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공데이터 관련 뉴스 의미망 분석을 통한 공공정책 연구
A Study on Public Policy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Public Data related News in Korea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23 no.4, 2018년, pp.536 - 548  

문혜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아이엘피) ,  이경서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데이터정부 3.0을 기점으로 공급자 위주의 정보 개방에서 국민 개개인 중심의 맞춤형 정보 공유의 형태로 변모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공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재사용을 높이고자 관련 정책 및 사업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는 뉴스에 드러난 공공데이터 관련 이슈를 분석하여 이슈별 정부 기관 및 정부 사업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공공데이터를 포함하는 국내 온라인 뉴스와 공공기관 입찰정보를 대상으로 의미망 분석을 실시했으며 도출된 주요 주제어를 공공데이터에 내재된 사회적, 경제적 가치와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공공데이터 관련 주요 이슈는 공공데이터 접근성 확대, 신기술의 성장, 이해관계자들 간 협력과 갈등, 민간부문의 활용으로 나뉘었으며 이는 각각 투명성, 효율성, 참여성, 혁신 메커니즘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슈별 주요 기관으로는 투명성이 기획재정부와 서울특별시, 효율성이 문화체육관광부와 경기도, 참여성이 산업통상자원부와 인천광역시, 혁신이 국토교통부와 경상북도가 해당되었으며 대부분의 이슈들이 정부주도로 형성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data has been transformed from provider-oriented information disclosure to a form of personalized information sharing centered on individual citizens since government 3.0. As a result,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policies and projects to maximize the value of public data and increase re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되어 있는 데이터가 정부의 개방정책을 대변한다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 입찰공고 분석을 통해 공공데이터 관련 정부의 사업 방향을 파악하여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과 비교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언론에 드러난 국내 공공데이터 관련 주요 이슈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뉴스라는 대중매체를 통해 시기별 정책 및 정부 사업을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했다[3]. 또한 정부 기관별 입찰 공고를 통해 실질적인 정부 사업의 방향을 파악하고 국내 공공데이터 사업의 특징과 추후 주목해야할 공공데이터 관련 이슈까지도 예측해 보았다.
  • 본 논문은 뉴스 분석을 통해 공공데이터 가치를 연구한 논문을 발전시킨 것이다[10]. 해당 논문은 뉴스 의미망 분석을 통해 공공데이터 관련 주요 가치를 도출하고 이를 시계열 분석하여 미래 주요 가치에 적합한 공공데이터 포털 개 방 정책에 대해 제언하였다.
  • 국가는 계속해서 축적되는 데이터를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 정부 안팎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지속해 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론에 드러난 국내 공공데이터 관련 주요 이슈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뉴스라는 대중매체를 통해 시기별 정책 및 정부 사업을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했다[3]. 또한 정부 기관별 입찰 공고를 통해 실질적인 정부 사업의 방향을 파악하고 국내 공공데이터 사업의 특징과 추후 주목해야할 공공데이터 관련 이슈까지도 예측해 보았다.
  • 연구 목적은 공공데이터로 인해 창출되는 이슈를 새롭게 분류하고 각 이슈에 해당하는 정부 사업을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국내 공공데이터 이슈를 정의하기 위해 온라인 뉴스 의미망 분석을 실시하여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단어 들을 구분하고 새로운 주제어를 선정하였다.
  • 또한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을 통해 특정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데이터를 연구한 사례가 있다[9]. 해당 논문은 공공데이터 포털을 분석하여 충북 지역의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공공데이터 포털의 데이터파일 중 충청북도와 관련된 데이터의 제목을 추출하고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충북지역에 대한 공공데이터 주요 내용을 파악하였다.
  • 수요자 중심의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을 조사한 연구로 수요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연구가 있다[8]. 해당 연구는 공급자가 아닌 수요자 측면에서 공공데이터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실제 이해관계자들인 민간부문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공공데이터에 대한 기본 인식, 상업적 수요, 활용 장애 요인 및 활성화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지만 조사 대상이 IT기업에 종사 중인 62명의 실무자로 한정되어 공공데이터의 다양한 가치 중 기업의 상업적 가치에 그쳤다는 점은 한계로 남는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정부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공공데이터 재사용을 도모하기 위해 진입장벽이 높은 활용 측면보다 데이터 수요 조사 및 오픈API 데이터 비율 확대 등의 개방측면을 강화시킴으로써 공공데이터의 실용성을 높이는 데에 우선적으로 집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참여성과 혁신이 중심이 되는 이슈가 계속해서 더욱 주목받을 것이다. 언론에 드러난 비율이 높은 이슈는 투명성과 관련된 주제들이었지만 정부 기관들과 함께 언급된 비중이 높은 이슈는 참여성과 혁신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 3.0의 도래로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해왔는가? 정부 3.0의 도래로 정부는 공공정보를 적극 개방하고 일방적인 정보 공개에서 국민 개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1)2)3)4). 특히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개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공공데이터법)』의 시행은 공공데이터의 활용을 대폭 증가시켰다.
뉴스 의미망 분석을 통해 어떤 것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가? 의미망 분석은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에서 중요 단어를 추출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의미를 도출해내는 연구방법을 말한다[14]. 이러한 의미연결망 분석은 개별 노드(node) 가 어떠한 연결 관계를 갖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특정 이슈에 대해 어떤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의미망 내에서 노드는 텍스트에 내포되어 있는 단어를 말하며, 이러한 단어를 연결시켜주는 관계를 엣지 (edge)라고 한다[15].
공공데이터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는 무엇을 말하는가? 국내 공공데이터 개념은 공공기관에 의해 생성되는 공공 정보를 의미하는 공공부문 데이터(public data), 자유로운 사용과 수정이 가능한 자료를 의미하는 오픈 데이터(open data), 공개된 정부 자료를 말하는 오픈 정부 데이터(open government data),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는 시티즌 데이터(citizen data) 등 다양한 의미가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다[4]. 공공데이터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공공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공개되는 공공 자료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Get the Data from the Public Data Portal, 2014. 

  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Government Innovation Comprehensive Plan, 2018. 

  3. Man-Ki Moon, and Tae-Yong Kim, "Development of Digital Game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 and its Design Components - With History Based Games of 5 Countries",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12, No.5, pp.460-479, 2007, http://dx.doi.org/10.5909/JBE.2007.12.5.460. 

  4. Gu Kim, "An Evaluation of Public Data Open Policy: Focused on Public Data Portal", Chung-a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31, No.2, pp.57-82, 2017, 06. 

  5. Open Data Portal, http://data.go.kr. 

  6. Hyungjun Seo, and Seunghwan Myeong, "Policy Alternatives for Public Data Disclosure by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Operation of Public Data Portal Sit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18, No.4 pp.1-27, 2015. 

  7. Junwon Lim, and Gyunghyun Choi, "The Influence of Open Data Policies on Public Innov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43, No.1, pp.19-29, 2017, http://dx.doi.org/10.7232/JKIIE.2017.43.1.019. 

  8. Hyungjun Seo, and Seunghwan Myeong, "Policy Alternatives for User-oriented Public Data Utilization: Focusing on ICT Managers' Perception in Private Sector",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17, No.3, pp.61-86, 2014. 

  9. Sang Yong Lee, "Promotion of Public Data Opening in Chungbuk through Analysis of Public Data Portal", Chungbuk Focus, No.103, pp.1-19, 2015, 02. 

  10. Kyungseo Lee, and HyeJung Moon, "A Study on the Change of Value of Public Data through News Semantic Network Analysis", Winter Congress of the Lottery Society, Seoul, Korea, pp.101-119, 2018, 02. 

  11. Thorihildur Jetzet, Michel Avital, and Niels Bjorn-Andersen, "Data-Driven Innovation through Open Government Data",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9, No.2, pp.15-16, 2014, http://dx.doi.org/10.4067/S0718-18762014000200008. 

  12. Wouter van Atteveldt, Semantic network analysis: Techniques for Extracting, Representing, and Querying Media Content, BookSurge Publishers, Charleston SC, pp: 18-23, 2008. 

  13. HyeJung Moon, and SungKyung Kim, "Study on Perceptions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Gambling related News in Korea",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22, No.4, pp.438-447, 2017, http://dx.doi.org/10.5909/JBE.2017.22.4.438. 

  14. Yoo-Soo Jung, "The Study of Composition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e-Business Studies, Vol.18, No.4, pp.197-214, 2017, http://dx.doi.org/10.20462/TeBS.2017.08.18.4.197. 

  15. Doerfel M. L., "What Constitutes Semantic Network Analysis? A Comparison of Research and Methodologies", Connections, Vol.21, No.2, pp.16-26, 1998. 

  16. Chunsub Kwak, Ilsoo Kyung, and Hyunji Lee,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Accepter about Civil Defence Alert Broadcasting",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20, No.6, pp.827-836, 2015, http://dx.doi.org/10.5909/JBE.2015.20.6.827. 

  17. Eung Sook Kim, "Global Media Environments and Glocalism Contents as Alternatives for Cultural Diversity",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12, No.5, pp. 480-490, 2007, http://dx.doi.org/10.5909/JBE.2007.12.5.480. 

  18. BigKinds, http://www.kinds.or.kr. 

  19.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http://g2b.go.kr. 

  20. Clauset, A., M. E. J. Newman, and C. Moore, "Finding Community Structure in Very Large Networks", Physical Review E, Vol.70, No.6, 2004, https://doi.org/10.1103/PhysRevE.70.066111. 

  21. Koichi Higuchi, KH Coder 3 Reference Manual, pp.43-44, Aug. 3, 2017. 

  22. Thorihildur Jetzet, Michel Avital, and Niels Bjorn-Andersen, "Generating Value from Open Government Data", Thirty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Milan, Italy, 2013. 

  23. Scott, M., "Comparing Corpora and Identifying Key Words, Collocations, and Frequency Distributions through the WordSmith Tools Suite of Computer Programs", Small Corpus Studies and ELT: Theory and Practice, pp.47-67. 

  24. Christopher Hood, The Tools of Government, London, Mac millan, pp.4-18, 1983. 

  25. Christopher Hood, and Helen Z. Margetts, The Tools of Government in the Digital Age, Palgrave Macmillan, 2007. 

  26. SangRak Kim, and ManMo Kang, "Today and Tomorrow of the Technology in Big data Analysi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32, No. 1, pp. 8-1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