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기 추출액을 첨가한 식혜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19 no.2, 2009년, pp.216 - 223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The pH of the Sikh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added extract. The L value (Light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tent, whereas the a and b values inc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식혜에 대해서는 제조시 최적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주로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Lee & Jun 1976, Moon & Cho 1978, Kim et al 1984, Ann & Lee 1996), 재료의 변형으로 식혜 제조에 사용되는 백미를 찹쌀이나 유색미로 대치하는 연구(Kim et al 2002, Lee et al 1997, Lee & Kim 1998, Kim et al 1999) 및 최근에는 전통 식혜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이나 녹차가루, 인삼(Kim et al 2007, Park SI 2006, Hur SS 2007) 등을 첨가하여 품질 특성을 실험한 연구들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맛을 내는 황기를 첨가하여 식혜 제조시 설탕의 첨가량을 줄이고 더불어 황기의 기능적 특성을 이용하려는 목적으로 황기 추출물을 첨가한 식혜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 한약재 황기를 식품 소재로 응용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황기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황기 추출액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식혜의 pH는 증가하였다.

가설 설정

  • 1: dislike very much~7: like very muc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 황기를 식품 소재로 응용하여 활용하고자 황기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한약재 황기를 식품 소재로 응용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황기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황기 추출액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식혜의 pH는 증가하였다. 식혜의 명도(L값)는 당화 시간 증가에 따라 황기를 첨가하지 않은 군과 황기를 첨가한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황기 추출액 함량에 따라서는 당화 초기에는 황기 첨가량이 많을수록 약간 증가하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일단 당화가 진행되면 황기 추출물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가 감소하였다. a값과 b값은 당화 시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황기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역시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황기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당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황기 추출액 100% 첨가로 5시간 당화한 경우 무첨가군 초기 당도의 여섯배 이상으로 당도가 증가하였다. 식혜를 저장하면서 미생물을 검사한 결과, 황기 추출물 100%로 제조한 식혜의 경우 12일 저장한 후의 총균수와 황기 추출물 무첨가군의 8일 저장 시료의 총균수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관능 평가 결과, 황기 추출물을 음료에 적용하였을 경우 우려되는 쓴맛이나 향이 나지 않고 전체적인 기호도를 해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황기를 첨가하여 식혜를 제조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당도를 높일 수 있어 설탕의 첨가량을 감소시키고 저장성이 증가된 기능성 식혜 제조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황기는 무엇인가?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와 기타 다른 Astragalus 속 식물의 주피를 벗긴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한방에서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재로 지한, 이뇨, 강장, 혈압 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 실험에서도 이뇨 작용, 강장 작용, 혈압 강하작용, 혈당 강하 작용, 면역 증강 작용, 항종양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대한한의과대학 공동 교재편찬위원회 2005).
황기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와 기타 다른 Astragalus 속 식물의 주피를 벗긴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한방에서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재로 지한, 이뇨, 강장, 혈압 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 실험에서도 이뇨 작용, 강장 작용, 혈압 강하작용, 혈당 강하 작용, 면역 증강 작용, 항종양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대한한의과대학 공동 교재편찬위원회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대한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2005) 본초학. 영림사. 서울. pp 579-581. 

  2. 봉하원 (2000) 한국요리해법. 효일, 서울. pp 434-435. 

  3. 채수규, 강갑석, 류인덕, 마상조, 방광웅, 오문헌, 오성훈 (2005) 식품분석실험. 지구문화사, 서울. pp 403-403. 

  4. 한국식품공업협회 (2008) 식품공전. 서울. pp 694-716. 

  5. 홍진숙, 박란숙, 박혜원, 신미혜, 최은정 (2007) 기초한국음식. 교문사, 경기도. p 204. 

  6.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2000)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경기도. pp 496-497. 

  7. Ann YG (1999) Preparation of traditional malt-sikhye (preparation by malt and amyolytic enzymes). Korean J Food & Nutr 12: 164-170. 

  8. Ann YG, Lee SK (1995) A study of sikhye. Korean J Food & Nutr 8: 165-171. 

  9. Ann YG, Lee SK (1996) A definition and historical study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sikhye. Korean J Food & Nutr 9: 37-44. 

  10. Ann YG, Lee SK (1996) Some problems of sikhye production and an improvement method of sikhye quality. Korean J Food & Nutr 9: 45-51. 

  11. Cho SH (1990) A study on the production on malt and sikhae. Korean J Soc Food Sci 6: 77-83. 

  12. Choi YH, Kim KH, Kang MY (2001) Varietal difference in process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in rice. Korean J Breeding 33: 65-72. 

  13. Hur SS (2007)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ginseng sikhye during the sacchar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Preserv 14: 650-654. 

  14. Jeon ER, Kim KA, Jung LH (1998) Morphological changes of cooked rice kernel during saccharification for sikhye. Korean J Soc Food Sci 14: 91-96. 

  15. Jeon ER, Kim KA, Jung LH (2002) Effect of Sikhe dietary fibers on the rice starch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57-163. 

  16. Kim BS, Lee TS, Lee MW (1984) Changes of component in Sikhei during saccharific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2: 125-129. 

  17. Kim HH, Park GS, Jeon J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e prepared with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m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48-857. 

  18. Kim HK, Noh BS (2002) Optimization of Sikhe processing using the obtained data by biosenso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5-72. 

  19. Kim MS, Han TR, Yoon HH (1999)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made of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72-677. 

  20. Kim SK, Kim JM, Choi YB (2000) Effect of sikhye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rice shape. Korean J Diet Culture 15: 1-8. 

  21. Kim YD, Ha KY, Choi YH, Lee JK, Uhm TY (2002) Varietal difference of glutimous rice in characteristics of sweet rice drink Sikhe. Korean J Breeding 34: 37-40. 

  22. Krittica N, Park MJ, Ryu GH (2008) Antimicrobial activity of white, red, and extruded ginseng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Food Sci Biotechnol 17: 850-856. 

  23. Kyung KH, Woo YH, Kim DS, Park HJ, Kim YS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edible wild plant, apiifolia virgin's bower(Clematis apiifolia DC). Food Sci Biotechnol 16: 1051-1054. 

  24. Lee HJ, Jun HJ (1976) A study of the making sikhe. Korean Home Economic Association 14: 685-693. 

  25. Lee SK, Joo HK, Ahn JK (1997) Effect of rice varieties on saccharification in producing Sikh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70-475. 

  26.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m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27. Moon SJ, Cho HJ (1978) A scientific studies on Sikhe. Korean Home Economic Association 16: 43-49. 

  28. Nam SJ, Kim KO (1989) Characteristics of sikhye made with different amount of cooked rice and malt and with different sweeten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97-202. 

  29. Park SI (2006)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e preparation. Korean J Food & Nutr 19: 227-233. 

  30. Xie L, Hettiarachchy ME, Jane ME, Johnson MG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inkgo biloba leaf extract on Listeria monocytogenes. J of Food Sci 68: 268-270. 

  31. Yook C, Cho SC (1996) Application of heat/moisture-treated rices for Sikhe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19-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