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만에서 최적 생산성 및 서비스 수준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Software Development for Optimal Productivity and Service Level Management in Ports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41 no.3, 2017년, pp.137 - 148  

박상국 (물류시스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만의 서비스 수준은 항만의 운영 및 관리 주체인 터미널운영사(TOC), 항만공사 및 정부의 입장에서 항만간 경쟁력의 기준이 되며, 항만의 이용 주체인 선사 및 화주의 입장에서는 어느 항만을 선택할 지를 결정하는 중요 지표로도 활용된다. 이러한 지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컨테이너 부두 및 벌크부두를 대상으로 중요 서비스 지표인 선석 점유율,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과 같은 6개 지표를 객관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컨테이너 부두는 1개 선석부터 6개 선석까지와 벌크 부두는 1개 선석부터 4개 선석까지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6개의 서비스 지표를 산정하여 예측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선석점유율 대비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추가하여 선박의 도착 패턴에 따라 선박 대기율과 항만의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도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TOC 입장에서는 서비스 지표인 선박 대기율과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의 관계에서 최적의 운영 수준을 전략적으로 선택(Trade-off)할 수 있으므로 경쟁 항만에 대비하여 더 많은 선사 및 화주를 유치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 수입도 극대화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rt service level is a metric of competitiveness among ports for the operating/managing bodies such as the terminal operation company (TOC), Port Authority, or the government, and is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shipping companies and freight haulers when selecting a port. Considering the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항만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우선 손쉽고 시급하게 추진되어야 하는 것은 국내 항만의 주요 서비스 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객관적이고 비교·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 점유율에 따라 항만에서 최적의 생산성 지표와 고객 서비스 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TOC와 이용자간의 상호 절충점(trade-off)을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서 항만에서의 추가적인 시설이나 인력 등의 투자 없이도 단기간에 효과적인 항만관리를 수행하면서 고객의 서비스 수준도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 점유율에 따라 항만에서 최적의 생산성 지표와 고객 서비스 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TOC와 이용자간의 상호 절충점(trade-off)을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서 항만에서의 추가적인 시설이나 인력 등의 투자 없이도 단기간에 효과적인 항만관리를 수행하면서 고객의 서비스 수준도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벌크 부두 또는 컨테이너 부두의 운영 선석수 기준으로 항만에서 선박 대기율 또는 선박 도착 패턴에 따라 항만의 서비스 수준은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선박이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입항한다는 가정 하에 선박 도착 간격의 표준 편차에 따라 항만 서비스 지표인 선박 대기율과 항만의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과의 관계를 관리할 수 있도록 Fig. 11과 같이 예측 가능한 화면을 설계하여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만의 운영 및 관리 주체는 누구인가? 항만의 서비스 수준은 항만의 운영 및 관리 주체인 터미널운영사(TOC), 항만공사 및 정부의 입장에서 항만간 경쟁력의 기준이 되며, 항만의 이용 주체인 선사 및 화주의 입장에서는 어느 항만을 선택할 지를 결정하는 중요 지표로도 활용된다. 이러한 지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컨테이너 부두 및 벌크부두를 대상으로 중요 서비스 지표인 선석 점유율,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과 같은 6개 지표를 객관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컨테이너 부두 및 벌크부두 대상 서비스 지표에는 무엇이 있는가? 항만의 서비스 수준은 항만의 운영 및 관리 주체인 터미널운영사(TOC), 항만공사 및 정부의 입장에서 항만간 경쟁력의 기준이 되며, 항만의 이용 주체인 선사 및 화주의 입장에서는 어느 항만을 선택할 지를 결정하는 중요 지표로도 활용된다. 이러한 지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컨테이너 부두 및 벌크부두를 대상으로 중요 서비스 지표인 선석 점유율,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과 같은 6개 지표를 객관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컨테이너 부두는 1개 선석부터 6개 선석까지와 벌크 부두는 1개 선석부터 4개 선석까지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6개의 서비스 지표를 산정하여 예측이 가능토록 하였다.
6개 지표를 객관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컨테이너 부두는 1개 선석부터 6개 선석까지와 벌크 부두는 1개 선석부터 4개 선석까지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6개의 서비스 지표를 산정하여 예측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선석점유율 대비 선박 대기율, 선석 처리량, 접안 척수, 평균 대기 척수, 평균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추가하여 선박의 도착 패턴에 따라 선박 대기율과 항만의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도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TOC 입장에서는 서비스 지표인 선박 대기율과 생산성 지표인 연간 처리량의 관계에서 최적의 운영 수준을 전략적으로 선택(Trade-off)할 수 있으므로 경쟁 항만에 대비하여 더 많은 선사 및 화주를 유치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 수입도 극대화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a, T., Y., Shin, J., Y.(2007),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Next Gernation Stevedoring System at Container Terminal,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Vol. 31, No. 3, pp. 253-261. 

  2. Kim, E. S., Kim, G. S.(2016), An analysis of ship's waiting ratio in the Korean seaport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Vol. 40, No. 1, pp. 35-41. 

  3. KMI(1998), Report on the Cargo Handling Capacity of Port and Private Financing Feasibility Research Servic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 

  4. MARAD(2010), Improving Marine Container Terminal Productivity, The Tioga Group. 

  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2013),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Proper Cargo Handling Capacity by Port Cargo Exclusive Pier. 

  6.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2014),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Proper Cargo Handling Capacity by Container Terminals. 

  7. Ministry of Sciece, ICT and Future Planning(MSIP) (2013), Detailed Standards and Procedures on the Software Quality Assurance, MSIP Notice No. 2013-42(2013.9.6). 

  8.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NABO)(2015), Problem and Improvement Projects of Proper handling capacity of the port (Focusing on the container terminal), Business Valuation Issues Analysis Report Vol. 57. 

  9. Park, S. K. & Park, N. K.(2014), A Simulation Model for Appropriate Cargo Handling Capacity of the Port, Proceedings of the 2014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time Economists (IAME) Conference, Paper ID 7. 

  10. Park, S. K.(2014), A Study on the Optimal Service Level of Exclusive Bulk Terminals, Doctoral Thesis of Soongsil University. 

  11. Park, S. K.(2016), A Study on the Optimal Service Level of Exclusive Container Terminal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32, No. 2, pp. 137-156. 

  12. Soner Esmer(2008), Performance Measurements of Container Terminal Operations, Dokuz Eylul University, Sosyal Bilimler Enstitusu Dergisi, Cilt 10, Sayi 1, pp. 238-254. 

  13. Theo Notteboom & Pierre Cariou(2009), Fuel surcharge practices of container shipping lines: Is it about cost recovery or revenue-making?" , Proceedings of the 2009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time Economists (IAME) Conference. pp. 24-26. 

  14. UNCTAD(1976), Port Performance Indicators, p. 9. 

  15. World Bank(1993), Port Performance Indicator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