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거버넌스 실증연구: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와 영향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data governance: Focusing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components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30 no.3, 2023년, pp.29 - 48  

윤건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Data Science, Hanshi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전환과 AI·데이터시대가 심화되면서 데이터의 원활한 흐름과 활용을 위한 데이터 정책, 그리고 그 의사결정 구조로서의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 거버넌스 연구들을 살펴보면, 데이터 거버넌스 자체의 측정이나 사례 분석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증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와 그것이 목표로 하는 데이터 융합이나 데이터기반행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구성요소 및 유형화의 방식, 이를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공공 부문에 특화된 데이터 정책 관점의 정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둘째, 분석틀과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을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공공데이터 정책 활용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 거버넌스 구성요소 중 조직 요소가 제도 요소와 기술 요소 사이에서 매개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제도 요소와 기술 요소가 데이터 융합이나 데이터기반행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법제도의 개선과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 데이터 기술의 수단과 목적에 대한 명확화, 데이터 조직과 인력에 대한 관심과 실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메커니즘의 개발 등,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of data governance and their impacts on data integration and data-based administ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various definitions, typologies, and case studies of data governance were examined, with th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0)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1173-1182. 

  2. Cho, W. (2017). "Big Data Governance and Trend?Trends." OSIA Standards and Technology?Review, 30(2), 26-29.? 

  3. Choi, Y., Cho, W. & Lee, K. (2018). "Big Data Governance?Model for Smart Water Management." The?Korea Journal of BigData, 3(2), 1-10.? 

  4. Chung, M. (2021). "A review on the EU Data Governance?Act and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data?legisl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Cyber Security Law Review, 3. 75-102.? 

  5. Eom, J. (2020). "A Public Legal Review of Big Data?Governance in COVID-19." National Public law?Review, 16(2), 1-23. 

  6. Eun, J. & Hwang, S. (2020). "An Exploratory Study?on Policy Decision Making with Artificial?Intelligence: Applying Problem Structuring?Typology on Success and Failure Cases."?Informatization Policy, 27(4), 47-66.? 

  7. Jang, K. & Kim, W. (2016a). "Component Development?and Importance Weight Analysis of Data?Governance."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41(3), 45-58.? 

  8. Jang, K. & Kim, W. (2016b). "Developing and Refining?Components in Data Governance Framework."?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Technology, 14(9), 93-107.? 

  9. Jeong, D., An, J. & Park, S. (2020). "A Study on?Construction of Data Governance Framework?for Smart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8(2), 39-47.? 

  10. Jeong, S. (2022). "The Study on Data Governance?Research Trends Based on Text Mining: Based?on the publication of Korean academic?journals from 2009 to 2021." Journal of Digital?Convergence, 20(4), 133-145.? 

  11. Kang, J. (2021). "Development of Major Components?of Big Data Governance Using RGT and Q?methodology." Journal of Future Society, 12(2),?74-93.? 

  12. Khatri, V. & Brown, C. V. (2010). "Designing Data?Governance." Communications of the ACM,?53(1), 148-152. 

  13. Kim, B. (2016). "Trend Analysis and National Policy for?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zation Policy,?23(1), 74-93.? 

  14. Kim, J. (2022). "Improvement of Legislation for the?Proper use of health and medical data." Korea?Law Review, 106, 437-481.? 

  15. Kim, J. & Yoon, G. (2019). "Concept Design of Data-centric Infrastructure for Smart Services employing?Connected Data Lake and Data Pipeline." OSIA?Standards & Technology Review, 32(4), 3-8.? 

  16. Kim, M., Won, J., Park, S. & Park, G. (2022). "Intelligent?Data Governance for the Federated Integration?of Air Quality Databases in the Railway?Indust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Management, 50(4), 811-830.? 

  17. Kim, S. (2011). "A Case Study of Implementation?Data Governance for Enterprise Architecture."?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Architecture, 8(3), 255-265. 

  18. Kim, S. (2013). "The Analysis of Data Governance model?for Business and IT Alignment." Journal of The?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18(7), 69-78.? 

  19. Kim, S. & Kwon, B. (2019). "A Study on the Introduction?of Big Data Governance into Cultural Governance."?Culture and Convergence, 41(2), 75-106.? 

  20. Kim, S. (2022). "Exploring data governance of?government finances." Modern Society and?Public Administration, 32(1), 205-233.? 

  21. Kim, S., Hwang, J. & Song, I. (2022). "Data rights?protection and Governance establishment and?Efficient management plan." Korean Law Review?f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24, 219-260.? 

  22. Kim, Y. & Hong, J. (2021). "A Study on Data Governance?in Digital Trad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and Insurance, 22(5), 153-169.? 

  23. Klievink, B., Van Stijn, E., Hesketh, D., Aldewereld,?H., Overbeek, S., Heijmann, F. & Tan, Y.?(2012). "Enhancing Visibility in International?Supply Chains: The Data Pipeline Concept."?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Government?Research (IJEGR), 8(4), 14-33. 

  24. Lee, K. (2020). "Global Digital Standards Cooperation?and Data Governance: Human Rights and?Development in the Digital Age." International?Area Studies Review, 24(3), 177-199.? 

  25. Lee, Y., Park, W., Shin, D. & Won, Y. (2019). "A Study?on Data Governance Maturity Model and Total?Process for the Personal Data Use and Protection."?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Security and Cryptology, 29(5), 1117-1132. 

  26. Shin, H., Kang, S. & Lee, J. (2015). "Design of Extended?Real-time Data Pipeline System Architecture."?Journal of KIISE, 42(8), 1010-1021.? 

  27. Song, K., Chang, W. & Cho, I. (2018). "A Exploratory?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of Big Data Governance." Korean Journal of?Social Theory, 53, 153-186. 

  28. Song, S. (2021).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for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Korea'?s Fiscal Government Data: Focusing on Fiscal?Data Governance." Informatization Policy, 28(3),?95-111.? 

  29. Sung, W. & Hwang, S. (2017). "A Review of Intelligent?Society Studies: A look on the future of AI and?policy issues." Informatization Policy, 24(2), 3-19.? 

  30. Yoon, H. (2019). "In the Pursuit of Precision Medicine:?A Case Study on the Data Governance of the?U.S. All of Us Research Program." The Korean?Journal of Bioeconomy, 2(1), 31-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