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Completion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 Directives in old adul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2, 2018년, pp.240 - 247  

김명숙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연옥 (대전 서구 노인복지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 작성의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D 광역시에 거주하며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196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2월 8일에서 12월 19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chi}^2-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 중 AD 작성 의도를 가진 경우는 58.2%였다. AD 작성의도에 따라 연령(${\chi}^2=4.92$, p=.020), 독거상태 (${\chi}^2=4.72$, p=.030 ), 주관적 건강상태(${\chi}^2=3.97$, p=.046), AD에 대한 인식 (t=-4.81, p<.001) 및 죽음에 대한 부정적 태도(t=2.01, p=.04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AD 작성의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AD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OR=11.87, p<.001, 95% CI=3.52~39.94). 따라서 노인의 AD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AD 작성 의도의 주요 예측변수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letion and related factors on Advance Directives (AD) in olde adul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96 old adults, 65 and over aged in D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상생활이 가능한 비교적 건강한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AD 작성 의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AD 작성의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AD작성 의도 정도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선행연구결과[10-14]에서 AD 작성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던 일반적 특성과 AD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죽음에 대한 태도를 포함하여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이 가능한 비교적 건강한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AD 작성 의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죽음에 대한 태도는 AD 작성 의도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AD 작성의 유의한 관련요인임을 제시한 선행연구의 결과[13]와는 다른 결과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연명중단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노인의 경우 연명치료로 인한 고통스러운 삶의 연장 대신에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하지만 연명중단에 대한 의사결정을 노인 본인 보다는 주로 의료인과 가족 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7]. 인생에 대한 긍정적 통합을 이루는 시기의 노인에게 있어서 존엄한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주요 발달과제라고 할 수 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목적은 무엇인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AD)’란 19세 이상의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의사를 평소 건강할 때에 직접 문서로 작성한 것을 말한다[1]. 이는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죽음이 임박한 상황이나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수행되는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2][3].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 등 몇몇 나라에서 이미 제도화하여 실행하고 있다[3].
사전연명의료의향서란 무엇인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s, AD)’란 19세 이상의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의사를 평소 건강할 때에 직접 문서로 작성한 것을 말한다[1]. 이는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죽음이 임박한 상황이나 의사결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수행되는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823&efYd20170804#0000 

  2. S. Y. Yun, The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and Cognition towards Advance Directive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Dong-A University, Korea, 2011. 

  3. E. S. Yun, Knowledge, Experience, Attitudes and Preference toward Advance Directives among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Who are Visiting the Genera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Korea, 2009. 

  4. D. S. Heo, "Patient Autonomy and Advance Directives in Korea," Journal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2, No.9, pp.865-870, 2009. 

  5. K. S. Kim, Application of Advance Directives at a Genera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Korea, 2009. 

  6. R. Schiff, C. Rajkumar, and C. Bulpitt, "Views of Elderly People on Living Wills: Interview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Vol.3, No.20, pp.1640-1641, 2000. 

  7. H. S. Kim, "Influence of Afterlife View Death Preparation Spiritual Well-being on Attitude of Death of the Old Ages," Journal of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Vol.3, No.1, pp.81-108, 2015. 

  8. J. W. Park and J. A. Song, "Knowledge Experience and Preference on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 and Facil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3, No.3, pp.581-600, 2013. 

  9. J. S. Kim, "The Value in Quality of Life and Recognition and Preferences for Advance Directives by the Elderly's Ag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2, No.1, pp.1-23, 2012. 

  10. H. J. Pyun, Health Status, Advanced Directive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12. 

  11. D. S. Sun, The Recognition towards Advance Directives in Hospice Cancer Patients and Medical Doctor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8. 

  12. G. J. Alano, R. Pekmezaris, J. Y. Tai, M. J. Hussain, J. Jeune, B. Louis, G. El-Kass, M. S. Ashraf, R. Reddy, M. Lesser, and G. P. Wolf-Klein, "Factors influencing older adults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Palliative Support Care, Vol.8, pp.267-275, 2010, 

  13. T. Lynn, A. Curtis, and M. D. Lagerwey, "Associ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Death and Completion of Advance Directives," Omega (United States), Vol.74, No.2, pp.193-211, 2016. DOI: 10.1177/0030222815598418 

  14. J. Park and J. A. Song, "Predictors of agreement with writing advance directives among older Korean adul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27, No.6, pp.574-582, 2016. 

  15. T. H. Kim and Y. S. Son, "A Study on Attitude of the Aged toward Death Centering on Family Environment,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rianc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4 No.1, pp.3-19, 1984. 

  16. S. W. Hong and S. M. Kim,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3, pp.330-340, 2013. 

  17. S. H. Lee and K. E. Lee,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Hospital Outpatients and Caregiver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0, No.3, pp.117-128, 2015. 

  18. J. K. Choi, Effects of Patient's Understanding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Will to Complete Advanced Directives, Kyungpook University, Dsegu, Korean, 2013. 

  19. D. M. Park, The Effect of Older Adults' Social Engagement on Attitude toward Death, Dong Eui University, 2009. 

  20. Y. R. Seo,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 ward Advance Directives of Elderl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eoul, 2017. 

  21. S. Omondi, J. Weru, A. J. Shaikh, and G. Yonga, "Factors that influence advance directives completion amongst terminally ill patients at a tertiary hospital in Kenya," BMC Palliat Care, Vol.16, No.9, 2017. doi:10.1186/s12904-017-0186-z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