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스마트 농업 구현을 위한 ICT기반 곡물 재배이력관리 시스템
Grain cultivation traceability system using ICT for smart agriculture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3 no.5, 2020년, pp.389 - 396  

김훈 (Research Group of Consumer Safet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김의웅 (Research Group of Consumer Safet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이효재 (Department of Bio-industry mechanic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재배이력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구현하였으며, 특히 스마트 팜에서 재배하기 힘든 곡물의 재배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스마트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및 웹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수집되는 정보는 DB 서버에 저장되어 빅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GPS를 적용한 GIS/LBS기반의 전자지도(Vworld map)를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정보와 농업활동 정보의 매칭이 가능하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재배이력정보 DB를 설계하여 농가, 농민, 재배정보를 관리자가 활용하기 쉽게 개발하였고, 모바일 및 웹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구현해보았다. 본 시스템은 노동력절감효과와 기후변화와 같은 변수에 대응하여 품질과 안전관리의 능력을 한 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cultivation traceability system to implement smart agricultur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in particular, devised a system that manages the cultivation traceability of grains that are difficult to grow in smart farms. Mobile and web programs based on smart devices are designed,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물을 대상으로 스마트농업을 실현하기 위해서 LBS/GIS와 같은 ICT 기술을 적용한 곡물의 재배이력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고, 모바일 및 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팜이란? 스마트 팜은 정보통신기술(ICT, IoT)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농작물의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생육환경관련 정보와 작물의 생육 특성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빅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작물의 최적 생육관리 모델을 설정하여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에너지, 노동력, 경영비 등을 절감하는 편리한 농업활동을 할 수 있는 경영방식으로 정의한다[5]-[9]. 이러한 스마트 팜 기술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농업분야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를 잡았으며, 재배, 시설원예, 작업기계 및 경영 등 대부분의 농업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 팜 기술은 어떤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가? 스마트 팜은 정보통신기술(ICT, IoT)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농작물의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생육환경관련 정보와 작물의 생육 특성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빅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작물의 최적 생육관리 모델을 설정하여 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에너지, 노동력, 경영비 등을 절감하는 편리한 농업활동을 할 수 있는 경영방식으로 정의한다[5]-[9]. 이러한 스마트 팜 기술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농업분야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를 잡았으며, 재배, 시설원예, 작업기계 및 경영 등 대부분의 농업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농업선진국중 하나인 네덜란드는 척박한 토양과 농업노동력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온실의 자동화 등의 첨단 농업기술을 개발하였고, 이스라엘은 경지면적과 농업용수의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첨단 IT 기술을 개발하고 접목하여 시설채소, 화훼, 과수 등의 생산 경쟁력을 확보하였다[10].
스마트 팜 기술이 곡물재배에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스마트 팜 기술은 현재까지는 주로 시설재배용 작물에만 적용되고 있고 식량자원인 곡물재배에는 아직까지 적용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시설재배용 작물에 비해 곡물 재배는 넓은 농지가 필요하며 넓은 농지에 스마트 팜 기술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9 Revision, United Nations Publications, 2019. 

  2. U. H. Yeo, I. B. Lee, K. S. Kwon, T. Ha, S. J. Park, R. W. Kim, S. Y. Le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nd Core Technologies Based on ICT to Materialize Smart-farm.",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 25(1), pp. 30-41, 2016. 

  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Progress direction and Project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R&D to realize smart-agriculture. Seoul, Korea, pp. 3-36, 2015. 

  4. S. C. Kim,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mart farm technology development.",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2), pp. 10-18, 2017. 

  5. Y. U. Kim, J. H. Kim, B. W. Lee, "Improving and Validating a Greenhouse Tomato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pp. 373-379, 2019. 

  6. J. H. Cho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control on internet.", M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2000. 

  7. B. H. Park, "Teleoperation control for greenhouse via the world wide web.",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2000. 

  8. D. U.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nitoring for remote control based on clinet/server.",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02. 

  9. D. G. Kong, K. H. Ryu, J. Y. Jin, "Development of database for environment and control information in greenhouse.", J Agri Machin, 28, pp. 59-64, 2003. 

  1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Strategies of new ICT convergence of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 Korea, pp. 1-34, 2014. 

  11. S. Blackmore, "Developing the principles of precision farming.", In ICETS 2000: Proceedings of the ICETS 2000(China Agricultural University, Beijing, China) , pp. 11-13, 2000. 

  12. G. J. Kim, J. D. Huh, "Trends and Prospects of Smart Farm Technology." ETRI, 2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30(5), pp. 1-10, 2015. 

  13. N. K. Yoon, J. S. Lee, K. S. Park, J. Y. Lee, "Korean Smart Farm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atus", Rural Resources, pp. 19-27, 2017. 

  14. M. H. Paek, S. S. Ko, "The Study on RFID Traceability System for Rice Chain Management.",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13(4), pp. 33-4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