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의 체중 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체중, 비만 환자에서의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체중 감량 예측 연구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Predict Weight Los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on Korean Medicine Weight Management Progra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41 no.2, 2020년, pp.58 - 79  

김은주 (누베베 미병연구소) ,  박영배 (누베베 미병연구소) ,  최가혜 (누베베 미병연구소) ,  임영우 (누베베 미병연구소) ,  옥지명 (누베베 미병연구소) ,  노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경락의학과) ,  송태민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강지훈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경영학부) ,  이향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서영 (누베베 미병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weight los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using real-world clinical data from overweight and obese adults on weight loss program in 4 Korean Medicine obesity clinics. Methods: From January, 2017 to May, 2019, we collected data from overweight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방비만프로그램을 시행한 과체중, 비만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체중 감량 예측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체중 감량 예측 모델에 필요한 중요 변수 탐색 및 체중 감량 예측 모델의 비교 분석으로 이를 위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방비만프로그램을 시행한 과체중, 비만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체중 감량 예측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체중 감량 예측 모델에 필요한 중요 변수 탐색 및 체중 감량 예측 모델의 비교 분석으로 이를 위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추출 가능한 모든 변수를 사용하여 변수 선택 없이 체중 감량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중요변수를 선택하여 이를 바탕으로 체중 감량 예측 모델을 재검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분류의 기준점을 중위 50%로 하여 추가 분석 시행 후 예측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5-fold cross validation을 통해 얻어진 정확도 (accuracy) 이외에,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커브를 통해 area under the curve (AUC)의 값을 확인하여 추가적으로 모델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하였으며, AUC의 값은 1에 가까울수록 더 좋은 성능을 의미한다. 체중 감량 4분위를 분류 기준점으로 했을 때 보다 AUC를 통해 추가적인 예측력 평가를 진행한 이유는 4분위중에서 중위 50%가 가장 설명력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본 연구의 최종 분류 기준점으로 삼았기 때문이며, 더불어 ROC 커브의 시각화를 통해 모델 성능의 변화를 한 눈에 살펴보기 위한 목적이었다.
  •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머신러닝은 명시적인 지시를 위해 사람이 모든 상황을 세밀하게 코딩하지 않아도 컴퓨터 시스템이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관계,규칙, 패턴들을 탐색하여 스스로 배우고 개선해 나가는 알고리즘 및 통계 모델로 특히 대용량의 자료를 다루는데 유용하다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방 비만 임상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DT, LR, RF, ANN 등의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체중 감량 예측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병의 원인이 되는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보다 많아서 오는 에너지 불균형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으로1) 전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2). 비만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골관절염 등의 발병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일부 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3,4), 비만인의 체중 감량은 건강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져 왔다.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보다 많아서 오는 에너지 불균형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으로1) 전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2). 비만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골관절염 등의 발병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일부 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3,4), 비만인의 체중 감량은 건강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져 왔다.
머신러닝의 장점은 무엇인가?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은 ‘데이터를 수집, 정제, 처리, 분석하고 그로부터 유용한 통찰력을 얻어내는 연구’ 혹은 ‘설명력 있고, 예측 가능한 모델링을 할 뿐만 아니라 통찰력 있고, 흥미롭고, 참신한 패턴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머신러닝이 기존 전통적인 접근법과 가장 다른 점은 규칙을 프로그래밍 해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예시들로 학습을 한다는 점에 있다. 기존 데이터를 통해 높은 적합도로 학습, 훈련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이를 바탕으로 예측이 가능하게 되고, 입력된 새 데이터로 재학습을 하여 모델의 정확도를 더욱 성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ill JO, Wyatt HR, Peters JC. Energy balance and obesity. Circulation. 2012;126(1):126-32. 

  2. Haidar YM, Cosman BC. Obesity epidemiology. Clin Colon Rectal Surg. 2011;24(4):205-10. 

  3. Wall KC, Politzer CS, Chahla J, Garrigues GE. Obes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glenohumeral osteoarthritis and arthroplasty: A cohort study. Orthop Clin N Am. 2020;51(2):259-264. 

  4. Kolb R, Sutterwala FS, Zhang W. Obesity and cancer: inflammation bridges the two. Curr Opin Pharmacol. 2016;29:77-89. 

  5. Handjieva-Darlenska T, Handjiev S, Larsen TM, Baak MA, Jebb S, Papadaki A, et al. Initial weight loss on an 800-kcal diet as a predictor of weight loss success after 8 weeks: the Diogenes study. Eur J Clin Nutr. 2010;64(9):994-9. 

  6. Hollis JF, Gullion CM, Stevens VJ, Brantley PJ, Appel LJ, Ard JD, et al. Weight loss during the intensive intervention phase of the weight-loss maintenance trial. Am J Prev Med. 2008;35(2):118-26. 

  7. Reed JR, Yates BC, Houfek J, Briner W, Schmid KK, Pullen CH. Motivational Factors Predict Weight Loss in Rural Adults. Public Health Nurs. 2016;33(3):232-241. 

  8. Annesi JJ, Whitaker AC, Psychological factors discriminating between successful and unsuccessful weight loss in a behavioral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treatment. Int J Behav Med. 2010;17(3):168-75. 

  9. Fabricatore AN, Wadden TA, Moore RH, Butryn ML, Heymsfield SB, Nguyen AM. Predictors of attrition and weight loss success: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ehav Res Ther. 2009; 47(8):685-91. 

  10. Hadziabdic MO, Mucalo I, Hrabac P, Matic T, Rahelic D, Bozikov V. Factors predictive of drop-out and weight loss success in weight management of obese patients. J Hum Nutr Diet. 2015;28(2):24-32. 

  11. Batterham M, Tapsell LC, Charlton KE. Predicting dropout in dietary weight loss trials using demographic and early weight change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for trial design. Obes Res Clin Pract. 2016;10(2):189-96. 

  12. Kang EY, Park YB, Kim MY, Park YJ.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by 'Gamitaeeumjowee-Tang'. J Korean Med Obes Res. 2017;17(2):68-72. 

  13. Batterham M, Tapsell L, Charlton K, O'Shea J, Thorne R. Using data mining to predict success in a weight loss trial. J Hum Nutr Diet. 2017;30(4):471-478. 

  14. Rajkomar A, Dean J, Kohane I. Machine Learning in Medicine. N Engl J Med. 2019;380:1347-1358. 

  15. Kim H, Yang SB, Kang Y, Park YB, Kim JH.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blood stasis pattern identification based on self-reported symptoms. Korean J Acupunct. 2016;33(3):102-113. 

  16. Sharma K, Kaur A, Gujral S. Brain tumor detec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t J Comput Appl. 2014;103(1):7-11. 

  17. Kourou K, Exarchos TP, Exarchos KP, Karamouzis MV, Fotiadis DI.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cancer prognosis and prediction. Comput Struct Biotechnol J. 2015;13:8-17. 

  18. Wu CC, Hsu WD, Islam MM, Poly TN, Yang HC, Nguyen PA, et al.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to early predict non-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with chest pain.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2019;173:109-117. 

  19. Wang S, Summers RM. Machine learning and radiology. Med Image Anal. 2012;16(5):933-51. 

  20. Dugan TM, Mukhopadhyay S, Carroll A, Downs 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Prediction of Early Childhood Obesity. Appl Clin Inform. 2015;6(3):506-520. 

  21. Hammond R, Athanasiadou R, Curado S, Aphinyanaphongs Y, Abrams C, Messito MJ, et al. Predicting childhood obesity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publicly available data. PLoS ONE 14(4): e021557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15571 

  22. Aswani A, Kaminsky P, Mintz Y, Flowers E, Fukuoka Y. Behavioral Modeling in Weight Loss Interventions. Eur J Oper Res. 2019;272(3):1058-1072. 

  23. Kim YM, Cho DG, Kang SH.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Geographic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of Adult Obesity using Decision Tree. Health Soc Sci. 2014;36(1):157-181. 

  24. Nam SH, Kim SY, Lim YW, Park YB. Review on predictors of weight loss in obesity treatment. J Korean Med Obes Res. 2018;18(2):115-127. 

  25. Yoon NR, Yoo YJ, Kim MJ, Kim SY, Lim YW, Lim HH, et al. Analysis of adverse events in weight loss program in combination with 'Gamitaeeumjowee-Tang' and low-calorie diet. J Korean Med Obes Res. 2018;18(1):1-9. 

  26. Kurs MB, Rudnicki WR. Feature Selection with the Boruta Package. J Stat Softw, 2010;36(11):1-13. 

  27. Jung D, Kim G, Park J, Lee H, Kim H, Choi H, et al. Prediction of rehospitalization of patients and finding causes of it with data mashup and bigdata analysis. Entrue J Inf Technol. 2015;14(3):133-149. 

  28. Diaz-Uriarte R, Andres SA. Gen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microarray data using random forest. BMC Bioinformatics. 2006;7:3. https://doi.org/10.1186/1471-2105-7-3 

  29. Ortega Hinojosa AM, MacLeod KE, Balmes J, Jerrett M. Influence of school environments on childhood obesity in California. Environ Res. 2018;166:100-107. 

  30. Munger E, Choi H, Dey AK, Elnabawi YA, Groenendyk JW, Rodante J, et al.,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determine top predictors of noncalcified coronary burden in psoriasis: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J Am Acad Dermatol. 2019. Article in press. https://doi.org/10.1016/j.jaad.2019.10.060 

  31. Scheinker D, Valencia A, Rodriguez F. Identific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variation in US county-level obesity prevalence rates using epidemiologic vs machine learning models. JAMA Netw Open. 2019;2(4):e192884. 

  32. Forman EM, Kerrigan SG, Butryn ML, Juarascio AS, Manasse SM, Ontanon S, et al. Ca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of reinforcement learning use continuously-monitored digital data to optimize treatment for weight loss? J Behav Med. 2019;42(2):276-290. 

  33. Hong N, Wen A, Stone DJ, Tsuji S, Kingsbury PR, Rasmussen LV, et al. Developing a FHIR-based EHR phenotyping framework: A case study for 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obesity and multiple comorbidities from discharge summaries. J Biomed Inform. 2019;99:103310 https://doi.org/10.1016/j.jbi.2019.103310 

  34. Han JY, Park YJ.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besity treatment according to initial condition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J Korean Med Obes Res. 2019;19(1):31-41. 

  35. Magkos F, Fraterrigo G, Yoshino J, Luecking C, Kirbach K, Kelly SC. Effects of Moderate and Subsequent Progressive Weight Loss on Metabolic Function and Adipose Tissue Biology in Humans with Obesity. Cell Metab, 2016;23(4):591-601. 

  36. Jo GW, Ok JM, Kim SY, Lim YW.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Mahuang and Ephedrine in the Treatment of Obesity-Focused on RCT-. J Korean Med. 2017;38(3):170-184. 

  37. Disse E, Ledoux S, Betry C, Caussy C, Maitrepierre C, Coupaye M, et a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predict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obesity. Clin Nutr. 2018;37(5):1661-16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