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공성 구형 탄소를 이용한 리튬/유황 전지의 수명개선 및 전기화학특성 연구
Study of Improvement Life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Lithium/sulfur Battery using Porous Carbon Sphere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4 no.3, 2021년, pp.42 - 51  

허성규 (비츠로셀 신뢰성 시험 팀) ,  임수아 (호서 대학교 제약 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튬/유황 전지 반응에서 리튬-폴리설파이드(Lithium polysulfide)는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전해액에 해리되어 전지 수명을 저하시키는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 액체 상태인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지 않도록 유황을 담지하고 리튬-폴리설파이드의 흡착을 유도, 추가로 전도도까지 높일 수 있는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탄소를 모색했다. 본 논문에서는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탄소 구체를 얻기 위해 추가로 KOH 처리를 통해 1939 m2/g의 탄소 구체를 2200 m2/g으로 높였다. 또한, 유황과의 열처리를 통해 75wt%의 유황이 함유된 탄소 유황 화합물을 만들어 양극재료 사용가능성에 대한 물질 분석을 진행했다. Reference (622; 유황: 60%, 도전재: 20%, 바인더: 20%) 파우치 셀과 75 wt%의 탄소 유황 화합물을 이용하여 만든 파우치 셀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50 사이클 기준으로 Reference 대비 20%의 수명 증가와 10%의율 특성 향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sociation into Lithium-polysulfide electrolyte due to repeated cycles during the Lithium/Sulfur battery reaction is a major problem of reduced battery lifespan. We searched for a porous carbon with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that infiltrated S to prevent liquid Lithium-polysulfide from being d...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6)

  1. J. M. Tarascon and M. Armand, 'Issues and challenges facing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Nature, 414, 359-367 (2001). 

  2. M. Armand and J. M. Tarascon, 'Researchers must find a sustainable way of providing the power our modern lifestyles demand' Nature, 451, 652-657 (2008). 

  3. E. Plichata, M. Salomon, S. Slane, M. Uchiyoma, B. Chua and W. B. Ebner, 'Rechargeable Li/LixCoO2 cell' J. Power Source, 21, 25-31 (1987). 

  4. J. Dhan, U. Von Sacken, C. Michel, 'Structure and electrochemistry of Li1GyNiO2 and a new Li2NiO2 phase with the Ni(OH)2 structure', Solid State Ionics, 87, 44-53 (1990). 

  5. J. Shim, K. A. Striebel, 'Electrochemical analysis for cycle performance and capacity fading of a lithium-ion battery cycled at elevated temperature', J. Power Sources 112, 222-230 (2002). 

  6. I. Masashi, K. Manabu and M. Masayuki, 'Control of lithium metal anode cycleability by electrolyte temperature' J. Power Source, 81, 217-220 (1999). 

  7. T. Tetsu, T. Makoto and O. Noborn, 'Inhibition effect of covalently cross-linked gel electrolytes on lithium dendrite formation' Electrochimica Acta, 46, 1201-1205 (2001). 

  8. B. Scrosati, F. Croce and S. panero, 'Progress in lithium polymer battery R&D' J. Power Source, 100, 93-100 (2001). 

  9. C. W. Kwon, S. E. Cheon, J. M. Song, H. T. Kim, K. B. Kim, C. B. Shin and S. W. Kim, 'Characteristics of a lithium-polymer battery based on a lithium powder anode' J. Power Source, 93, 145-150 (2001). 

  10. D. R. Sahalub, A. E. Foti and v. H. Smith, Jr. 'Molecular orbital study of structural changes on oxidation and reduction of S3, S4, S6, and S8' J. Am. Chem. Soc, 100, 7847-7859 (1978). 

  11. C. R. Bansal, J. B. Donnet, and F. Stoeckli, Marcel Dekker, 'A review of: Active Carbon.' New York Active carbon, PP482 (1988). 

  12. B. M. Rao and J. A. Shropshire, 'Effect of Sulfur Impurities on Li/TiS2 Cells', J. Electrochem. Soc, 128, 5, 942-945 (1981). 

  13. Sang-Cheol Han, Min-Sang Song, Ho Lee, Hyun-Seok Kim, Hyo-Jun Ahn,Jai-Young Lee 'Effect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on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OSulfur Rechargeable Batteries' J. Electrochem. Society, 150(7), A889-A893, 2003. 

  14. H. C. Foley, 'Carbogenic molecular siev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Microporous Mater, 4, 407-433 (1995). 

  15. Zhixin Ma,Takashi Kyotani,Akira Tomita, 'Preparation of a high surface area microporous carbon having the structural regularity of Y zeolite', ChemComm, 38, 269-286 (2000). 

  16. H. Tamai, T. Kakii, Y. Hirota, T. Kumamoto, H. Yasuda,'Synthesis of Extremely Large Mesoporous Activated Carbon and Its Unique Adsorption for Giant Molecules' Chemistry of Materials, 8, 454-462 (19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