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의사소통 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485 - 494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이인숙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아리 활동은 대학생들의 인간관계와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편의 표집한 일부 도시 간호학과 재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동아리 활동 참여자는 11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𝑥2검정, t-tes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은 중간 이상이었으며, 동아리 활동 여부에 따라서는 학년(𝑥2=8.07, p=.045), 전공만족도(𝑥2=8.26, p=.010), 의사소통능력(t=8.19, p=.005), 셀프리더십 중 행동중심적 전략(t=4.48, p=.03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행동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및 동아리 활동수준 중 적극성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셀프리더십은 의사소통능력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따라서 대상자들의 다양한 동아리 경험은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그것은 셀프리더십 함양에 도움을 줄 것이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적극적인 동아리 활동을 장려하고 전문간호사의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이 향상되는 교육적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ub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for college students in adapting to their college life. This study was therefo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ub activities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applied for 147 stude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아리 활동이 대학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체계를 갖추어 운영된다면 대학생활에 긍정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4].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들의 전공교과목 외에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동아리활동,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을 조사하고, 동아리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수준,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을 알아보고, 동아리 활동 여부가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동아리 활동의 참여를 확대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행동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및 동아리 활동수준 중 적극성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셀프리더십은 의사소통능력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 대학생들은 대학 생활 동안 여러 전공교과목 이수와 동아리 활동과 같은 비교과 활동 등을 통해 성장을 계속하지만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수준,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과의 관계를 보고한 연구로서는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참여로 의사소통능력 중 정보수집과 타인의 관점 이해가 높아졌고, 문제해결능력 중 확산적 사고가 증가하였다는 연구[13] 외에 동아리활동과 의사소통 및 셀프리더십과 관련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대상자와의 전문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을 조사하고, 간호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동아리 활동이 대학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체계를 갖추어 운영된다면 대학생활에 긍정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이란? 의사소통이란 타인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수단을 활용하여 얼마나 상호작용을 잘하는가를 의미하며, 의사소통이 갖는 사회적 속성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는 지식이자 적절성과 효과성을 수반하는 지식, 기술, 그리고 동기가 의사소통능력이라 할 수 있다[5]. 간호 교육에서도 의사소통능력은 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로서 대상자와 상호관계를 효과적으로 연결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6].
간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수준,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을 알아보고, 동아리 활동 여부가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을 확인한다. 둘째, 대상자의 동아리 활동 및 동아리 활동수준을 확인한다. 셋째, 동아리 활동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의 차이를 확인한다. 넷째, 동아리 활동이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동아리 활동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동아리 활동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는 Kim [15]이 연구한 동아리 활동수준에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동아리 활동수준을 평가하는 5가지 하위 요인은 동아리의 가입과 활동 참여에 있어 자신의 자발적 성향과 동아리의 활동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는 자발성 3문항, 동아리 연간 활동계획, 결정된 동아리 활동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알아보는 적극성 3문항, 동아리 내 의사결정 과정 및 문제점 개선 노력 등을 알아보는 문제해결력 3문항, 동아리 활동이 차지하는 비중, 활동의 적응과 보람 정도, 동아리 활동 자체에 대한 만족을 평가하는 만족도 7문항, 활동하는 동아리의 회칙, 연간 계획에 의한 운영, 전체 회의를 통한 의사 결정 구조를 알아보는 조직력 4문항,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H. Baek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 Korea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4, No, 1, pp.259-282, 2020. 

  2. S. M. Ham, J. H. Lee,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club activities in school life resilience: Testing mediation model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Vol.20, No.12, pp.327-348, 2020.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2.327 

  3. G. J. Na, E. H. Na.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n the degree of campus life satisfaction: major selection in department nursing and health science colla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Vol.19, No.9, pp.205-221, 2019.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9.205 

  4. M. R.Siddiky , "Developing co-curricular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all-round development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a Study of a selected public university in Bangladesh. Pakistan", Journal of Applied Social Sciences , Vol.10, No.1, pp.61-82, 2019. DOI: https://doi.org/10.46568/pjass.v10i1.101 

  5. G. H. Hu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47, No.6, pp.380-408, Jun. 2003. 

  6. M, Quail, S. B, Brundage, J, Spitalnick, P. J, Allen,J, Beilby, "Student self-reported communication skills, knowledge and confidence across standardised patient, virtual and tradition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BMC medical education , Vol.16, No.1, pp,73, Dec, 2016. DOI: https://doi.org/10.1186/s12909-016-0577-5 

  7. O. S. Lee, M. O. Gu,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ol.14, No.6, pp.2749-2759, Jun,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749 

  8. M. O. Yu,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raduation yea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ol.20, No.7, pp.406-413, 2019. DOI : https://doi.org/10.5762/KAIS.2019.20.7.406 

  9. C. P. Neck,, G. L .Stewart, C. C. Manz,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 Vol.31, No.3, pp.278-302, Sep, 1995. DOI: https://doi.org/10.1177/0021886395313004 

  10. D. R. Kim, H. N. Lim, J. I. Kim,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11. No.3, pp.369-377, Mar. 2020. DOI: https://doi.org/10.15207/JKCS.2020.11.3.369 

  11. H. J. Hwang, J. H. Lim, "The effect of clinical nurs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Vol.18, No.24, pp.1155-1171, Dec. 2018. DOI: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4.1155 

  12. Y. H. Choi, "The influence of participating in club activities at art institut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ub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 Vol. 15, No. 1, pp. 159-173, Mar. 2017. 

  13. O. B. Km. "Analysis of difference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Vol.8, No.1, pp.799-807, Nov. 2018. DOI: https://doi.org/10.21742/AJMAHS.2018.11.57 

  1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 Vol.39, No.2, pp.175-191, May,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5. J. Y.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lub activity of adolescenc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p.1-62, 2000. 

  16. J. D. Houghton,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 Vol.17 No.8, pp.672-691, Dec. 2002. DOI: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17. Y. K. Shin, M. S. Kim, Y. S. Han,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Vol.6, No.3, pp.313-340, Dec. 2009. 

  18. S. H. Lee, S. E. Chung, " Influencing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4, No.12, pp.340-349, Dec. 2014. 

  19. G. J. Ha, S. Y. Moon, S. H. Park, J. H. Park, Y. J. Jeong, S. Y. Heo, W. J. Park, "Influencing factors of club activity, relational self and empathy on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 Vol.24 No.1, pp.22-37, Feb. 2020. DOI: https://doi.org/10.38083/jkns.24.1.202002.22 

  20. R. S. Rubin, W. H. Bommer, T. T. Baldwin, "Using extracurricular activity as an indicator of interpersonal skill: Prudent evaluation or recruiting malpractice?. Human Resource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41, No.4, pp.441-454. Dec. 2002. DOI: https://doi.org/10.1002/hrm.10053 

  21. J. Y. Choi, S. B. Im,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ocus of control",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 Vol.24, No.3, pp.182-192. Jun. 2018.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182 

  22. S. D. Simpkins, J. S. Eccles, J. N. Becnel, S. Simpkins-Chaput, "The role of breadth in activity participation and friends in adolescents' 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 Vol.44, pp.1081-1094. Jul. 2008. DOI: https://doi.org/10.1037/0012-1649.44.4.1081 

  23. S. Y. Lee, "The determinants of participating in the types of 'dong-ar-ri'(organized- club/circle activities) of youth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0, No.10, pp.407-431, Oct. 2013. 

  24. E. Y. Kim, M. H. Song,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reativity progra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creativity community",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 Vol.12, No.3, pp.29-55, Dec. 2012. 

  25. A. P. Bochner, C. W. Kelly, "Interpersonal competence: Rationale, philosophy, and implementa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The Speech Teacher , Vol.23, No.4, pp.279-301, May. 2009. DOI: https://doi.org/10.1080/03634527409378103 

  26. G. D. Kuh, "The other curriculum: Out-of-class experiences associated with student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 Vol.66, No.2, pp.123-155. Nov. 2016. DOI: https://doi.org/10.1080/00221546.1995.11774770 

  27. G. E. Prussia, J. S. Anderson, C. C. Manz,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 Vol.19, No.5, pp.523-538, Dec. 1998. DOI: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809)19:5 3.0.CO;2-I 

  28. Y. S. Lee, S. H. Park, J. K. Kim,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4, No.6, pp.229-240, Jun. 2014.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29 

  29. C. C. Manz, H. P. Sims Jr,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 Vol. 19, No.4, pp. 18-35, Mar. 1991. DOI: https://doi.org/10.1016/0090-2616(91)90051-A 

  30. J. D. Kim,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through youth participation , Ph.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p.1-130,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