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Regarding Creative Competen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13 - 23  

김수임 (대구공업대학교 유아교육과) ,  정나영 (대구공업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 및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 경북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44명이며,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영역별 하위내용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는 다양성, 자율성, 리더십 영역의 모든 하위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는 유아교사의 직급별 자율성 영역의 하위내용, 학력별 리더십 영역의 하위내용, 경력별 다양성 영역의 하위내용, 그리고 연령에 따른 다양성 영역과 리더십 영역의 하위내용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tudi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regarding the creative competen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ifferences stemming from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ors. Subjects were 114 early child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나영(2013)이 개발한 유아교육 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 도구에 의해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육 기관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행 정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의 창의적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 제시와 실천을 위한 추후 연구들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나영(2013)이 개발한 유아교육 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 도구에 의해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육 기관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기관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행 정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증진되어야 하는 이유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증진되어야 하는 이유는 유아교육기관의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구성원 개인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창의적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창의적 행동과 성과의 결과는 역으로 피드백을 통해 구성원과 기관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란? 그는 집단 및 조직 창의성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집단 및 조직 창의성의 구성요인으로 다양성, 자율성, 리더십을 추출하고[2][12][23][28][29][33], 우리나라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 영역인 교육과정, 교육환경, 운영관리에서의 다양성, 자율성, 리더십을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구성요인으로 밝혔다[26].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란 ‘유아교육기관의 제반 환경 속에 용해되어 있는 창의성, 즉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교육환경, 운영관리 측면에서의 창의적인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관의 인적, 물적, 환경적 제반 요인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통합되어 유아교육기관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수행을 돕고, 기관 전체의 창의적 성과를 생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의 잠재적이고 역동적인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26].
현대에 창의성이 과거와 다른점은? 현대에 창의성은 조직의 핵심적인 역량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대다수의 조직들은 창의성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30]. 이처럼 과거에 비해 창의성을 보는 관점이 개인 창의성에서 집단이나 조직의 창의적 역량을 중시하는 지식경영, 혁신 등으로 그 연구영역이 확대, 발전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31]. 집단 및 조직 창의성은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구성원들이 단순히 모이는 것을 넘어서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시너지의 창출을 강조한다[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미라, 개인 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 권상순, "개인, 집단, 조직창의성 발현 및 제고를 위한 창의적 경영시스템," 사회과학논집, 제3권, pp.29-57, 2000. 

  3. 권정언, 권상집, "창의적 역량 개발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체계의 실제와 대안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제2014권, 제6호, pp.103-118, 2014. 

  4. 김경진, 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 김광현, "조직창의성에 있어 HR의 역할," 월간경영계, 제408권, pp.50-51, 2013. 

  6. 김선화, 반응 중심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7. 김소영, 학교장의 슈퍼리더십이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수업장학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김수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김정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 문화가 학교조직 역량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0. 김정희, 김동춘,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5호, pp.77-96, 2012. 

  11. 김호, 노영희,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된 교사와 유아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pp.255-278, 2007. 

  12. 노풍두, 조용곤, 조근태,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 모델 개발,"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09-138, 2011. 

  13. 박수미, 유치원교사의 생애에 관한 연구: 한 교사의 생애를 통해 본 유치원교사의 발달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4. 박은혜,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005. 

  15. 박재춘, 정지연, 정재연, "ICT기업에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내재적 동기부여, TMX, 창의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607-919, 2015. 

  16. 변윤희 현은자,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5호, pp.311-336, 2004. 

  17. 심윤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 헌신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8. 윤진주, 안진경, 김지영,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평가와 유아평가에 대한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제17권, 제3호, pp.413-423, 2008. 

  19. 이명순, 유치원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0. 이병민, "대학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문화콘텐츠 교육 개선방안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481-496, 2013. 

  21. 이순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2. 이현경, "유아 교사의 자율성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5호, pp.179-204, 2008. 

  23. 이화자, "창의성 연구현황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제9권, pp.81-104, 2002. 

  24. 임원신, 이진화, "어린이집 교사의 셀프리더십, 조직 시민 행동과 조직역량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제8권, 제1호, pp.285-304, 2013. 

  25. 전인오, "창업보육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따른 기술역량이 지원과 경영성과 단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25-339, 2012. 

  26. 정나영,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도구개발 및 타당화,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7. 조미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활동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8. 최종인, 집단창의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29. T. M.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B. M. Staw & L. L. Cummings(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0, pp.123-167, Greenwich, CT: JAI Press. 1988. 

  30. T. M. Amabile,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Press, 1996. 

  31. I. Nonaka and H. Takeuchi, The Knowledge Creating Company,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2. L. M. Spencer and S. M. Spencer,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Y: John Wiley & Sons, 1993. 

  33. R. W. Woodman, J. E. Sawyer, and R. W. Griffin,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2, pp.293-321,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