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1, 2009년, pp.129 - 139  

최귀윤 (울산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 o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nursing students from a college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at four regional hospitals. Data was collected with the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의 임상실습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졌으나 학생의 개인적인 특성과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을 연계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생의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임상실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습 교육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산학협력 체계의 임상실습 교육 모델 개발의 방향 설정에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라 임상실습 환경 변수인 직무 오리엔테이션, 이노베이션, 개별화, 개인화, 학생 참여 및 만족도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 관련 변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방법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임상실습 지도 모델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자는 일 3년제 대학의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180명이었으며 Chan(2002-a)이 개발한 임상실습 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2008년 4월과 6월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간호학생의 인식과 관련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임상실습 환경의 평균 인식 점수는 2.
  •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과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 관련 변수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문헌고찰과 위의 연구목적을 가지고 ‘간호학생의 특성과 임상실습 환경 관련 변수는 서로 유기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제 변수가 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LEI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본 연구의 도구는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심리사회적인 교육의 이론적 기틀에 근거하여 개발된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CLEI)(Chan, 2002-a; Chan, 2002-b)이다. 이 도구는 6개의 하위 변수, 즉 직무 오리엔테이션(task orientation), 이노베이션(innovation), 개별화(individualization), 개인화(personalization), 학생 참여(student involvement), 및 만족도(satisfaction) 로 구성되며 각 변수는 7개 문항을 포함하며 전체 문항은 42개이다. 이 도구는 Moos(Chan, 2002-b에 인용됨)의 인적 환경에 대한 3가지 기본적인 차원의 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자기개발 차원 (직무 오리엔테이션, 만족도), 관계 차원(개인화, 학생 참여), 체계유지 및 변화 차원(이노베이션, 개별화)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이노베이션이란 무엇인가? 직무 오리엔테이션은 병동 업무가 명확하고 잘 조직화된 정도이며; 이노베이션은 지도간호사가 새롭고 흥미 있는, 생산적인 병동 경험과 교수 방법, 학습 활동 및 환자 배정을 계획하는 개선 활동의 정도이며; 개별화는 학생의 결정이 허용되며 학생의 능력 또는 관심에 따라 다르게 대하는 정도이며; 개인화는 지도간호사가 개별 학생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와 학생 개인의 안녕에 관심을 가지는 정도이며; 학생 참여는 학생이 병동 업무에 능동적이고 원하는 바에 따라서 참여할 수 있는 정도이며; 만족도는 임상실습으로 인한 즐거움과 학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이다.
직무 오리엔테이션이란 무엇인가? 직무 오리엔테이션은 병동 업무가 명확하고 잘 조직화된 정도이며; 이노베이션은 지도간호사가 새롭고 흥미 있는, 생산적인 병동 경험과 교수 방법, 학습 활동 및 환자 배정을 계획하는 개선 활동의 정도이며; 개별화는 학생의 결정이 허용되며 학생의 능력 또는 관심에 따라 다르게 대하는 정도이며; 개인화는 지도간호사가 개별 학생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와 학생 개인의 안녕에 관심을 가지는 정도이며; 학생 참여는 학생이 병동 업무에 능동적이고 원하는 바에 따라서 참여할 수 있는 정도이며; 만족도는 임상실습으로 인한 즐거움과 학습에 대한 만족감의 정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urns, I., & Paterson, I. M. (2005). Clinical practice and placement support: Supporting learning in practice. Nurse Educ Pract, 5(1), 3-9. 

  2. Chan, D. S., & Ip, W. Y. (2007). Preception of hospital learning environment: A survey of Hong K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 Today, 27(7), 677-684. 

  3. Chan, D. S. (2003). Validation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West J Nurs Res, 25(5), 519-532. 

  4. Chan, D. S. (2002-a). Associations between student learning outcomes from their clinical placement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ocial climate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t J Nurs Stud, 39(5), 517-524. 

  5. Chan, D. S. (2002-b).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 Nurs Educ, 41(2), 69-75. 

  6. Chesser-Smyth, P. A. (2005). The lived experiences of general student nurses on their first clinical placement: A phenomenological study. Nurse Educ Pract, 5(6), 320-327. 

  7. Hart, G., & Rotem, A. (1995).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Nurse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linical settings. Nurse Educ Today, 15(1), 3-10. 

  8. Hart, G., & Rotem, A. (1994). The best and worst: students' experiences of clinical education. Aust J Adv Nurs, 11(3), 26-33. 

  9. Henderson, A., Twentyman, M., Heel, A., & Lioyd, B. (2006). Students' perception of the psycho-soci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 evaluation of placement models. Nurse Educ Today, 26(7), 564-571. 

  10. IP, W. Y., & Chan, D. S. (2005). Hong K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clinical environment: A questionnaire survey. Int J Nurs Stud, 42(6), 665-672. 

  11. Kang, H. S., & Kim, W. O. (2002). Changes in the image of the nurse for student nurse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J Korean Acad Fundam Nurs, 9(3), 379-387. 

  12. Kelly, E. K., Hunley, A. L., Wegner, J. L., Grogan, A., Walker, A., Malone, K. J., LaPerriere, M., Saucier, L., & Girvin, S. (2005). Evidence-based nursing: Making changes in the clinical practic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practicing nurses, Appl Nurs Res, 18(4), 229-231. 

  13. Kim, Y. H. (2006). Autonomy,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for fundamentals nursing clinical practice in student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3(1), 6-14 

  14. Kim, M. A., Kim. H. E., & Nam, S. H. (2001). Perception types of nursing students to clinical education Q methodological approach. J Korean Acad Adult Nurs, 13(2), 327-339. 

  15. Lambert, V., & Glacken, M. (2004). Clinical support rol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 Pract, 4(3), 177-183. 

  16. Lewin, D. (2007).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for student nurses: Key indices from two studies compared over a 25 year period. Nurse Educ Pract, 7(4), 238-246. 

  17. Midgley, K. (2006).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learning environment during clinical placements. Nurse Educ Today, 26(4), 338-345. 

  18. Papp, I., Markkane, M., & Bonsdorff, M. (2003). Clinical environment as a learning environment: Student nurses' perceptions concerning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Nurse Educ Today, 23(4), 263-268. 

  19. Park, K. S., Hwang, Y. Y., & Choi, E. H. (2003). The study of the nursing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t the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cad Adult Nurs, 15(3), 373-382. 

  20. Pearcey P. A., & Elliott. B. E. (2004). Student impressions of clinical nursing. Nurse Educ Today, 24(5), 382-387. 

  21. Pollard, C., Ellis, L., Stringer, E., & Cockayne, D. (2007). Clinical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 Pract, 7(5), 315-322. 

  22. Saarikoski, M., Isoaho, H., Warne, T., & Leino-Kilpi, H. (2008). The nurse teacher in clinical practice: Developing the new sub-dimension to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CLES) scale. Int J Nurs Stud, 45(8), 1223-1227. 

  23. Saarikoski, M., Leino-Kilpi, H., & Warne, T. (2002).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Testing a research instrument i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Nurse Educ Today(, 22(4), 340-349. 

  24. Saarikoski, M., & Leino-Kilpi, H. (2002).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by staff nurses: Developing the instrument. Int J Nurs Stud, 39(3), 259-267. 

  25. Shin, K. R.(1996).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discovery of meaning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J Korean Acad Adult Nurs, 8(1), 156-168. 

  26. Tiwari, A., Lam, D., Yune, K. H., Chan, R., Fung, T., & Chan, S. (2005). Student learning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and learning. Nurse Educ Today, 25(4), 299-308. 

  27. Whang, S.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2(2), 205-213. 

  28. Won, J. S., Kim, K. S., Kim, K. H., Kim, W. O., Yu, J. H., Jo, H. S., & Jeong, I. S. (2000). The effect of foot massage on stress in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Fundam Nurs, 7(2), 192-2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