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료기관 가정간호의 현황(2007-2012): 가정간호 급여청구자료 분석
The Current State of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in Korea: Analysis of Data on Insurance Claims for Home Care from 2007 to 2012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2, 2014년, pp.127 - 138  

송종례 (아주대학교병원 가정간호센터) ,  이미경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황문숙 (우석대학교 간호학부) ,  윤영미 (서울보훈병원 가정간호사업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ate of hospital-based home care (HC) services annuall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search and policy regarding home care.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yearly state of HC services from the Health Insurance R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가정간호 실시 현황을 연도별로 분석하여 의료기관 가정간호제도 발전을 위한 연구 및 정책대안 마련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전국 가정간호실시 의료기관의 건강보험(의료급여 포함) 급여청구 및 의료인력 신고 자료를 토대로 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가정간호 급여청구자료와 가정전문간호사 현황자료를 분석한 2차 분석연구이다.
  • 2007년부터 2012년까지의 가정간호급여 청구자료를 토대로 의료기관 가정간호의 현황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이중 가정간호 실시기관의 감소는 가정간호의 이용 국민의 접근성과 가정간호 인식을 낮게 하고, 가정간호 일자리 감소와 이로 인한 가정전문간호사과정 교육생의 감소로 이어져 장기적으로는 가정전문간호사 인력수급의 문제 등 가정간호제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정간호 실시기관의 변화를 중심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 가정간호 제도화 과정은 어떤 과정을 거쳐왔나?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2000년 의료법 개정에 의해 의료비 절감과 의료이용의 편익제고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2인 이상의 가정전문간호사를 배치한 의료기관내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2001년 제도화 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MOHW), 2001). 의료기관 가정간호 제도화 과정은 1990년 의료법 시행규칙에 의한 가정간호사 고시로 시작하여 1990년 가정간호사 직무교육이 실시되어 1991년 가정간호사가 최초로 배출되고 1994년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의 시작 등 많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이후 13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정간호 실시 의료기관은 전국 약 120여 기관에 불과하며 일부 대형병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가정전문 간호사 2~3명의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Home Health Care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14).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였나?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2000년 의료법 개정에 의해 의료비 절감과 의료이용의 편익제고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2인 이상의 가정전문간호사를 배치한 의료기관내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2001년 제도화 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MOHW), 2001). 의료기관 가정간호 제도화 과정은 1990년 의료법 시행규칙에 의한 가정간호사 고시로 시작하여 1990년 가정간호사 직무교육이 실시되어 1991년 가정간호사가 최초로 배출되고 1994년 병원중심 가정간호시범사업의 시작 등 많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병원 평균재원일수가 OECD국가평균보다 2배 높은 한국은 이를 위해 어떤것들이 필요한가? 0일로 감소하였으나 한국은 오히려 증가하여 OECD국가평균의 2배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진료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병원 평균재원일수 감소를 위해서 지불방식의 변화, 집으로 돌아간 후에도 계속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조기퇴원프로그램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OECD Korea Policy Centr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k, H. J., Song, C. R., & Kim, H. Y. (2003). An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Travel Cos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Home Care Nursing, 10(1), 52-57. 

  2. Chin, Y. R. (2009). Hospital-based Home Care reimbursement and service us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645-656. 

  3. Chin, Y. R., & Hong, W. L. (2011). Changed on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After Long-term Care Insurance Launch.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2), 371-380.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Briefing of proposed adjustments to be medical fee associated selection medical fee. Briefings data sets. 

  5. Home Health Care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14). 20-Year History and Perspectives on Home Health Care. Seoul : HN Science. 

  6. Hwang, N. M., Park, S. A., Kim, Y. O., Moon, Y. I., Park, J. S., Ryu, H. S., & Rhee, K. S. (2003). A Study for the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to Community Home Nursing Care Services - The Home Nursing Care Program of Seoul Nurse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Home Care Nursing, 10(1), 5-14. 

  7. Jang, H. S., Kim, E. K., Ryu, S. J., Park, S. H., Kim, H. Y., Jo, H. S, Kim, Y. S., Han, S. S., & Hwang, M. S. (2002). Development of tool and evaluation system for quality improvement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c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 Hanhak munwha. 

  8. Kim, E. K., Hwang, J. H., & Shin, S. Y. (2006). Analysis on Home Care Services and Home Health Care Cost of CVA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2), 225-232. 

  9. Lee, J. S., Hwang, R. I., & Han, E. J. (2012). Trends in Home-visit Nursing Care by Agencies' Characteristics under the National Long-term Insurance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4), 415-426. 

  10. Lee, S. H., Park, S. K., Park, S. B., Yeo, S. H., Han, D. H., Lee, Y. T., Joung, A. R., Myoung, H. B., Joa, H. K., & Lee, J. Y. (2011). Development of beds of resource management plan for the optimiz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se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 Hanhak munwha. 

  11. Lee, S. J. (2003). Cost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with activity-based costing(AB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1). Guide on the medical institute base home health agency management. Seoul : Leemunkyup.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02. Seoul : Kyemunsa.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10. Seoul : Daeseungsa.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2013. Seoul : Kyemunsa.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20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 Sewon printing.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2013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 Jisung printing.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2009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 Sekwang design printing.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September). 2012 Medical Aid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February 9, 2014, from NHIS Web site: http://www.nhis.or.kr /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3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2013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 Sekwang design printing. 

  21. OECD Korea Policy Centre (2010). 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Seoul : Ifreenet. 

  22. OECD Korea Policy Centre (2014).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Seoul : Ifreenet. 

  23. Park, J. H., Yun, S. Y., Kim, M. J., Han, K. J., Hong, K. J., Park, S. A., Whang, N. M., & Heo, J. S. (2002). Discussion on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Hom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32(6), 855-866. 

  24. Rice, R. (2006). Home care nursing practice: concepts and application. St. Louis : Mosby 

  25. Ryu, H. S. (2006). Current Status of Costs and Utilizations of Hospital Based Home Health Nursing Ca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36(7), 1193-1203. 

  26. Ryu, H. S., Jung, K. S., & Lim, J. Y. (2006). Test on the Cost and Development on the Payment System of Home Health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36(3), 503-513. 

  27. Song, C. R., Kang, I. O., Kim, Y. O., Jo, H. S., & Hwang, M. S. (2008). An analysis of the Elderly Care and management in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4), 660-672. 

  28. Song, C. R. (2009). Home care services: crisis and prospec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6(1), 55-65. 

  29. Statistics Korea (2011).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 2010-2060(Based on the 2010 Censu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