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Nursing Student Adjustment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2, 2014년, pp.300 - 311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김철규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차선경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nursing student adjustment. Method: One hundred and sixty nine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3. Data anal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돕기 위한 정서에 초점을 둔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의 정서변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서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표현에 대한 양면성, 적성에 의한 간호학과 지원, 정서명명, 회피분산적 조절양식, 가족관계(부모 생존)이었고 이들 요인은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3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정서관련 변수들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제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 변수 등의 정서 변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조절이란? 정서조절(Emotional regulation)은 정서적으로 자극되는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반응하여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줄 아는 것으로 타인이나 환경과의 관계형성 및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Kim, 20006), 개인의 안녕감과 적응 및 정신 병리와도 중요한 연관이 있다(Lee, 2009). 국외에서는 정서통제 (Emotional control)와 정서관리(Emotion management) 등의 개념으로도 연구되어 왔으며(Cole, Martin, & Dennis, 2004), 국내에서는 Yoon (1999)이 정서조절 양식 척도를 개발한 이후 연구가 시작되었고, 능동적 조절양식(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해결을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하고, 자신의 느낌이나 상황을 이해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포함하며, 회피분산적 조절양식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은 자신을 불쾌하게 만드는 사람이나 상황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거나 관계 없는 다른 일을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고, 지지추구적 조절양식(Support-seeking emotional regulation style)은 가족이나 친구를 만나고 그들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간호의 특징은? 간호는 전문직 서비스 직종으로 환자와의 접촉이 가장 빈번하고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과정은 정서적인 소모가 크다(Park, 2009). 간호사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세부적인 상황에 맞추어 표현되는 정서를 변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정서적 불일치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고 간호대학생의 경우도 자신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환자와 간호사의 치료적 관계에서 자신의 기분과 감정 등의 표현을 조절하고 자제해야 하는 것으로 여기며 상황적 요구에 맞는 정서표현을 하도록 요구받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정서와 관련된 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Kwon, 2001).
최근 간호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이 겪고있는 어려움은? 대개의 간호대학생들은 대학생활의 시작 단계에서부터 학업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 국가고시와 취업 준비 등 기대되는 역할에 대한 부담 등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Kim & Jang, 2012; Yang, Lee, & Park, 2012). 더욱이 최근에는 자신의 적성보다는 취업을 목적으로 학과를 선택하고, 전공과정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입학한 학생들이 증가하여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 불만족과 부적응의 가능성 또한 높아졌다(Choi, 2013; Kim & Jang, 2012).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향후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ty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1, 179-189. 

  2. Carlson, J. G., & Hatfield, E. (1992). The psychology of emotion. Holt, Rinehart & Winston, Inc. 

  3. Cha, S. K. (2013).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in Cheongju University, 1(1), 60-68. 

  4. Cheon, B. G., & Yang, N. M. (2013). Interpersonal a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 Comparison of cluster by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and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ty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2(3), 719-733 

  5. Cho, H. J. (2004). A study of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on college student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hoi, Y. S. (2013).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3), 423-432. 

  7. Choi, Y. W., & Lee, S. J. (2004).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4), 887-901. 

  8. Cole, P. M., Martin, S. E., & Dennis, T. A. (2004). Emotion regulation as a scientific construct: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research. Child Development, 75, 317-333. 

  9. Emmons, R. A., & Colby, P. M.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947-959. 

  10. Ha, J. (1997).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on depression-Integrative study on human's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Jung, H. J., & Chung, H. I. (2012). Effect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1(3). 188-196. 

  12. Kim, E. A., & Jang, K. S.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13. Kim, H. S. (2006).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in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0, 176-201. 

  14. Kim, K. M., & Cha, S. K. (2013).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sis Journal, 13(1), 322-332. 

  15.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16. Kwon, J. H.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f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Journal of Evaluation on Counseling, 4(1), 37-49. 

  17. Kwon, Y. M.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expression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2), 183-195. 

  18. Lee, S. E. (2009).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4), 897-914. 

  19. Lee, S. J., & Lee, H. K. (1997).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11(1), 95-116. 

  20. Lim, J. O. (2003).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emotional clarity,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1. Lynne, C. M. Phillp, K. W., Holly, K. O., & Austin, A. (2003). Personlity and the predisposition to engage in risky or problem behavior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90-410. 

  22. Min, S. Y. (2006). Adjustment experiences of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4), 409-419. 

  23. Park, H. J. (2009). Emotional labour, emotional expression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2), 225-232. 

  24. Park, H. S., & Jeong, K. S. (2013).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49-557. 

  25. Park, J. A., & Lee, E. K. (2011).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3), 267-276. 

  26. Shin, J. Y., Lee, Y. A., & Lee, K. H. (2005). The effects of life mea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1035-1057. 

  27.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28. Westen, D. (1994).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affect regulation: Applications to social-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62, 641-647. 

  29. Yang, K. H., Lee, J. R., & Park, B. N. (2012).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freshmen enrolled in nursing at a junior colleg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5-13. 

  30. Yoon, S. B. (1999).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types and antecedents of experienced emotions on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