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학습민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arning Agility Using Big Data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9 no.2, 2021년, pp.39 - 48  

장성진 (아주대학교 교육학과) ,  김정진 (서원대학교 융복합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습민첩성 관련 주요 단어 간 의미연결을 분석하여 새로운 의미를 도출하고 코로나 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학습민첩성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민첩성과 관련한 빅데이터 분석 및 국내 학술지에 주제어를 분석해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급변한 사회 환경 변화 즉 코로나19등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기민한 대응과 미래인재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학습민첩성이 대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빅데이터 분석결과와 비교하면 학술연구의 연구자들은 학습민첩성에 대한 연구가 특정 조직과 대상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향후 학습민첩성 연구에서 대상, 주제, 철학 등 사회적 인식과 방향을 같이 하는 연구로 확장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빅데이터 분석에서 2020년 학습민첩성 연관키워드로 '코로나'가 제시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2020년 특정연구의 증가와 코로나19의 연관성을 학문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적 인식과 방향을 같이 하는 질적 연구의 확대, 연관된 단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설계, 빅데이터 분석 기간 확대 및 수집매체 확장, 해외 연구동향을 분석 등 학습민첩성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고 비교분석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mantic connections between key words related to learning agility through big data analysis to derive new meanings, suggesting the direction future learning agility research should pursue in a special situation called Corona 19. To this end, the Big Data anal...

Keyword

참고문헌 (25)

  1. C. H. Im, Y. E. Wee & H. S. Lee.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agili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9(2), 81-108. DOI : 10.18211/kjhrdq.2017.19.2.004 

  2. De Meuse, K. P., Dai, G. & Hallenbeck, G. S. (2010). Learning agility: A construct whose time has come.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62(2), 119-130. DOI : 10.1037/a0019988 

  3. Lombardo, M. M. & Eichinger, R. W. (2000). High potentials as high lead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39(4), 321-329. DOI : 10.1002/1099-050X(200024)39 

  4. Bedford, C. L. (2011).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in workplace performance and career advancement. Academic Press. 

  5. Gravett, L. S. & Caldwell, S. A. (2016). Learning agility: The impact on recruitment and reten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6. M. A Kim. (2018).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gility, Individual Variables, and Job Variables and Moderation Effects of Positive Error Management Climate of Manufacturing Workers. Doctoral dissertation,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7. H. K. Jung & H. E. Lee. (2020). An Examination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Learning Agili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2(1), 131-157. DOI : 10.18211/kjhrdq.2020.22.1.006 

  8. S. J. Kang & Y. S. Lee. (2017). A study on social perception of children's smart media education based on big data.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2(4), 45-72. DOI : 10.20437/KOAECE22-4-03 

  9. J. H. Lee, J. M. Lee, W. K. Kim & H. G. Kim. (2017). A Study on Perception of Swimsuit Using Big Data Text-Min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1), 104-116. DOI : 10.24985/kjss.2017.28.1.104 

  10. H. H. Rue & H. S. Oh. (2016). Learning agility: Issues and Challeng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8(4), 119-147. DOI : 10.18211/kjhrdq.2016.18.4.005 

  11. Wang, S. & Beier, M. E. (2012). Learning agility: Not much is new.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93-296. DOI : 10.1111/j.1754-9434.2012.01448.x 

  12. N. H. Kim. (2019). Examining Influencing and Performanc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Agility as the Growth Potential of Employees. Doctoral dissertation, Ph. D.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13. DeRue, D. S., Ashford, S. J. & Myers, C. G. (2012). Learning agility: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erspectives on Science and Practice, 5(3), 258-279. DOI : 10.1111/j.1754-9434.2012.01444.x 

  14. Vicki, S. (2014). Learning Agility: It's a trait of true leaders. Leadership Excellence, 31(2), 10-11. 

  15. S. H. Lee & T. J. Cho. (2020). A Study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Learning Agility: The Moderating Effe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JCDL), 15(3), 1-29. 

  16. Dries, N., Vantilborgh, T. & Pepermans, R. (2012).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and career variety in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high potential employees. Personnel Review, 41(3), 340-358. DOI : 10.1108/00483481211212977 

  17. Connolly J. (2001).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measure of learning ag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Miami, FL.. 

  18. Eichinger, R. W. & Lombardo, M. M. (2004). Learning agility as a prime indicator of potential. People and Strategy, 27(4), 12-16. 

  19. De Meuse, K. P. (2017). Learning agility: Its evolutio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and its empirical relationship to leader success. Consulting P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69(4), 267-295. DOI : 10.1037/cpb0000100 

  20. Mitchinson, A. & Morris, R. (2014). Learning about Learning Agility,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White Pater, US.). 

  21. Smith, B. C. (2015). 「How Does Learning Agile Business Leadership Differ: Exploring a Revised Model of the Construct of Learning Agility in Relation to Executive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2. Hotho, A., Nurnberger, A., & PaaB, G. (2005).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Ldv Forum, 20(1), 19-62. 

  23. Liu, Z., Yin, Y., Liu, W. & Dunford, M. (2015). Visuali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evolution of innovation systems research. A bibliometric analysis. Scientometrics, 103(1), 135-158. DOI : 10.1007/s11192-014-1517-y 

  24. S. E. Lee & N. Y. Choi. (2020). A big data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s of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68(1), 57-80. DOI : 10.24300/jkscw.2020.3.69.1.57 

  25. D. M. Lee. (2017).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Recent Trend of Primary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5(2), 1-14. DOI : 10.17279/jkagee.2017.25.2.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