가 필요한 특성 때문에 스마트폰의 등장 이전까지는 AR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 제한점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95%를 넘어서고 수많 은 A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등장은 사용자들이 AR 콘텐츠들을 쉽게 접하고 소비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Y. Lee. (2019). Development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Virtual Augmented Reality (AR. VR) Industry (38-47) Seoul: Kiet 

  2. E. Kim, H. J. Lee. (2017). Development Trend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and User Interface. Seoul,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Research Group, ETRI 

  3. E. J. Woo. (2018). US boosts 'consumer experience' as augmented reality (AR). Kotra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1522 

  4. E. K. Kim. (2017). Let's pretend to place furniture at home... 'Augmented reality' and shopping meet. Yonhap News https://www.yna.co.kr/view/AKR20170505066300030 

  5. A. H. Kim. (2018). Amazon's 'AR View' reorganizes e-commerce ecosystem. Aitimes. http://aitimes.co.kr/news/view/46903 

  6. Y. D. Bang. (2017). From clothes to furniture... The pleasure of shopping for 'win-win' as augmented reality. Yonhap News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7/05/306055/# 

  7. P. Milgram & F. Kishino. (1994).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12(12), 1321-1329 

  8. T. A. Ronald.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6, 4, 355-385. https://dl.acm.org/citation.cfm?id2871077 

  9. J. I. HONG. (2018). "The world AR market, which is six times larger than VR...Korean Product Development Urgent". Yonhap News https://www.yna.co.kr/view/AKR20180713126600017 

  10. S. E. Oh. (2017). Ikea Korea has release Ikea Place, an augmented reality furniture placement app. Asiatoday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0929010014658 

  11. K. E. Lee. (2017). Amazon, "Prefer to augmented reality before buying anything." Bloter https://www.bloter.net/archives/293839 

  12. D. Y. Kwon. & B. Y. Kim. (2015).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 Usability in the Demand Transport Service. Communic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 53(0), 60-70. 

  13. K. B. Kim. (2010). Marketing Research for Decision Making. Seoul : Trade executive 

  14. H. J. Kang & S. I. Kim. (2017). Evaluation on theUsability of Chatbot Intelligent Messenger MobileServices - Focusing on Goolge (Allo) and Facebook (Mmessag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71-276. 

  15. J. Nielson. (1994). Usability Engineering. 26. 

  16. C. H. Park (2004). Cognitive Processes in Exploring the Cyberspace, The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03-4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