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알콜성 지방간 초음파 영상에 GLCM과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분류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lassification using Gray Level Co-Ocurrence Matrix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on Non-alcoholic Fatty Liver Ultrasound Images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7 no.5, 2023년, pp.735 - 742  

김지율 (대우병원 영상의학과) ,  예수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알콜성 지방간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고혈압 및 신장질환의 발생에 있어 독립적인 위험인자에 해당하며, 최근에는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임상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의 초음파영상에 대하여 질감분석 방법인 GLCM을 적용하여 특징값을 추출하고자 한다. 추출된 특징값들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의 지방침착 정도를 정상 간(normal), 경도 지방간(mild), 중등도 지방간(moderate), 중증 지방간(severe)으로 분류를 하고자 한다. GLCM알고리듬 적용 결과 Autocorrelation, Sum of squares, Sum average, Sum variance 파라미터 값들은 경도 지방간, 중등도 지방간을 거쳐 중증 지방간으로 갈수록 특징값의 평균값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인공신경망 모델의 입력은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초음파영상에 GLCM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추출한 Autocorrelation, Sum of squares, Sum average, Sum variance의 4개의 파라미터들을 인공신경망 모델의 입력값으로 적용하였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초음파영상에 GLCM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추출한 영상을 인공신경망에 적용하여 분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92.5%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의 초음파 영상에 대한 질감 분석 GLCM 연구 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자료로 제시를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hypertension, and kidney disease, and the clinical importa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aim to extract feature values b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추출된 특징값들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비알콜 성지방간의 지방침착 정도를 정상 간(normal), 경도 지방간(mild), 중등도 지방간(moderate), 중증 지방간(severe)으로 분류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의 초음파 영상에 대한 질감 분석 GLCM 연구 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의 초음파 영상에 대하여 질감분석 방법인 GLCM을 적용하여 특징값을 추출하고자 한다. 추출된 특징값들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비알콜 성지방간의 지방침착 정도를 정상 간(normal), 경도 지방간(mild), 중등도 지방간(moderate), 중증 지방간(severe)으로 분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초음파영상에 GLCM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추출한 영상데이터를 인공신경망에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간 실질의 지방침착 정도에 따른 정상 간, 경도 지방간, 중등도 지방간, 중증 지방간으로 분류를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초음파영상의 분류 정확도는 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C. Cohen, J. D. Horton, H. H. Hobbs, "Human?Fatty Liver Disease: Old Questions and New?Insights", Science, Vol. 332 No. 6037, pp.?1519-1523, 2011.?http://dx.doi.org/10.1126/science.1204265 

  2. J. H. Kang, S. H. Lee, H. S. Lee, J. Y. Cho, B. Y.?Yoo, "The Rel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Disease to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25, pp.?746-753, 2004. 

  3. S. Wu, R. Tu, G. Liu, L. Huang, Y. Guan, E.?Zheng, "Focal fatty sparing usually does not arise in?preexisting nonalcoholic diffuse homogeneous fatty?liver", Journal of Ultrasound in Medicine, Vol. 33,?No. 8, pp. 1447-1452, 2014.?http://dx.doi.org/10.7863/ultra.33.8.1447 

  4. Y. A. Kim, J. N. Song, M. E. Kim, "Analysis of the?Accura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linical?Chemical Test with Fatty Liver Patients on the?Medical Exa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of?Radiology, Vol. 6, No. 3, pp. 183-189, 2012.?https://doi.org/10.7742/jksr.2012.6.3.183 

  5. S. G. Lee, Rahul, H. L. Ye, D. P. Chittajallu, U.?Kruger, T. Boyko, J. K. Lukan, A. Enquobahrie, J.?Norfleet, S. De, "Real-time Burn Classification using?Ultrasound Imaging", Scientific Reports, Vol. 10, No.?1, pp. 5829, 2020.?http://dx.doi.org/10.1038/s41598-020-62674-9 

  6. S. K. Sim, W. Y. Chong, "The Real-time Printed?Alphabets Recognition using Artificial Neural?Networks", Vol. 2, No. 1, Prod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2001. 

  7. X. Yang, S. Tridandapani, J. J. Beitler, D. S. Yu, E.?J. Yoshida, W. J. Curran, T. Liu, "Ultrasound GLCM?texture analysis of radiation-induced parotid-gland?injury in head-and-neck cancer radiotherapy", Medical?Physics, Vol. 39, No. 9, pp. 5732-5739, 2012.?http://dx.doi.org/10.1118/1.4747526 

  8. H. S. Kim, "Classification and Combination of?Fashion Items Using CNN-Based Deep Learning",?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2, No. 3,?pp. 475-482, 2021.?http://dx.doi.org/10.9728/dcs.2021.22.3.475 

  9. A. K. Singh, R. Narvey, V. Chaudhary, "Accurate?Detection of Breast Cancer Using GLCM and LBP?Features with ANN via Mammography", Machine?Intelligence and Smart Systems Proceedings of MISS?2020, pp. 593-604, 2020.?http://dx.doi.org/10.1007/978-981-33-4893-6_50 

  10. S. B. Seok, "A Novel Adaptive Histogram?Equalization based on Histogram Matching", Journal?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Vol. 7, No. 6, pp. 1231-1236, 2006. 

  11. A. M. Diehl,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Semin?Liver Dis, 19, pp. 221-229, 1999. 

  12. J. G. Fan, F. Li, X. B. Cai, Y. D. Peng, O. H. Ao,?Y. Gao, "Effect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o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orders", Journal?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Vol. 22, No. 7,?pp. 1086-1091, 2007.?http://dx.doi.org/10.1111/j.1440-1746.2006.04781.x 

  13. J. H. Park, I. S. Choi, K. D. Han, H. Park, K. H.?Kim, J. S. Kim, "Association Between Fatty Liver?Index and Risk of Breast Cancer: A Nationwide?Population-Based Study", Clinical Breast Cancer,?Vol. 20, No. 4, pp. e450-e457, 2020.?http://dx.doi.org/10.1016/j.clbc.2020.02.004 

  14. J. C. Bamber, M. Tristam, Diagnostic Ultrasound in?the Physics of Medical Imaging, Webb's Physics of?Medical Imaging, pp. 354-367, 2012. 

  15. A. Amporn, L. Passisd, P. Kittichai, "Machine?learning models for predicting non-alcoholic fatty?liver disease in the general United States population:?NHANES database", World Journal of Hepatology,?Vol. 13, No. 10, pp. 1417-1427, 2021.?https://doi.org/10.4254/wjh.v13.i10.1417 

  16. R. Farkhondeh, D. K. Reza, S. Davood, et al.,?"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in predicting?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using anthropometric?and body composition indices", Scientific Reports,?Vol. 13, pp. 4942-4949, 2023.?http://dx.doi.org/10.1038/s41598-023-32129-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